Q & A
안녕하세요, 3월에 있을 주행을 위해 이것저것 정보도 알아보고 준비하고있는,
캐나다 회원 양우람입니다.
작년 봄에 미니의 순정 셋업을 제대로 평가? 해보기위해 순정 패드에 브레이크 액만 motul dot5.1로 넣고
트랙을 잘 탔습니다만...
중간에 인스트럭터의 지시로 잠시 피트 진입로에 들어와 멈췄었는데, 그 때 순정 패드/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연기가 모락모락...
그러고서 집에 돌아와보니 패드도 불타있고(시내에서 사용은 가능한 정도라 지금껏 쓰고있긴 합니다.)
무엇보다 피스톤 실링(브레이크 액 실링이 아닌 바깥쪽 실링) 고무가 손상이 되어있더군요.
프론트 캘리퍼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피스톤 둘레의 5시 방향에서 10시 방향까지의 고무 실링이 불타 없어져있죠.
그 부분으로 아무래도 브레이크 분진을 위주로한 이물질들이 들어가는 것 같더라구요..
저 고무 부트가 있음으로 피스톤이 습기/먼지로부터 보호되는 걸로 아는데요,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
*트랙 타는 차들은 피스톤 실링 역시 어느정도 소모성이라고 봐야하는가요? 정기적으로 교체 및 캘리퍼 서비스를 해줘야 하는 것인지...
*순정 패드의 사용으로 인한 과도한 열 전달 및 화재가 문제였다면 열에 불타지 않는 트랙패드 세팅으로 실링 데미지에 예방이 될까요?
(지금은 Hawk HP+ 트랙 패드 사용합니다)
*저 부품을 제거하고 새걸로 교체하는데 작업이 까다로운지요?? (일단 캘리퍼를 떼내서 피스톤을 빼야하더군요)
도해상 9번에 해당하는 걸로 보입니다.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서 자바라처럼 늘어나는 구조이구요.
솔직히 브레이크 오일 교체와 트랙 패드 장착 작업을 이번 달에 diy로 해줄 예정인데요,
피스톤까지 손봐야하는 건 되도록 피하고 싶은게 사실입니다. 차도 아직 2년도 안된 상태고..
그냥 브레이크 클리너 뿜어서 대충 청소만하고 트랙으로 가고 싶네요..;;
하지만 교체를 하는 게 성능상, 안전상 필수라면, 그리고 비용이 괜찮고 일이 어렵지 않다면 작업을 같이 진행해볼 생각도 있습니다.
저보다 트랙 경험 많으신 많은 테.드 여러분들의 경험과 조언 구해봅니다.
지금은 트랙 주행에 내열성이 커서 타버리지 않는 트랙용 패드를 사용하고 있지만,
안녕하세요, 우람님
어차피 트랙주행 전에 패드를 가실 생각이고, 모노블럭이 아닌지라 도해상 1번을 분해해야 패드를 갈 수 있는 구조로 보이는데요
그렇다면 실링을 가는게 패드 가는 것보다 많이 힘들어 보이진 않습니다. 직접하시던, 맡기시던 같이 작업하시는게 당연하고
또 맞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이번학기가 마지막이라 부품 싸그리 수집중인데 휠/타이어 관련해서 우람님 포스팅 유용하게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ecstuning.com/Mini-2009-Cooper-R56-S-Coupe-L4_1.6L_N14B16A/Braking/Caliper/ES59881/
순정 부품입니다.
아래는 본의아니게 뽐뿌...죄송합니다...저도 요즘 맨날 여기서 살아요...
http://www.ecstuning.com/Mini-2009-Cooper-R56-S-Coupe-L4_1.6L_N14B16A/Braking/Big_Brake_OEM/ES250378/
http://www.ecstuning.com/Mini-2009-Cooper-R56-S-Coupe-L4_1.6L_N14B16A/Braking/Service_Kit/ES2597869/
http://www.ecstuning.com/Mini-2009-Cooper-R56-S-Coupe-L4_1.6L_N14B16A/Braking/Big_Brake_OEM/ES2539206/
내열성이 있다고 광고하는 트랙용 패드 (보통 EBC 옐로우 이상)라면 아무래도 저런 현상이 훨씬 덜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정률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ecs에서 또 주문을 해야하나..ㅋㅋ
근데 배송비랑 관세 때문에 비싸더라도 캐나다 미니 딜러에서 실링 사서 갈아야하지 않나 싶네요.
이럴 줄 알았으면 진작 미국으로 보내놓는건데..
최근에 brake power bleeder랑 rotor measuring tool 주문해서 인편으로 받았거든요(캐나다로 바로 배송시키면 세관 통관비 때문ㅇ..ㅜㅠ)
확인 해보고 주문을 하던지 해야겠네요..ㅜㅠ 제 경우는 hp plus가 가격대비 만족스러워서 일단은 이넘으로 계속 써볼려고 합니다. 근데 로터 두께가 지금 minimum이더군요 아흑...... 이번만 버텨주길...;;
그리구 쪽지 보내드렸습니다~ 확인해주세요~^^

부품만 구입하실수 있으면 직접 한번 해보세요. 스냅링을 편하게 탈거할려면 스냅링 플라이어 준비하셔야 합니다.
캘리퍼도 호스하고 분리해서 편하게 작업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전 피스톤이 고착이 되어서 한번 해보았는데 쉽게 해결되었습니다.

정정합니다.~~
우람님 잘못된 정보 알려드려서 죄송합니다.
고무 부트 고정때 스냅 링이 없고 그냥 캘리퍼 본체나 피스톤에 홈이 있어서 거기에 고정시키면
된다고 합니다.
피스톤 고착시 탈착할때는 고무 망치로 피스톤을 살살 쳐서 유격이 생기면 에어로 불어서 빼주면 되는데
갑자기 피스톤이 팅겨져 나갈수 있으니 조심하라고 합니다.
제가 왜 갑자기 스냅 링을 기억하는지 생각을 해보니
4년전 약 6개월을 쉬고 있을때 친구 카센타에서 놀면서 보조 역활을 조금 했는데
그때 캘리퍼 오버홀, 등속 조인트 고무 부트 교환을 한것이 기억에서 착오가 있었던것 같습니다.
고무 부트란 말에~~ 기억력이 원래 나쁘지만....
우람님 다시 한번 참고하세요. 차종마다 약간씩 틀리지만 작업 내용은 거의 비슷하다고 합니다.
그냥 NAPA에서 리빌드 캘리퍼 사다가 주기적으로 바꾸시는게 더 편할수도 있어요.
에어로 불어내지 않으면 손상없이 피스톤 탈거하는게 어렵다고들 하던데요.
저도 트랙주행으로 몇번 손상되었는데, 덕트를 달건 좋은 레이싱패드를 쓰고 해도 순정캘리퍼로는 씰 문제생겼습니다...
그냥 돈 모아서 좋은 캘리퍼 사는게 좋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패드는 레이스용 일수록 다른부위에 열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지 않은가요?
컴포트 패드라면 어느이상에서 먼저 패드자체의 마찰력이 떨어져서 열 발생이 덜할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마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예전에 동호회에서 한창 얘기가 많았던 제품인데
티타늄이 열전도율이 낮아서 아마 씰을 보호할 정도는 될거 같습니다
블로그 잘 보고있습니다^^

캘리퍼에 압축공기 쏘실때 피스톤이 튕겨나갈 수 있으니 피스톤과 캘리퍼 사이에 나무판 같은 걸 하나 대신 후 작업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1. 브레이크 계통 점검 및 정비 관련해서 본인이 할수 있다면.. 가장 저렴 하면서도 가장 fm으로 정비 할 수 있습니다.
2. 브레이크씰 교환 하고 캘리퍼 오버홀 및 유격 조정 및 호스 점검이 자동차 관심이 많고 자가정비 할수 있다면
기본적인 자가정비에 속합니다. 단, 자신이 없거나 정비 할줄 모른다면 정비업체를 통해 정기적 혹은 트랙전후 가장
먼저 살펴할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