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브레이크 오일을 교체하면서 등급을 높였더니 나아진 성능에 만족감이 들고 있습니다.
그러다 브레이크 튜닝에 대하여 곰곰히 생각만 해봅니다.
만약 일상적인 주행 및 와인딩서 처음 제동력은 괜찮은데,
얼마간 집중 혹사 시키면, 방열이 안되거나, 내열성이 약한 디스크는 페이드가 일어날 것 같은데요.
이걸 해결하기 위해 최소한의 범위만 건드린다고 할 때
무엇을 해야 할까요?
제 생각
그러다 브레이크 튜닝에 대하여 곰곰히 생각만 해봅니다.
만약 일상적인 주행 및 와인딩서 처음 제동력은 괜찮은데,
얼마간 집중 혹사 시키면, 방열이 안되거나, 내열성이 약한 디스크는 페이드가 일어날 것 같은데요.
이걸 해결하기 위해 최소한의 범위만 건드린다고 할 때
무엇을 해야 할까요?
제 생각
2014.04.18 08:21:46 (*.13.121.223)
온도범위가 넓은 튜닝패드를 사용하시는게 비용적인부분에서 가장 만족스럽지 않겠습니까??
일반적으로 순정브레이크내에선 베이퍼락보다 훨씬일찍 페이드가 오지만... 패드를 교환하시면
아무래도 좀더 좋은 브레이크플루이드를 필요로하지 않겠습니까?? 튜닝로터는 가격이 ㅎㄷㄷ해서요...
2014.04.18 08:33:51 (*.229.45.115)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시려면 경기용 패드죠.
단점은 일상 주행시에 패드가 아니라 로터를 소모하면서 제동한다는것과 소음.
심하게 달리지 않으신다면 도풍판이나 덕트를 설치해도 좋겠군요. 손해볼건 없는 거니까요.
그리고, 방열이 안되는 디스크는 우선 패드에서 페이드가 일어나고
내열성이 약한 디스크는 녹아내립니다.
2014.04.18 10:56:21 (*.7.24.101)

덕트 가공도 좋습니다.
본격적으로 자바라까지 하지 않고 그냥 공기 통로가 될수 있게 적절히 구멍만 뚫어놓아도 많이 개선되더라구요.
본격적으로 자바라까지 하지 않고 그냥 공기 통로가 될수 있게 적절히 구멍만 뚫어놓아도 많이 개선되더라구요.
2014.04.18 11:56:58 (*.62.162.101)
내구성을 위한 보강이라면 로터를, 제동성능이라면 패드만 교환하셔도 확 향상됩니다
서킷주행이 아니라면 덕트는 그다지 추천하지 않습니다..
서킷주행이 아니라면 덕트는 그다지 추천하지 않습니다..
2014.04.18 14:25:25 (*.223.16.140)

전 덕트 추천합니다. 크루즈 디젤이 차량이 무거워서 페이드가 쉽게 오다보니 브레이크 튠이 흔한데요 덕트만으로도 로터온도가 50~100도 이상 차이납니다 (풀브레이킹 후 100미터정도를 주행한 후 정지해서 적외선 온도계로 체크하는 방식 )
http://m.blog.naver.com/losjh/130151637795
여기한번 보세요
http://m.blog.naver.com/losjh/130151637795
여기한번 보세요
2014.04.18 23:57:12 (*.211.199.123)
저도 덕트에 한표....한때 골프GTi 89년식을 소유했었는데 순정으로 브레이크 덕트가 제대로 되어있는걸 보고
깜놀했었습니다.
전문 미케닐 왈 '연식대비 말도안되는 스펙이다' 라고 했었죠...ㅋㅋ
거기에 순정로터, 캘리퍼+세미레이싱패드(EBC, 호크등) 조합해서 정말 좋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모바일로 쓰는데 문자와서 중간에 등록되어버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