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어제 천안논산 고속도로 상행선 차령터널 내에서 7중추돌사고 중 3번째에 낑겼습니다.(07년식 스포티지)
대략 상황이 먼저 다른 4중추돌사고가 나서 차량 정체가 발생했고, 선행차량이 비상등 켜고 정차한 것을 확인한 후 저도 비상등 켜고 감속하여 정차 직전에 후행차량(4번째)이 추돌하여 선행차량 및 그 앞차까지 추돌, 정차한 상황에서 다섯번째 여섯번째 차량은 정상적으로 정차했으나 일곱번째 차량이 마지막으로 추돌하여 전체적으로 한번 더 밀린 상황입니다.(좀 복잡한데, 고순대도 사고 2건 합계 11대의 차량이 밀고들어오니 정신없어서 사고정리만 2시간 가까이 걸렸네요;;)
제 차량 피해상황은 전면부 앞범퍼 범퍼레일 파손, 등화류 파손, 휀더가 좌우로 밀렸고 본넷 끝단부가 꺾인데다 에어컨 컨덴서 파손에 라디에이터 하부 충격, 후면부 테일게이트 하단부 찍힘(래치까지 파손되어서 글라스도 안열리더군요. 짐 빼느라 고생 좀 했습니다;;), 트렁크 내측 패널 밀림, 조수석 후륜 휠하우스 내측 파손, 엔드머플러 꺽임 등등입니다. 예상견적만 500 가까이 됩니다. 다행히 와이프와 저는 앞자리에서 벨트 매고 있었고, 26개월 된 아이도 뒷좌석 카시트에서 잠들어 있어서 인적 피해는 없었습니다.(사랑해요 레카로. 레카로 스타트+i 살 때 비싸다고 도끼눈 뜨던 와이프도 어젯밤에 다음 카시트도 닥치고 레카로로 구입하라는 윤허가 떨어졌습니다. 음하하하 영스포트 주문해야지~)
문제는 오프셋 충돌도 아니고 범퍼 대 범퍼로 밀어버린건데 에어백은 감감무소식입니다. 후행차량 말리부는 조수석 에어백까지 폭발해서 차 안이 난리가 났지만요. 이쯤 되면 도대체 얼마나 빡시게 때려박아야 에어백이 터지는지 신뢰를 할 수가 없네요.
아예 차라리 충돌 8초 전 액셀-브레이크-액셀-액셀-브레이크-브레이크-브레이크 커맨드 입력하고 열혈을 담아 "에어백 긴급사출 승인! 전개!"를 외친 다음 핸들의 현기차 로고를 혼을 담은 수도로 내려찍으면 에어백이 전개된다고 친절하게 설명서라도 하나 넣어줬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내가 커맨드가 꼬였던지 목소리에 열혈이나 수도에 혼이 부족하다고 이해라도 하지요.
세줄요약
1. 사고났는데 에어백 안터짐.
2. 현기차는 에어백 전개 커맨드 입력법 공개 요청드림.
3. 레카로로 대동단결
여담. 차량은 일단 천안에 입고하고 보험에 대차 요구했더니 그랜다이저 HG 갖다주네요. 스포티지 = 그랜다이저 HG.....어?!

2006년식 뉴프라이드 5DR 내부순환도로에서 고속주행 중 미끄러져서 벽면을 추돌하고, 다시 그 충격으로 뒤로 튀어 나가면서 뒷쪽도 완전히 파손되어 전손처리로 폐차했었습니다. 에어백 안터진 것은 둘째치고, 심지어 안전벨트가 풀렸었습니다만, 어디 한 곳 긁히지도 않고 멀쩡하게 걸어나와서 잔해 속에서 핸드폰 찾아내서 보험 접수하고, 견인차 타고 공업사에 차 넣고, 전손처리했었네요. 그리고 지금도 저는 기아차를 탑니다. ^^;
후방 추돌로도 에어백이 터지나요? 제가 알기론 아닌데, 전면 충돌만으로 터진다면 후방 사고 정도는
일단 의미가 없을 것 같고..
제 생각은 엔진 앞까지만 먹는 사고는 비교적 경미한 사고라고 생각해서..
탑승자 모두 멀쩡할 정도에서 에어백이 터지면 에어백에 의한 2차 사고가 더 우려될 것 같네요.
쉽게이야기하면 순간적인 운동량변화...
즉, 충격력의 최대치로 터지냐 안터지냐가 결정되는겁니다. 어렵게 이야기하면 수학적으로 충돌을 해석할때는 디락델타펑션으로 모델링을하구요. 쉽게이야기하면 감속g값으로 터지냐 안터지냐를 결정합니다. 사진상으론 판독이 불가한 부분이구요... 그 전에 계기판에 에어백 경고등이 들어와있으면 충돌시 에어백이 전개가 되지않을수 있습니다. 또한 에어백 전개가 충돌상황에서 탑승자의 부상정도를 드라마틱하게 줄여줄거란생각 혹은 사망사고가 나고 나지않고를 구분하는 절대요소는 아니라고봅니다.
오히려 올바른 3점식 안전벨트착용법과 안전벨트의 프리텐션기능이 충돌시 탑승자의 사망여부와 부상정도를 줄여준다고 보는게 논리적으로 맞지않나 생각해봅니다.
정작 저런 후방충돌에는 에어백보다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였던가요 목을 보호해주는 기능이 더 중요해보이는데 목은 괜찮으신지요?

커맨드를 잘못입력하셔서 에어백 개방이 안된것같습니다.
브레이크 3번 >> 엑셀 3번 >> 브레이크 7번 >> 클락션 2번 >> 사이드브레이크 풀로 채웠다 풀고 다시 풀로 채우고
박으면 전개됩니다.

아이가 안다쳐서 다행입니다. 에어백은 터지면 견적이 늘어나기 때문에 메이커 입장에서는 뻑하면 무조건 터지게 하는 것이 서비스 쪽 매출은 늘려줄 것 같습니다. 에어백 터지면 도어도 변형 생겨서 교정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이정도로 전개되면, 더 상처 입습니다.
안전벨트 다하셨을거고, ....
그리고 터지면 좀 아수라장이고 화약 냄새에 더 난감하실껍니다.

제 생각에도 저정도 충격이면 안터지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안터져도 되는 상황에서 터지면 수리비 엄청나게 올라가고 탑승자도 눈탱이 밤탱이 되고;;;
사진상으로 스포티지는 범퍼가 여전히 제 위치에서 지지대 역할을 하고있고 말리부는 범퍼 하단부가 밀려 들어간 상황이므로 말리부만 에어백이 터진것도 어느정도 이해가 가는 상황 같네요.
어마어마한 속도로 폭발하기때문에 사고이후 크게
다치신곳이 없다면 안터지는게 맞다고 봅니다.
에어백터지면 코뼈부러질수도있어요

심각한 상황이었는데 그 과정을 예술로 승화시켜 재밌게 써주셨네요. 온 가족 무사하셔서 천만 다행입니다.
그리고 카시트는 유명한게 좋은 것 같습니다.
저도 비슷한 경우를 겪었는데
저도 에어백 안터졌습니다
맨앞차(e60)가 고속도로에서 멈쳤고 저는 그걸보고 멈쳤는데
뒤에서 매그너스가 저를 박았고 그 덕분에 제 차(f10)가 맨 앞차를 박았습니다 (3중추돌)
제차 핸들 에어백은 안터졌고 제차 헤드레스트 부분의 에어백이 터져서
헤드레스트가 평소보다 많이 튀어 나와 있더라구요 ..
맨 뒷차는 에어백이 터지고 엔진룸까지 먹어서 연식 대비해서 폐차를 해야 할 정도 수준이었습니다
후방추돌의 경우에는 에어백이 안 터지는게 더 도움이 될것 같다는 생각이 들구요
헤드레스트 에어백 있는 차량이 후방추돌에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얼마나 부숴졌는지 사진을 봐야지만 에어백이 터질만한일인지 아닌지 다른이들이 판단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