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현존 양산 전기차중 월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나,
럭셔리세단급에서 일반 세단급으로 내려온다면 아직 많은량을
판매하기에는 어렵겠더군요. 럭셔리급이기에에 소비자의 가격저항이
적기에 가능한 판매량.
물론, 닛산 리브, 볼트등에 대비 우수한 밧데리 제어 기술을 바탕으로
원가를 낮추기는 했으나 여전히 비싼듯합니다.
전기차가 내연기관을 대체하려면 원가는 1/3이하, 효율은 2배이상,
충전시간은 3분이내로 향상되지 않으면 힘들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기술의 향상으로 가능한 일이므로, 시간 문제겠죠..
그때까지 시장의 트렌드는 뭐가 될까요?
2010년쯤 개인적으로는 디젤이 시장의 트렌드가 될거라 생각했는데,
국내 브랜드인 현대는 NF/HD디젤의 쓰라린 실패로 디젤승용을 단종시키더군요.
지금 수입 디젤이 트렌드가 되고, 타사에서도 디젤 승용이 출시되니,
현대차는 부랴부랴 디젤을 준비하는듯합니다.
본래, 현대차는 하이브리드를 국내 주력으로 밀고가려 했던것 같습니다.
(정숙성을 중시하는 국내 정서상)
이제 얼마후면 중형/준대형 디젤도 볼수 있겠죠.
그런데 앞으로도 그럴까...
현대차가 늦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미 치즈는 거의 사라져가는..
초기대기 하이브리드용 리튬 전지의 가격이 1/2수준이라고 하더군요.
앞으로는 더 떨어질거고, 전체 시스템의 효율도 향상될 겁니다.
그렇게 되면 전기차가 나오기 전까지 시장의 트렌드는 하이브리드가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현대차는 시장의 트렌드에 쫒아가기보다 트렌드를 만들수는 없는걸까요.
몇년전 I40디젤와 소나타 하이브리드를 타봤을때, 하이브리드의 토크감과
정숙성에 놀랐습니다. 소나타 하이브리드가 실패?한건 개인적으론,
프론트 디자인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너무 젋고 파격적인..
보수적인 소나타에 그런 디자인은 정말 어울리지 않는것 같습니다.
앞으로 하이브리드 기술이 향상되고 가격이 더 떨어진다면,
진동과 소음에서 디젤 대비 경쟁력이 있는 하이브리드가
전기차 이전 대세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뒤늦게 부랴부랴 출시하는것보다 한가지에 집중하는게 어떨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제품이 좋다면 소비자는 살테니까요.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수입 디젤 탑니다.
진동이 견디기 힘들지만 15만 키로까지는 탈껍니다.
이미 8만 가까이 탔습니다.
하지만 다음차는 개솔린 하이브리드로 바꿀껍니다.
효율 자체가 이미 디젤에 가깝게 되었고, 시간이 지나면 더 좋아질 것 같습니다.
올해 차량을 구입한다면 하이브리드 차량을 구입했을껍니다.

저도 지금은 디젤을 타지만 다음번엔 하이브리드나 연비좋은 가솔린터보승용차를 사려고 생각 중 입니다.
터보디젤의 높은 효율성과 시원한 가속성도 분명히 이득이지만 하이브리드의 정숙성과 바이브레이션또한
매력적이라... 요새는 윤중님 말씀대로 가솔린터보나 가솔린하이브리드도 수긍할만큼의 연비수준을 보여주어
충분히 감뢰할만한 연료비지출인 것 같습니다... es300h가 잘팔리는데 이유가 있는듯 합니다.
중장기적으로 보았을때 100킬로 내외의 일상적인 거리는 충전만으로 주행가능하며
이따금씩 장거리 주행을 할경우엔 발전기역할을 하는 엔진을 통해 주행거리를 늘리는 플러그인하이브리드가
그 해답으로 대부분의 자동차회사가 보고있다더군요.

요즘은 디젤하이브리드도 나오니 선택의 취향의 몫인듯 합니다.

일본=하이브리드
독일=디젤
미국=??(그나마 전기차로 해볼려고 하는데 그냥 웁니다 ㅠ,.ㅠ)
한국=전부 다....
이런 느낌입니다 ㅎㅎ
우리나라에서 XD, HD, NF 디젤이 실패한 것과 똑같은 이유로 일본에서도 디젤승용차가 인기 없었죠...
일본의 예를 봣을 때 우리나라도 하이브리드가 주를 이루지 않을까 하고 조심스럽게 예측해봅니다
현대자동차릐 시장 트렌드 선도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올해 하반기 투산 FCEV를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시험적으로 판매해보고
추이를 지켜본 뒤 양산하겠다고 하더군요...
혼다의 FCX는 사기성홍보성이 짙은 모델이었는데
이번 현대 FCEV는 양산 모델이라 하니 굉장히 흥미롭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아마 이 모델이 성공하면 굉장히 큰 반향이 일어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수소개질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로스가 상당하고 CO2가 왕창 생성되는건 또 비밀이죠
사족으로 현대가 올해 출시할 FCEV의 **** 부분 시험하시던 분이
FCX와는 비교 하지마라 하니 더욱 흥미롭더군요 ^^
전기차는 솔직히 말해서 새로운 배터리기술의 혁신이 생기지 않는 한 환경 오염 문제로 전세계적으로 금지해야한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현행 아무리 효율 좋은 자동차라도 제조, 폐기를 합치면 5년간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가솔린보다도 심하니까요. 디젤은 깨끗합니다. 검댕은 보기에 검어서 그렇지 극조건에서 생긴 이상한 화합물이 아니죠. 저는 연비와, 남자의 스트로크 파워(....)로 디젤을 선호합니다. 아.. 작은 차는 안되겠고,, 그냥 개인이 쓸 정도의 3000cc-7000cc정도의 디젤이요.

전세계적으로 두가지 대원칙이 있습니다.
1. 지구상의 원유량은 한정되어있고 얼마 남지 않았다. (다 쓰면 끝.. 더 이상 없음)
2. 지구온난화로 인해 전세계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으며 이로인해 CO2 배출량을 무조건 줄여야하고 개발도산국들의 난개발을 저지해야한다. (결국 2차산업에서 3차산업으로 이미 대다수 넘어간 선진국들의 국력이 앞으로도 유지됨)
최근 전세계적인 세일가스 열풍으로인해 국제 원유 가격이 수년내에 폭락할수도 있다는 분석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원유가격이 계속 높아진 이유는 한정된 자원이라는 이유 단 하나였습니다.. (사실 그마저도 매장량은 축소 은폐 시키면서 원유가격을 장난친다는 의혹이 여기저기서 많이 제기되어옴..오일 쇼크때의 매장량 추산 발표대로라면 지금쯤 원유가 바닥났어야할 시기인데... 원유는 지금도 계속 생산되고있죠..;;;)
근데 세일가스량이 지역에 따라 엄청난 매장량이 발표되면서 대원칙에 금이 가기 시작한거죠.
또한 디젤 열풍은 우리나라에 부는 최근의 유행일뿐 세계적으로는 전혀 새로운것은 아니기에 지속성이 의심될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하이브리드와 순수전기차는 아직까지 배터리의 무게대비 용량의 벽을 넘기 힘든것 같습니다. (최근 디젤이 각광받는 이유는 연비 개선도 있지만 그보다 출력대비 엄격한 CO2 배출량을 충족시킬수있다는점도 주요한 원인이였습니다)
원유 매장량의 의혹이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지구온난화라는 대원칙도 계속해서 진실성을 도전받는 상황이기에 향후 10년 이내에 이 두가지가 동시에 무너진다면 다시 한번 대배기량 휘발유 차량의 시대가 오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원거리는 휘발유 차량, 근거리는 순수전기차... 이렇게 양분되지않을런지... 뭐 약간의 음모론을 포함한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고유가가 지속되면서 제네시스급 타는 계층까지 연비생각을 하며 차를 운행하게 된 분위기가 디젤 인기에 한 몫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현대의 하이브리드는 생각보다 연비가 안좋다는 것은 다른 오너들이 비교실험을 통한 자료도 많기 때문에 핵심은 연비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디젤차를 여러대 타고 있고 만족하지만(특히 6기통 디젤은 매우만족) 다음차는 하이브리드도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생각은 하고 있는데 이게 결국 전기차로 가는 길에 거쳐가는 과정이라 가솔린기관이나 디젤기관처럼 오래 갈지는 모르겠습니다.

현대 하이브리드가 실패한건 도요타의 특허를 피해 만들다보니 실제 연비에서 크게 득이 없어서 그랬던거 아닌가요? 실사용자의 얘길 들어봐도 하이브리드로 인한 연비 절감보다는 할인해서 차를 저렴하게 샀다는 부분에서 더 만족스러워 하더군요.

연비뿐 아니라 배기규제에 대해서도 생각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2020년이면 포스트유로6.. 유로7이라는 이름의 규제가 될 것 같지만... 그 규제가 어느정도냐에 따라 내연기관도 막대하게 원가가 올라가게 됩니다. 디젤은 SCR은 필수에 분사계통도 최소 2500바의 분사압...DPF등 막대한 후처리비용... 총원가 측면에서 본다면 지금의 디젤보다 많이 비싸지겠죠.
가솔린도 PN규제가 있으니 GPF가 필요할 것이고 직분사 엔진의 시스템 압력도 300바는 필요하게 되고...
반면 하이브리드 및 전동화는 기술진보 및 원가절감 노력으로 많이 싸지겠죠.
유럽의 CO2규제가 95g이 된다면 디젤만으로는 힘들 겁니다. 가장 가까운 것은 하이브리드이죠. 물론 차량 경량화는 지금 수준이 계속된다는 전제하에서의 이야기입니다. 오프셋 테스트 등 안전규제또한 강해지니...
지금은 당장 일본메이커들이 주도하는 기술이라 한국에서는 디젤이 대세로 보이지만 20년 이후에는 하이브리드가 메인이 될 것입니다. 그런 이유로 독일 메이커들도 적자를 감수하면서도 하이브리드 차량을 개발하는 것이고요...
물론 특정 운전조건에서 연비효과가 나오는 하이브리드라는 시스템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최근 신형 시스템 (혼다 I-DCD, I-MMD)등을 타면 일반 내연기관대비 동력성능 및 감각적인 부분에서도 아주 훌륭하다고 느낄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기술개발이 늦은 현기차의 네거티브캠페인때문에 국내 유저들에게 이상한 인식이 생겼다고 생각되네요.
단, EV로 가기엔 아직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고 REX 나 플러그인 정도가 대세라 생각합니다.

쏘나타 하이브리드를 타고있습니다. (전 노멀 YF 디자인보다 훨씬 낫다고 생각하는데 역시 사람 보는 눈은 다양한가 봅니다.)
제가 출고했던 시점(2012. 9.)에는 도로상에서 같은 차종을 보기가 쉽지 않았지만 일년 반이 흐른 지금 상당히 많이 판매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도로상에서 꽤 잦은 빈도로 볼 수 있는데 서울시내 주행 하시는 분이라면 꽤나 많은 쏘나타와 K5 하이브리드를 보실 수 있다는 걸 부정하시기는 어렵지 싶습니다. 시장 상황은 판매량이 말해주듯, 점차 늘어나는 하이브리드의 점유율을 보면 사람들의 인식이 점차 바뀌어 가고 있다고 봅니다.
승용디젤이 배기량 대비 넉넉한 출력과 괜찮은 연비로 인기를 끌고 현재의 위치에 올라갔던 것 처럼 하이브리드도 똑같은 절차를 거치는 중이라고 생각합니다. 배기량 대비 넉넉한 출력과 괜찮은 연비까지는 승용디젤이 득세한 이유와 똑같은데 거기에 EV모드 주행시나 정차시 말도 안되는 수준의 정숙성을 더한 셈이니까요. 다만 모터와 배터리라는 시스템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과 생소함, 그리고 내구성에 대한 불안감 등이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생각해 보면 디젤 승용차가 도입될 당시 승용차에 무슨 경유냐? 라는 얘기들이 많았고 짐차나 상용차에 쓰는 엔진이 아닌가 하는 막연한 불신이 있었지만 결국엔 다 해소되었듯 하이브리드에 대한 국내소비자들의 인식도 점차 바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현대-기아는 지금 그랜져와 K7 하이브리드를 출시하고 라인업을 넓혀가고 있는데, 향후 준중형과 소형에도 풀 하이브리드 차량을 투입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프리우스라는 초강력 경쟁자가 버티고 있는 시장이지만 국내시장인 만큼 가격으로 경쟁하면 되니까요.
현대-기아가 지금 거의 유일하게 디젤과 하이브리드를 둘다 밀고 있는(?) 제조사인걸로 생각이 되는데, 향후 행보가 어떨지 궁금합니다.

작년에 현대자동차에서 진행한 소나타하이브리드 시승단에 뽑혔습니다. 마침 차량 변경 계획중이어서 보름간 3천km 주행하며 연비를 기록하였는데 디젤승용이 주유비로만 계산한 경제성은 훨씬 좋았습니다.
덧붙여서, 가솔린 하이브리드로 디젤만큼의 토크를 얻으려면 순간연비 2~3km/l 정도밖에 안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