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사실 필드에서 계속 해보면 알수있을텐데
여의찮아 시뮬레이션만 하고있네요..
리버스스티어가 발생하는 원인이 정확히 어떤때 인가용?
(매끄러운 파워슬라이드를 원할떄 어떤때는 매끄럽게 카운터가 잡혀 슬라이드가 되고
어떤때는 휘청이며 리버스가 되는 이유는 무엇을 잘못해서 그런거인지..)

그런데 제 경우엔 레이싱시뮬로 하는거보단 실차타이어의 그립이 훨씬 좋고 지속시키기도 쉽더군요. 레이싱시뮬은 타이어반응을 좀 극단적으로 표현해놓은것들이 대부분이라서 ^^
한턴한턴 슬라이드내지 원돌이 정도는 lsd 달려있고 출력좀 있는 실차로 연습하면 어렵지 않게들 하지만 타이어를 계속 지지며 전코너를 연기뿜으며 달리는 드리프트 대회 수준의 테크닉을 구사하려면 상당한 내공과 자금이 필요합니다.

파워슬라이드 상태는 그립의 한계를 벗어난 뒷바퀴가 원심력에 의해 선회 중심의 반대방향(바깥방향)으로 나가려는 것을 선회 반대방향으로 스티어링을 돌려서 상쇄시키는 상황입니다.이때에 뒷바퀴의 슬립앵글이 줄어들어서 그립을 찾게되면 여전히 반대방향으로 틀어져있는 스티어링 앵글 때문에 리버스스티어가 발생합니다. 뒷바퀴의 슬립앵글이 줄어드는 시점에 스티어링도 점진적으로 뉴트럴로 돌려야 하는데 그 과정이 익숙하지 않다보니 스티어링 복원의 속도가 슬립앵글이 줄어드는 속도보다 느려서 리버스가 발생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이유로 카운터스티어가 늦어서 당황하고 당황해서 거친 조작이 되어서 하중이 부드럽게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고 팍 튀어 오는데, 그걸 또 이미 당황하고 거친 상태에서 제자리에 왔을때 카운터를 풀어주지 못하고 0.1초라도 늦으면 그대로 반대쪽으로 튕기고, 또 어어어? 해서 원래방향으로 카운터를 더욱 늦게 더욱 급하게 하다보면 점점 악순환입니다.
제가 눈길에서 옆사람 가르쳐주다가 그랬는데, 아무리 옆에서 감아! 풀어! 해도 .. 늦더군요. ㅋㅋ
카운터스티어링의 가장 중요한점은 두가지입니다.
1. 정확한 카운터량
2. 타이밍 (카운터를 주는 타이밍과 푸는 타이밍)
위 두개 잘 못맞추면 차가 휘청휘청 하게 되는데..
이때 차가 튕겨버리는듯한 느낌을 받으면서 반대방향으로 휙 돌아버리는 경우를 보통 리버스라고 합니다.
슬라이드라는게 이미 후륜타이어를 한계점 이상으로 날려놓고 스티어링과 악셀링으로 전륜타이어의 그립과 후륜타이어를 다시 한계점으로 내려놓으며 구사하는 행위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