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어제 영암에 AFOS 구경하고 집으로 오는 길에
제 차량의 머플러가 터지는 사고를 겪었습니다
의도하지 않은 민폐로 최대한 가속페달을 밟지 않고
어쩌어찌해서 집에 도착했습니다.
그런데 머플러가 터지니 엔진출력이 평소보다 나오지 않는 것 처럼 느껴졌습니다
(허당친다고 하죠)
레이싱카 특히 F1 차량을 보면 효율을 위해 머플러엔드가 없습니다
이번에 머플러 터진 위치가 벨로즈(자바라)이기 때문에
배기 조건은 무려 F1과 같은 조건임에도(!) 출력이 나오지 않았던 점이 궁금해
관련 연구가 진행 된 적이 있는지 KSAE에 논문검색을 해봤습니다
역시 우리나라에는 선구자가 많아요 ㅋ
관련 연구를 경희대에서 진행 한 적이 있더군요 ㅎㅎ
간단히 저와 관련된 결과만 정리하면
배압이 낮을 경우 저 RPM에서 토크는 낮지만 특정 회전수 이상에서는 토크가 나오는군요!
배기 잘못하면 허당친다는 표현을 여러 게시판에서 자주 본적이 있는데
요런 이유와 관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ㅎ
<실험 조건>
<배압-토크 상관 관계(50%개도)>
*본 작성물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에서 작성한 '반능동형 배기머플러의 배압특성 및 엔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참고 했습니다
** 이 결과를 보고도 매니를 해야겠다는 결심은 흔들리지 않네요
일반 차는 공기를 빨아들이지만 F1은 램에어인데다 rpm덕분에 흡기,밸브,밸브,배기 통해서 나가는 공기 속도가 차원이 다르죠..............
F1 공회전 알피엠이 불안정해서 계속 만져줘야하는데 BMW 엔진의 경우 한 5000rpm 내외에서 공회전 한다고 합니다. (저 그래프는 해당이 아예 없네요 ㅋㅋ) 아침에 시동걸면 양산차는 1200rpm정도로 공회전하다 600-800대로 니려오죠? F1은 시동 걸면 바로 7-9000rpm이랍니다.

FIA 규정에 보면 엔진 아이들이 4000RPM 넘지 않게 규정되어있습니다
(The idle speed control target may not exceed 4,000rpm.)
http://www.formula1.com/inside_f1/rules_and_regulations/technical_regulations/8699/fia.html
그리고 F1 배기 조건은 웃자고 한 이야기라서요 ㅎㅎ 웃으면서 넘어가 주세요 ㅠ,.ㅠ
엔진 출력이라는게 그렇게 단순하게 결정되진 않죠 ㅎㅎ
저도 처음에 배기는 남자의 가슴을 자극해서 감성을 튜닝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저 논문보고 토크 기준 0.5Kgm정도 영향은 있군... 이라고 반응하고 있습니다
엔진 출력 저하는 역시 람다 센서가 어리버리 타서 이씨유가 엔진에게 밥을 안줘서 그렇겠죠 ㅋㅋ
배기계가 출력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다며... 기본적인 출력상승을 목표로하였을때 가장 우선시 하는것은 공기량 증대라며 튠이후 틀어진 공연비는 어차피 피드백으로 보정이된다는 말은 자명하지 않습니까? 추가적으로 점화타이밍진각의 경우는 배기와 관련이 없는것이고... 제가물어본 배압과 밸브오버랩시 발생되는 연소실 내부의 리서큐레이션과 충진효율 그리고 유효압축비역시 변화한 배기계로는 성능에 영향을 줄수없다가 결론이었습니다.
만약 자바라 손상으로 배압이 빠져나가 출력이 나오지않음을 느끼셨다면 촉매 이후에 산소센서에서 자바라 밖에서 딸려들어온 산소에의해 공연비를 증가하는방향의 피드백을 진행하게 될것이고 필요이상 농후한 공연비로 올바른 출력이 나오지않았다는 결론이 나와야하지않을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