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K3 수동 14년1월식 차주입니다. 만킬로 갓넘은 신차죠.
불안한 운동성과 핸들링을 보완하기위해(가장 큰 이유는
mdps이질감) 쿱 순정 하체이식 프론트 스트럿바 센터바 리어트렁크바 프론트멤버바 센터언더바 순정17인치휠에 엑스타 4x로 튜닝하였습니다.
현재까지의 보강은 볼트온 내지 모비스튠으로 차체에 전혀 데미지를 주지 않는 튠이었죠.
근래 갑자기 휀다보강이 끌리는데 검색결과 90프로 이상 용접으로 장착하는 방식으로 보강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용접을 하면 거의 부식은 발생한다고 보는데
휀다탈거의 흔적으로 인한 감가상각도 무시할수 없구요.
이미 상기의 보강으로 인한 차의 운동성 변화는 체감하고 있습니다만 부작용이 우려되어 굉장히 고민됩니다.
혹시 차체용접 혹은 휀다바장착 해 보신분 강성저하나 부식등의 부작용으로 고생하신분 있나요?
불안한 운동성과 핸들링을 보완하기위해(가장 큰 이유는
mdps이질감) 쿱 순정 하체이식 프론트 스트럿바 센터바 리어트렁크바 프론트멤버바 센터언더바 순정17인치휠에 엑스타 4x로 튜닝하였습니다.
현재까지의 보강은 볼트온 내지 모비스튠으로 차체에 전혀 데미지를 주지 않는 튠이었죠.
근래 갑자기 휀다보강이 끌리는데 검색결과 90프로 이상 용접으로 장착하는 방식으로 보강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용접을 하면 거의 부식은 발생한다고 보는데
휀다탈거의 흔적으로 인한 감가상각도 무시할수 없구요.
이미 상기의 보강으로 인한 차의 운동성 변화는 체감하고 있습니다만 부작용이 우려되어 굉장히 고민됩니다.
혹시 차체용접 혹은 휀다바장착 해 보신분 강성저하나 부식등의 부작용으로 고생하신분 있나요?
2014.06.03 23:55:07 (*.62.190.6)
아. .추가로. . 용접한다고해도 엄청 지져대는건 아니고,
바로 방청제는 뿌려주기 때문에 2년 넘었지만 용접부 녹은 없습니다. 근데 트렁크바도 용접이지 않나요??
바로 방청제는 뿌려주기 때문에 2년 넘었지만 용접부 녹은 없습니다. 근데 트렁크바도 용접이지 않나요??
2014.06.04 08:45:58 (*.36.151.234)
불안한 운동성과 핸들링을 보완하시고 싶으시다면 보강도 효과가 있으셨겠지만..타이어를 다른 스포츠성 타이어로 교체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같습니다. 엑스타 4x는 타이트한 운전성향과는 다소 어울리지 않는 컨셉의 타이어입니다. 사이드월이나 접지성능이 우선되는 타이어로 교환해보시면 체감되실겁니다. 저도 올해 초 보강 후 re002 세팅 후 운행하고 있습니다.
2014.06.04 12:18:55 (*.70.48.244)

동일차대 차량 타는 입장에서 저도 타이어교체를 추천합니다. 단단하고 반응성 좋은 타이어는 re002 좀더 나은 접지력은 금호 le스포츠 추천합니다. 215 45 17 중에 가장 가성비 좋은 타이어들 입니다.
2014.06.04 13:06:46 (*.70.52.230)
제가알고있기론 초고장력강판을 사용하고 이 강판들이 너무 장력이 쎈나머지 성형성이 좋지않아 핫스템핑공법에의한 성형과 제조를 한 차체들은 가능하면 높은열에의한 용접을 하면 안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가급적이면... 볼트온방식의 보강킷이나 롤케이지를 하시는게 가장 확실한방법이 아닐까합니다.
2014.06.05 19:53:08 (*.245.235.7)

금속 구조재용 접착제는 어떨까 싶습니다.
로터스같은 업체에서 차체 프레임 접착할때 쓰는 그런 물건이요.
업체 자료에 의하면 맞댐용접에 필적하는 강도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그 업체가 록타이트의 헨켈사이니 만큼 거짓말은 아닐테구요.
제 차량도 나중에 취약부위 보강시 접착제로 작업할 생각입니다.
접착제 자체는 인터넷 등에서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습니다. 비싸지만요...
2014.06.09 11:31:17 (*.184.118.18)

구조용 접착제의 경우 표면처리를 어떻게 하는지와 경화조건(cure cycle)을 어떻게 갖고가는지에 따라 접착 결과물이 엄청 달라집니다
표면처리는 MEK로 세척하는 것에서 프라이머 도포까지 다양합니다만 금속/금속 접착은 거의 대부분 표면 정리만 함 되는데 자동차라면 접착부위의 페인트를 벗겨야 합니다
경화 조건 역시 좀 쓸만한 2액 혼합형이라면 대충 90도 정도로 1시간 가량 잘 구원하 하는 제품이 대다수라
아직까지는 애프터마켓에서는 그냥 용접하고 아연도금 스프레이로 코팅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업에서 CFRP+Al 구조물 설계 및 Al+강 구조물 설계 시의 감으로 말슴 드린거라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대체적인 경향이 그렇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휀더보강이 다른 보강류보다 먼저인 것 같습니다. 현재상태에서 하시면 느끼시는 정도가 별로 없으실것 같습니다. 저도 언더바 많이 했는데, 바닥만 강해지고, 필러쪽으로 부족함을 느껴서 언더바를 많이 하는게 좋지만은 않다고 생각이 변하는 중입니다. 휀더보강하시면 프론트 멤버바나 센터바의 과함을 느끼게 되실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