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최근 날씨가 여름이 되고 주행패턴이 강남/서초 시내로 바뀐 뒤로부터 연비가 급감했습니다. (17->10km/L)
또 최근에 낚시에 푹 빠져서 회사 노는 평일에 차를 가지고 배스 잘 잡힌다는 군산까지 운행했는데요.
역시 한산한 고속도로 타니 연비는 20km/L정도 찍어주었습니다.
(빨리 달리는 것도 재미있는데 속도 안줄이면서 연비 더 나오게 달리는 것도 참 재미있습니다.)
근데 여기서 질문입니다.
기름이 거의 없어서 100km정도 달리고 중간에 기름 조금 넣었는데,차가 왠지 빌빌거리는겁니다.
차주만 알 수 있는 그런 느낌이랄까요? 악셀도 좀 깊게 밟아야 하고 엔진소리도 가래끓는 소리보단 부밍에 가까워지고
순간, 어라? 휘발유 넣었나? 하는 생각이 한 1초정도 들 정도로 말입니다.
그런데 출력이 심하게 떨어지고 그런거는 없습니다. 조금 더 깊이 밟으면 조금 전 처럼 나가긴 합니다.
어쨌던 그렇게 도착지에 도착해서 낚시 하다가...집에 돌아옵니다.
집에 오는 길에 보니 기름을 너무 조금 넣어서 또 별로 없는 겁니다.
"그래. 이 참에 꽉 넣어놓자" 그래서 다시 주유소로 갑니다.
주유소 나오는데 차소리가 원래대로 씩씩하게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차를 아끼는 사람은 다 그렇겠지만, 통계 분석하지 않아도, 차량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더라도 본인 차에서 일어나는 일의 미묘한 인과관계들을 느끼지 않습니까? 대표적인게 추운 날 아침에 바로 출발하면 엔진소리가 어떻더라..뭐 이런 거 있지 않습니까?
그래서 첫번째, 들은 생각이...
1. 내가 너무 과민하다.
2. 차가 문제가 있다.
3. 주유소 기름이 다르다.
두번째, 들은 생각이...
1. 내가 과민한 건 맞는 거 같다. 난 내 차를 사랑하니까.
2. 차에 문제가 있기엔 너무 새 차다. 얼마나 사랑받는 차인데.
3. 생각해보니 날씨나 다른 환경변수가 모두 같은 상황은 아니지만 주유소에 따라 엔진 소리뿐 아니라 악셀 느낌이 다른 것 같긴하다.
이런 생각을 해봤습니다.
단지 제가 과민한 것일까요? 그렇기엔 좀 차이가 잘 느껴지는데...의견 궁금합니다.
과민병이면 얼른 고쳐야하니까요. ^^

정부의 수입석유 개방과 알뜰주유소 출범 시기쯤 진행된 수입 및 타사기름 혼합판매허용으로 인해 대부분의 최저가 주유소는 100% 해당 정유사 기름을 쓰는것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정유사 직판 기름과 현물시장의 기름이 적게는 리터당 30원 많게는 50원 이상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대리점직영간판 달린 주유소도 믿을수 없는 상황이고 근처 Sk네트웍스 직영주유소 단가대비 비슷한곳을 찾으시는게 그나마 고품질 기름을 쉽게 찾으시는 방법입니다.

때에따라 가장 단가가 싼 기름을 사입하죠.
엄연히 4대 정유사별로 완제품 휘발유 경유에 품질차이가 있고 첨가된 첨가제가 다른데 그냥 마구잡이로 섞어버린 현물기름 주유소와 정유사 직판기름만을 취급하는 주유소가 품질차이가 안날수가 없죠.
현 시장상황에서 현물기름과 정유사 직판기름이 품질차이가 아닌 단순히 단가차이라면 그냥 판매율 높은 최저가 주유소가 품질이 좋아야 정상인데 보통의 경우 그렇지 않죠

그러면 결론은 같은 기름으로 이름 붙어 있는 것이
주유소마다 다를 수 있고 그런 차이에 따라 차 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네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똑같은 주행 패턴에도 엔진소리가 거칠고 연비가 조금 떨어지는 주유소가 있었습니다
가짜건 진짜건 주유소마다 품질 차이는 분명 존재하는ㅈ것ㅈ같습니다..
연료펌프 부하로 인해 발생하는 출력차이 현상이 아닐까요?
저도 기름이 적으면 차가 힘이없더라구요.
그래서 가급적이면 만땅으로 다닙니다ㅎ

전 직영 셀프주유소 두곳만 정해놓고 주유를 하는데
얼마전 농협주유소에서 주유를 했더니 idle 중에도 노킹이 나는 어의없는일이 생겼었습니다. 지역에서 싸다는 sk주유소도 그랬었고요.
이후에 고급유 한번 넣고 원래 주유하던 곳에서 다시 주유한 후 부터는 거의 없어졌고(그래도 가끔은 나네요-_-;;) 노킹나는 시점에 사업소에 들어갔더니 스파크가 기름을 많이 가린다고 정상이라는 진단도 받았습니다.
주절주절 길게썻지만 결론은 주유소별로 기름의 질에 차이가 있다 입니다!
직영gs 고급유 리터당2020원짜리에서 항상 주유를 하는데요... 그날따라 제가항상가는 주유소가 셔터를 일찍내려 집근처 성당옆sk직영 2108원짜리 주유소에서 고급유 만땅 넣고 나온데... 차가 급 무거워지더라구요... 물론 제차는 기어비도 숏이거니와 주행중 운전자가 느낄만한 노킹을 맞아본적이 없습니다. 고급 휘발유는 해당사항이 없는얘기인가요?
시내 스톱 앤 고, 여름철 에어컨 두 가지가 dpf 자주 터는 환상의 궁합이죠.
연비가 확 떨어지고 출력도 시원찮으면 dpf 털고 있는 중일 것 같네요.
지방에 가시거든 규모가 어느정도 있고 회전율이 높아 보이는 주유소에서 주유하시길 권해드리구요
전 차좋아하는 주변인들에게 오피넷 최저가보다 50원 비싼곳 가라고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