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질문이 어려웠네여;;
요약하자면
힐앤토는 코너 시작점까지 앞꿈치가 브레이크에 가있어서 선회시점까지 브레이킹을 유지하여 접지력까지 확보해 내지만
싱글 or 더블 클러치 동작은 코너 시작점까지 브레이크에 있던 발 앞꿈치가 rev 매칭을 위해 순간적으로
쓰로틀로 옮겨졌기 때문에 선회 직전에 다시 브레이크패달로 돌아와 브레이킹을하는지 아니면
엑셀워크를 해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이었습니다.ㅎㅎ
사실 그때 그때 방법을 달리하긴 하는데 모범답안이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


요약한 글을 보면 힐앤토와 싱글,더블 클러치를 떼어 놓고 생각하셔서...댓글을 답니다...
저는 와인딩 쬐금 타는 초짜임을 미리 언급드리며 프로드라이버...또는 테드 고수님들과는 한참 떨어지는 운전실력의 소유자입니다...^^
"싱글 or 더블 클러치 동작은 코너 시작점까지 브레이크에 있던 발 앞꿈치가 rev 매칭을 위해 순간적으로 쓰로틀로 옮겨졌기 때문에 선회 직전에 다시 브레이크패달로 돌아와 브레이킹을하는지"
에서 브레이크에 있던 발 앞꿈치가 레브매칭을 위해 순간적으로 스로틀로 옮겨지지 않고 계속 브레이크에 있어야하겠죠...
레브매칭을 위해 브레이크에 있던 앞꿈치가 스로틀로 옮겨졌다가 다시 브레이크패달로 돌아오는 것은 정말 한계 상황이라면 위험합니다...
전 와인딩에서 그리 해 보지는 않았지만 시뮬레이션만으로도 상당히 위험할 것 같네요...
기회가 닿으면 서킷에서 말씀하신 부분에 대한 테스트를 함 해봐야겠습니다...

말씀하신데로 브레이크를 두 번 밟아야 한다면
1. 코너 전 브레이킹이 덜 된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떼는 순간 (rev 보정 순간) 오버 진입으로 위험할 수 있고 / 2. 코너 전 브레이킹이 충분히 되었다면 rev 매칭하고 브레이크 없이 코너를 돌아나가면 되겠죠.. (이때는 느려질 수 있고)
모범답안 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이럴때 사용하는 것이 힐앤토 (두 동작을 한번에 끝내고) 이며 더 빠르겠죠... 본격적으로 빠르게 와인딩 서킷 달릴때는 브레이크를 두 번 밟는 것은 손해입니다...
두번 브레이크를 밟을 때는 여유 공간을 두고 rev 매칭 연습할때 정도....
첫째
선회 직전까지 브레이크를 유지하는건
감속이 첫번째 목표이며
무게중심이동이나 트레일브레이킹은
두번째 목표라고 생각 됩니다
즉
접지력 확보측면 보다는 감속이 중요할것 같습니다
둘째
브레이크 다운시프트 후 코너 진입시에
악셀과 브레이크는 상황 차종에 따른
선택일것 같습니다
문제는 꼭 코너 직전에 힐엔토 없이
저단을 넣어야 하는가의 문제가의 아닌가 싶습니다
ff 특성상 접지력 확보 측면 (턱인)을
만들어 언더를 줄이고 싶으신거 같다는
전제하에
코너 진입직전에
브레이크후 다운 시프트 전
순간의 중립 상태로 인해서 오히려
거동이 흐트러 질것 같습니다

브레이킹을 하면서 빠른탈출가속을 위해 다운시프트를 하기에 보통의 경우 힐앤토나 토앤토를 쓰게 됩니다. 각자 신체에 맞게 편하신대로 쓰시면 돼구요. 브레이킹과 동시에 레브매칭이 어렵다 싶으시면 풀 제동시 높은 알피엠에서 시프트 다운을 하지말고 그냥 한템포 쉬었다, 회전수가 좀 떨어지거든 다운시프트 후 탈출가속이 바람직하겠습니다. 저도 k3와 디젤승용을 현재 운용하고 있지만 숙달이 좀 된다면 전자식 스로틀이라 반응이 느려 알피엠보정이 어려운점은 없습니다.


힐앤토는 제동 중 엔진의 회전수를 보정해주며 쉬프트다운을 하기 위한 방법이며 제동은 변화 없어야 합니다. 힐앤토를 쓸때와 안쓸때 제동이 달라진다면 힐앤토는 아무 쓸모가 없습니다. 싸제 동판 클러치, 압려판들이 들어갔거나 오래된, 쓸데없이 클러치가 예민한 차가 아니라면 제동에만 집중하다가 기어는 적절히 바꿔넣고 클러치를 붙이는 것이 최고입니다. 힐앤토는 위 지문님 말씀처럼 완만한 감속시 200-300rpm보상을 뒤꿈치나 옆꿈치로 꿀렁임없이 할수 있을때에나 도움이됩니다.
정리 : 코너링 전 준비 동작은 제동에 온 정신을 집중한다!
익숙치 않다면 쉬프트 다운 후 반클러치로 서서히 붙여주는 방법이 무난하지 싶습니다.
궁극적으로는 힐앤토 연습해서 활용하는 것이 좋겠지요. ^^
헷갈리신거같은데, 레브매칭을 오른발끝으로 악셀 치고 왼발로 싱글/더블클러치로 할 수도 있고, 힐앤토를 오른발끝으로 브레이크 밟은상태에서 뒤꿈치로 악셀을 치고, 왼발은 싱글/더블클러치로 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