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um


이제는 완연한 가을인가봅니다.
이곳 토론토는 며칠 째 간헐적으로 내린 비로 낙엽이 많이 떨어졌네요.
오랜만에 세차를 하고 사진을 찍었습니다.
아는 지인이 새벽잠 안자고 찍어주었습니다. 덕분에 저도 몇 컷 찍었는데 역시 고수와 초보의 차이는 사진 결과물만 보아도 알 수 있겠더군요.
Lexus보다 편안한 Audi라면 승차감을 생각하시고 다소 의외의 의견이라 의아해하시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겠지만 저는 차량을 Lexus에서 Audi로 바꾼 후에, 정확히는 Lexus SUV(RX330)에서 B 세그먼트의 Audi 세단으로 바꾼 후에 오히려 편하게 운전하고 있습니다.
물론 Audi나 Lexus 두 브랜드 모두 훌륭하고 절대적으로 어느 브랜드가 더 낫다라고 이야기할 수 없지만 경우에 따라 이곳 북미에서 가지는 Lexus라는 브랜드 이미지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느낍니다.
다소 젊은 나이(따지고 보면 그리 젊지도 않은 30대중반)에 걸맞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와이프랑 열심히 노력해서 장만한 Lexus RX330을 타고 다닐때에는 주변의 시선이 조금 부담스럽기도 했습니다. 그야말로 더할나위 없이 편하고 정숙한 Lexus가 제게는 맞지 않은 옷을 입은 듯 향후 20년 후에나 타고픈 차인 듯 싶어 차량을 바꾸게 되고 New VW GTI와 Subaru STi를 관심갖다가 욕심을 내어 Used(개인적으로는 재규어의 Previously Adored 라는 표현이 맘에 듭니다)Audi를 구매하게 됩니다.
Audi를 타게 되면서는 주변의 부담스런 시선이 덜해져서 오히려 Lexus RX330보다 더 편하게 운행하고 있습니다. 편하고 안락한 승차감과 각종 편의장비들을 갖춘 Lexus RX보다 Audi의 컴팩트 세단이 오히려 제게 편안한 건, 제가 원하는 성격의 차량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주변의 시선으로부터 더 편안해질 수 있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아버지도 차량을 바꾼 것에 대해 달갑지 않게 생각하시더군요. 다운그레이드라 생각하셨나봅니다. IKEA에서 가구 살 것이 있어서 며칠 아버지의 미니밴으로 바꾸어 타는 동안 아버지께서 제 차를 운전해 보시고 제 차량에 대해 알게 되신 다음에는 아버지 얼굴 표정이 밝아졌습니다. "야~ 차가 더 달리고 싶다고 안달하는 것 같더라!"라는 말씀과 함께...
그저 사진 몇 컷 올리려다 이야기가 장황하게 흘렀네요~
회원님들 모두 환절기에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P.S.
어느 사진이 제가 촬영한 것인지 금방 아시겠지요? ^^

2006.10.12 15:05:51 (*.192.187.141)

rx400h 는 잠깐 시승해보았는데 정숙함의 극치라는 하이브리드 차량임에도 suv가 가지는 한계는 분명히 존재하더군요. 다만 포지션이 높고 차량의 무게가 더 나가기 때문에 운전이 편안하다는 느낌은 가질수있어도 적어도 안락함 부분에서는 역시 세단을 따라가기 힘들죠.
2006.10.12 16:39:34 (*.152.101.67)
렉서스가 가지는 이미지가 상당한 것인지 아우디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인지, 제가 견문이 좁은 관계로 약간 의외라고 생각이되네요. 차가 주인을 잘 만나는게 중요할텐데 김휘영님은 어떤 차를 타셔도 멋지실 것 같습니다. 제가 자주 본 럭셔리 SUV 차주분들은 장바구니로 사용하시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뻥뚫린 도로에서도 60킬로 정도로 항속하는 카이엔터보를 볼때마다 가슴이 미어집니다..ㅜ.ㅜ
참 사진은 아래 사진인가요? ㅎㅎ
참 사진은 아래 사진인가요? ㅎㅎ
2006.10.12 20:13:27 (*.10.85.76)

미국에서의 렉서스 광풍(?)에는 RX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않았나 싶은데요...
지극히 주관적인 의견입니다만, 미국에서나 한국에서나 렉서스의 가치는 어느정도
고평가 되어있다고 봅니다..물론 시장의 다양한 니즈 중 가장 큰 볼륨에 가장 깔끔하게
응답했다는 면에서 가치평가를 하자면 그러한 네임벨류가 인정되지만 '자동차'의 원천적 목적이라는 면에서는 제게는 물음표 입니다.. 상대적으로 아우디의 저평가 부분은 아무래도 이전 모델들의 잔고장으로 인한 악명(?)에 의해서가 아닐런지..뭐 아무튼, 근래 엔화 자꾸만 떨어져 가는데도 가격 변화가 없는 렉서스가 사실 야속하기도 하고^^
지극히 주관적인 의견입니다만, 미국에서나 한국에서나 렉서스의 가치는 어느정도
고평가 되어있다고 봅니다..물론 시장의 다양한 니즈 중 가장 큰 볼륨에 가장 깔끔하게
응답했다는 면에서 가치평가를 하자면 그러한 네임벨류가 인정되지만 '자동차'의 원천적 목적이라는 면에서는 제게는 물음표 입니다.. 상대적으로 아우디의 저평가 부분은 아무래도 이전 모델들의 잔고장으로 인한 악명(?)에 의해서가 아닐런지..뭐 아무튼, 근래 엔화 자꾸만 떨어져 가는데도 가격 변화가 없는 렉서스가 사실 야속하기도 하고^^
2006.10.12 20:36:32 (*.215.1.84)

시승할때 들은 이야기가 고가의 하이브리드차량으로 일반 휘발유차량과의 가격격차가 없어지는 손익분기점이 6년이라고합니다 .. 차량구입후 7년째부터 유류비 절감의 효과를 가진다는 뜻이지요. 다만 배터리의 수명도 그정도라고 -ㅇ-;;; 6년후에 배터리 새로갈면 어찌되는것인지 ㅎㅎㅎ (하이브리드 배터리가 상당한 고가 부품인것은 다들 아시죠? ^^)
2006.10.13 09:55:24 (*.194.28.11)

사진실력의 차이를 카메라 차이 탓으로 돌려보기도 합니다... ^^
잘 팔릴만한 차를 만들어서 그런 것인지 마케팅 능력이 뛰어난 것인지 아니면 그 둘 다인지 모르겠지만 그러한 토요타의 능력에 대해서는 박수를 쳐주고 싶습니다. 다만 제 생각도 잦은 고장의 미국 및 유럽차량들에 질려버린 소비자들에게 렉서스라는 브랜드가 조금 고평가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RX330 살 때 세일즈맨이 400h를 사려면 장거리 운행이 많은 경우가 아니면 오히려 손해라고 하더군요. 재고를 팔아치우려는 속셈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잘 팔릴만한 차를 만들어서 그런 것인지 마케팅 능력이 뛰어난 것인지 아니면 그 둘 다인지 모르겠지만 그러한 토요타의 능력에 대해서는 박수를 쳐주고 싶습니다. 다만 제 생각도 잦은 고장의 미국 및 유럽차량들에 질려버린 소비자들에게 렉서스라는 브랜드가 조금 고평가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RX330 살 때 세일즈맨이 400h를 사려면 장거리 운행이 많은 경우가 아니면 오히려 손해라고 하더군요. 재고를 팔아치우려는 속셈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2006.10.13 14:36:17 (*.134.62.57)

연간 주행거리가 타나라보다 월등히 높은 미국에선 렉서스가 높은 인지도를 얻을수있었던건 타회사보단 쉬웠던듯합니다. 자동차를 생활의 필수품이며 잔고장들은 하루하루 생활에 큰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러면에서 렉서스가 높은 점수를 받은듯합니다. ^^
2006.10.13 14:39:12 (*.134.62.57)

반면 아우디는 90년대초에 미국 다큐멘터리쇼에서 급발진에 대한 TV쇼에서 우연치 않게도 테스트 차량을 Audi를 사용함으로써 매출액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으나...B5 A4의 뛰어난 판매량으로 지난 10년간 북미시장에선 유럽차중 가장 빨리 인지도를 높여논듯합니다. ^^
2006.10.16 10:49:41 (*.98.86.132)

2005년식(前차주가 2004년 9월 등록)입니다.
휠은 8J x 18, Offset 43mm (Stock 휠)이구요, 타이어는 235/40입니다.
감사합니다^^
휠은 8J x 18, Offset 43mm (Stock 휠)이구요, 타이어는 235/40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