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어느 문헌에는
'뒷바퀴가 먼저 락이 걸리기때문에
최대 답력을 이끌어 내지 않고 20-30퍼센트만 브레이킹후
브레이킹off
다시 풀브레이킹
이런식으로 조작을해야 전후륜 브레이킹 능력을 최대한 이끌어내고
하중배분에 좋다'
라고 본 적이 있는데 실제 영상에서는 코너진입전 한번에 브레이킹을 하는 듯 보이거든요.
정석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운용시 정차전 더블브레이크로 브레이크를 나눠 밟는 습관이 익숙해져있는데
상황별로 다른건지... 와인딩시에도 끊어 밟게 되네요.
2014.08.19 12:01:43 (*.70.59.33)

차량의 가속보다 감속이 훨씬 빠른데 간단하게 생각해도 브레이크를 나눠밟으면 그만큼 타임로스가 되는겁니다. 콤마초를 다투는 레이스에선 절대 하면 안돼죠 ^^ 그리고 왠만한 앙산차들은 다 전륜이 먼저 락킹됍니다. 애초에 이게 안전하기 때문에 제조사들에서 그렇게 만듭니다. 일반차들 전후륜 캘리퍼 크기만 봐도 알수 있죠 ^^
2014.08.19 12:57:08 (*.25.191.154)
뒤가 먼저 잠겨서 그걸 감안해서 브레이크를 나눠 밟아야 한다면 셋팅이 잘못된 차입니다.
한번에 길고 가늘게 쭈우우우우욱 해서 정차 시키는 것이 브레이크 건강에도 좋습니다.
2014.08.19 13:08:39 (*.62.172.46)

경험으로 어렴풋하게 생각하던것을 잘 정리한 사이트가 있어서 링크걸어드립니다
http://m.blog.naver.com/mockory/220091356149
http://m.blog.naver.com/mockory/220091356149
2014.08.19 13:58:02 (*.149.179.195)
하중이동을 한후 브레이킹을 하는 것은 맞지만 그 이유가 뒷바퀴가 락이 걸려서 그런거라면 하중이 앞으로 가면 뒷바퀴는 락이 더 잘걸리겠지요? 제가 아는바로는 반대로 앞쪽 하중이 빠진 상태에서 갑자기 강하게 브레이킹이 들어가면 앞바퀴가 락이 걸리기 때문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프로드라이버들은 드라이버마다 풀브레이킹전 하중을 이동하는 방법은 조금씩다르지만 대부분 드라이버가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글쓴분 말씀처럼 살짝브레이킹후 뗐다가 다시 밟기도하고, 그냥 브레이킹강도를 점진적으로 강하게 늘려가기도 하고 살짝브레이킹으로 하중을 주고 그상태에 곧바로 강하게 밟는 방법도 있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이 동작들이 짧은 시간 안에 이뤄지기 때문에 로스는 거의 없으며 더강한 브레이킹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로 랩타임은 줄어든다고 합니다.
2014.08.20 09:03:40 (*.166.139.3)
저두 예전에 하중이동 공부할때 본 내용인데
그냥 풀브레이킹 들어가면 앞으로 하중이 쏠려서 뒷바퀴의 그립을 다 못쓰므로
풀브레이킹 직전에 브레이크를 한번 밟았다 떼서(정확하게는 흔든다는 개념일듯합니다) 차의 하중이 앞으로 쏠렸다가 다시 뒤로 몰려오는 타이밍에 풀브레이킹을 걸면 네바퀴 고르게 하중이 걸려 그립을 다 쓸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근데 저두 연습좀 해봤는데 결과적으로 저렇게하면 앞바퀴에 천천히 하중을 줘서 브레이킹그립을 높이는 방법과 반대되는 개념이기도하고.. 풀브레이킹 들어가는게 사실 반의반타이밍이라도 브레이크를 늦게 밟아야한데 그와중에 한번 밟았다 뗀다는게 영 안와닿더라구요.
사실 풀브레이킹 들어갈때 앞바퀴 락이 안걸리려면 초반에 너무 콱 밟지 말고 서서히 주면서 들어가야하는데, 저 방법을 쓰면 앞바퀴 락이 걸릴 확률이 높아지더라구요. 정말 고수나 선수들은 어떨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풀브레이킹 들어가면 앞으로 하중이 쏠려서 뒷바퀴의 그립을 다 못쓰므로
풀브레이킹 직전에 브레이크를 한번 밟았다 떼서(정확하게는 흔든다는 개념일듯합니다) 차의 하중이 앞으로 쏠렸다가 다시 뒤로 몰려오는 타이밍에 풀브레이킹을 걸면 네바퀴 고르게 하중이 걸려 그립을 다 쓸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근데 저두 연습좀 해봤는데 결과적으로 저렇게하면 앞바퀴에 천천히 하중을 줘서 브레이킹그립을 높이는 방법과 반대되는 개념이기도하고.. 풀브레이킹 들어가는게 사실 반의반타이밍이라도 브레이크를 늦게 밟아야한데 그와중에 한번 밟았다 뗀다는게 영 안와닿더라구요.
사실 풀브레이킹 들어갈때 앞바퀴 락이 안걸리려면 초반에 너무 콱 밟지 말고 서서히 주면서 들어가야하는데, 저 방법을 쓰면 앞바퀴 락이 걸릴 확률이 높아지더라구요. 정말 고수나 선수들은 어떨지 잘 모르겠습니다.
2014.08.20 11:08:01 (*.101.85.225)
너무 오래전에 본 내용이라 어디서 봤는지도 기억이
잘 나지 않네요. 여기저기서 잡다하게 보는편이라...ㅜㅜ 저도 실전에서 연습좀 해봤는데, 써보면 뒷바퀴그립도 나름 살릴수있기는한데 급박한 상황에선 그렇게 안되더군요. 어차피 브레이킹들어가면서 선회하기 전에 (정확히는 브레이킹 시작 직전에) 사용하는 기술이라 선회에는 그렇게까지 영향을 주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일부 선수들과 전문가들은 힐앤토 어설프게 치면서 그거 신경쓰느라 풀브레이킹 제대로 못하느니 힐앤토 아예 치지 말라고 하는 마당에
저거 신경쓰며 타기 쉽지 않더라구요.
이 기술이랑 스칸디나비안 플릭이라고 스칸디나비안 랠리선수들이 사용하는 역페인트모션도 써보고 했는데, 그냥 기본에 충실한게 일단 가장 중요한거 같습니다. 노면 안좋은데에서 요가 잘 안붙는 차량은 스칸디나비안 플릭도 쓸만합니다. 위험해서문제이지만요...
잘 나지 않네요. 여기저기서 잡다하게 보는편이라...ㅜㅜ 저도 실전에서 연습좀 해봤는데, 써보면 뒷바퀴그립도 나름 살릴수있기는한데 급박한 상황에선 그렇게 안되더군요. 어차피 브레이킹들어가면서 선회하기 전에 (정확히는 브레이킹 시작 직전에) 사용하는 기술이라 선회에는 그렇게까지 영향을 주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일부 선수들과 전문가들은 힐앤토 어설프게 치면서 그거 신경쓰느라 풀브레이킹 제대로 못하느니 힐앤토 아예 치지 말라고 하는 마당에
저거 신경쓰며 타기 쉽지 않더라구요.
이 기술이랑 스칸디나비안 플릭이라고 스칸디나비안 랠리선수들이 사용하는 역페인트모션도 써보고 했는데, 그냥 기본에 충실한게 일단 가장 중요한거 같습니다. 노면 안좋은데에서 요가 잘 안붙는 차량은 스칸디나비안 플릭도 쓸만합니다. 위험해서문제이지만요...
급격하게 밟을때는 전륜에 하중이 옮겨지기 전에 제동압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ABS가 빨리 개입하구요
요즘 ABS 장착차량은 풀브레이킹시 리어쪽 압력을 일정수준이 되면 알아서 컷트하기 때문에 신경 안쓰셔도 되구요
만약 제동압력이 앞뒤 5대5로 만 고정이라면 저 방법을 써야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