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Impression
포르쉐는 차를 소유한 사람이건 아니건 이차를 스치는 모든 이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준다.
나 또한 포르쉐를 접하지만 어떤 차를 시승한 이후에 이처럼 여운이 오래도록 남는 차는 없다.
997 GT3 RS 4.0이라는 차를 만나러 가야한다.
급작스럽게 잡힌 시승 약속을 머리속에 그리며, 저녁으로 먹은 돼지고기는 입으로 들어가는지 코로 들어가는지… 지금 도대체 그놈의 돼지 목살은 어디서 먹었는지 기억도 없다. 아니 왜 하필 이런 시승을 앞두고 돼지고기를 먹는 회식이 있었는지…
한가지 확실한 기억은 997 GT3 RS 4.0을 만나러 가는데, 고기 구워 먹은 냄새를 풍기며 가는 것은 명차를 시승하는데 대한 예의가 아니라는 생각에 엄청 타이트한 시간을 내어 나의 CC로 동작대교를 200km/h로 건너 집에 도착해 1초만에 모든 옷을 빨래통에 집어 던진 후 샤워를 하고 속옷까지 모두 새옷으로 갈아 입고 다시 동작대교를 200km/h로 건너 약속장소로 달려갔던 것이다.
997 GT3 RS 4.0를 느끼는데 내 몸에서 풍기는 돼지고기 냄새는 분명 오감의 센서를 최대치로 키우는데 방해가 될 것이었다. 그리고 이런 훌륭한 차를 만든 사람입장에서도 지저분하게 냄새나 풍기는 자칭 카매니어란 놈이 차에 올라 가속패달을 비비는 상상을 하면 잠이 오지 않을 것이다.
나 스스로 명차에 예를 갖추는 방식이란 이런 것이었다.
실물로 보니 정말 돌덩어리처럼 보였다. 이런 차를 만들 수 있는 브랜드는 포르쉐 뿐이다.
997 GT3 RS 4.0에는 모든 것이 담겨있다.
600대 한정생산, 마지막 GT3수동 모델, 98년부터 르망 레이스에서 사용했던 GT1레이싱 블록을 사용한 마지막 모델, 직분사 대신 MPI방식을 사용한 마지막 GT3모델, 포르쉐 레이싱 엔진의 대가 한스 메츠거의 손길이 닿은 엔진을 얹은 마지막 포르쉐 등등등
NA 500마력의 대단함은 터보로 올려놓은 출력과는 차원이 다르다.
997 MK1터보가 3.6리터 480마력이었다. 직분사로 바뀐 3.8 터보가 500마력이었다.
터보차져도 없이 같은 배기량으로 500마력을 자연흡기로 만든다는 것은 MK2 터보 3.8버전을 욕되게 할 정도로 강력한 출력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과급없이 높은 숫자를 만들기는 매우 힘들다. 터보엔진에 비해 훨씬 높은 회전수를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훨씬 높은 수준의 정밀함을 요구한다.
타이트한 버킷시트에 앉아 997 GT3 RS 4.0이 풍기는 모든 것을 느끼기 위해 숨소리마저 죽였다.
이차가 전해주는 모든 것 심지어 실내의 냄새, 아니 나는 실제로 배기통에 코를 대고 수평대향 3.8엔진이 뿜어내는 배기가스까지 마셔보았다.
타이어의 표면도 손으로 만져보았다. 이 타이어가 엄청난 가속과 감속 그리고 코너를 견뎌줄 바로 그 대견한 녀석이었기 때문이다.(기본 장착 타이어는 미쉐린 컵타이어지만 오너의 취향에 따라 미쉐린 PSS장착된 상태였음)
정말 이 차를 곁에 두고 마치 발가벗겨진 엄청난 미인을 품고 싶어 바로 미치기 직전의 바로 그 순간 바로 그 느낌으로 시동을 걸었다.
오른팔로 느끼는 1단의 치합은 정확하고 간결하면서 절도가 있었다.
997터보 수동에서는 느끼기 힘든 느낌으로 오직 GT2와 GT3에서만 느낄 수 있는 타이트함이다.
가속패달을 밟으면 너무 심하게 회전수가 상승한다.
알 것 같다. 이 느낌, 정말 조심해서 가속패달을 다뤄야 하는 바로 그 조심성…
997 GT3 RS 4.0는 경고 미리 경고한다. 아주 정교한 패달링이 없이 함부로 가속패달을 가지고 장난치지 말라는….
2단과 3단 그리고 4단 모든 것이 새롭다. 전혀 다른 세상에서 전혀 다른 인간들이 만든 그 특별한 포르쉐를 몰고 있다.
풀쓰로틀을 해서 8500rpm을 찍는 순간 재빨리 다음단으로 넣고 정확한 포인트에 충격없이 클러치를 미트시키는 바로 그 박자를 이렇게 예민한 엔진을 가지고도 가능할지 자꾸 걱정이 되었다.
997 GT3 RS 4.0가 나를 받아들일까? 남녀가 교감을 나누고 DNA가 섞이는 바로 그 느낌으로 궁합을 맞춰야 진짜 제대로 시승을 했다 말할 수 있다.
난 굴욕적인 시승을 원하지 않는다. 실내 온도를 21.5도로 맞춰둔 에어컨은 상당히 시원한 바람을 뿜어내지만 내 이마에는 식은땀이 맺혀 있었다.
시승을 한지 수주가 지난 지금 그 순간을 회상하며 글을 적고 있는 이순간에도 내 이마의 땀방울의 개수를 기억할 만큼 생생하다.
회전수의 상승도 빠르지만 하강도 무지막지하게 곤두박질 친다.
독일에서 웨버 트윈 카브레타가 장착되었던 73년 카레라 RS시승했을 때의 느낌과 가장 흡사한 최근의 911이다.
일반적인 수동 운전법으로 이차를 충격없이 시프트 업 다운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아주 미세하고 잦은 액셀링으로 회전수를 늘 맞추고 변속기를 움직이는 박자와 시간을 몸으로 느껴 클러치가 붙는 시점에 충격이 있을지 없을지를 판단해 거기에 맞는 액셀링을 해줘야 한다.
997 GT3 3.6, 3.8을 모두 300km/h이상 몰아본 경험으로 997 GT3 RS 4.0는 분명 이전에 타봤던 차들보다 엔진의 느낌이 예민하다.
예민함은 자동차에서는 또 다른 의미의 신경질적인 부분이다. 자동변속기를 가진 차로 엔진 고유의 디테일한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수동이 의미가 있는 것이다. 수동은 엔진이 가진 다양한 얼굴을 볼 수 있게 한다.
운전의 기술이 늘수록 느끼는 폭과 깊이도 크다.
기다렸던 풀가속을 했다. 8500rpm마다 변속해나가는데, 8000rpm을 지나도 그 마지막 500rpm을 힘없이 타력으로 마크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한도계가 허락하는 마지막 rpm까지 정말 정성스럽게 돌린다.
회전밸런스는 힘을 고르게 뿜어내고 오차없는 정교함은 실제로 출력을 높여주는 역할도 한다.
스포츠 엔진은 그만큼 정교함을 요구하고 정밀함이 주는 출력의 시원한 상승은 밟을 때마다
엔돌핀을 뿜게 만든다.
6단 300km/h를 달릴 때 뿜어져 나오는 배기음과 노면에서 올라오는 느낌 그리고 특유의 공력특성 911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997 GT3 RS 4.0이다.
상당히 하드한 하체 특성은 고속에서 신경질적인 특성으로 이어질 것 같지만 실제로 GT3는 과거시승때도 느낀 부분이지만 고속에서의 공력특성에 힘입어 고속코너에서 일반 카레라보다 라인을 지키기가 오히려 쉽다.
다만 미세한 고속코너를 3단부터 6단까지 가속해나가는 과정속에서 스티어링에 조타가 들어있는 그 상황에서 클러치를 끊는 그 순간 턱인으로 머리가 심하게 안쪽으로 붙기 때문에 특히 5단에서 6단과 같은 250km/h오버 상황에서는 정말 조심해야 한다.
코너에서 풀가속으로 속도를 높일 때 기어변속을 하게 되면 스티어링을 수정할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GT3 3.6이나 3.8도 마찬가지였고, 대체로 911 수동을 오래 몰면 자주 느끼게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911이 기계식이나 전자식 LSD가 장착된 FR후륜구동형과 다른 점은 완만한 코너에서 가속을 해나갈 때 FR처럼 뒤가 감기는 느낌없이 미세한 언더스티어를 발생시키며 가속해나간다.
그러다가 가속패달을 놓으면 슬립앵글이 없어지면서 꺽은 양만큼 안쪽으로 차가 붙는 현상이 발생한다. 수동변속기 모델이 아니면 느낄 수 없는 911 고유의 특성이기도 하다.
315km/h까지 마크했지만 여전히 250rpm정도 남았고, 좀 더 긴 직선이 있었다면 마지막까지 붙였을 것이다.
일반 GT3보다 서 있는 리어 윙의 각도 때문에 고속에서 훨씬 높은 다운포스를 만들기 때문에 310km/h이상에서의 속도 상승은 3.6모델이 조금 더 빨랐던 것 같다.
전체적으로 기어비가 높고, 최대한 쥐어 짜는 느낌으로 운전하게 되는데, 6000rpm이후의 진중한 파워와 예리한 느낌이 극대화되어 6000~8500rpm의 느낌은 오직 전세계 600명의 오너만이 자신들이 원할 때 느낄 수 있는 희열이라 더욱 더 소중하다.
이차를 레이스 트랙에서 몰던, 공도에서 몰던 상관없다. 복잡한 장비를 갖추고 있지 않은 GT모델이지만 너무나 완성도가 높고 300km/h를 넘나드는 상황에서도 오일온도는 100도 이상을 가르켜 본 적이 없다.
세라믹 브레이크는 왠만큼 강하게 밟지 않는 한 제동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가늠하기 조차 어렵다.
와인딩에서 잠시 경험해본 997 GT3 RS 4.0는 몸으로 느낄 수 있는 원심력이 거의 없을 정도로 코너에서 속도에 대한 개념을 헛갈리게 했다.
정교한 엔진반응은 아주 극도로 리니어할 때 코너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고 코너에서 속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코너에서는 한계영역을 컨트롤 할 때 정말 필요한 파워를 Millisecond단위로 쪼개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포르쉐는 차도 알고 레이스도 아는 브랜드이다.
이 두가지 모두 포르쉐처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차를 오랫동안 만들어왔던 브랜드는 없다.
페라리도 레이스라면 최고봉이지만 페라리를 Daily driver로 사용하는 경우가 없다는 것은 포르쉐와 큰 차이가 난다. 포르쉐는 수십만킬로를 매일 타고 다녀도 일반 승용차에서 요구하는 내구력을 모두 소화해내는 스포츠카이다.
십수년전 964타르가 23만킬로를 주행한 차를 시승해본 적이 있는데, 오너는 이차를 서킷데이때와 일상에서 모두 사용하고 있었다.
포르쉐는 Racing heritage를 통해 상품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잘 아는 브랜드이다.
그만큼 유럽에서 포르쉐가 거두었던 각종 업적과 레이싱 역사는 그들이 Special product를 기획할 때 아주 요긴하게 사용된다.
한스 메츠거는 더 이상 포르쉐의 엔진을 만지지 않는다.
직분사로 바뀐 911은 이미 Chapter2로 넘어가 계승해야 할 것과 그렇지 못한 것들이 구별되고 말았다.
위대한 브랜드란 매니어들에 의해 회상될 수 있는 과거의 모델이 많을 때 완성된다.
현재 모델의 성능이나 수치상 능력이 어떻든 과거의 모델들을 회상하며 기억하는 바로 그 기억들이 쌓이고 쌓여 명품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다.
997 GT3 RS 4.0는 분명 과거에서 미래로 가는 바로 그 정점에 서 있는 그런 모델이다.
이를 몸으로 보여주고 자동차가 보여줄 수 있는 그들만의 언어로 표현한다.
그 표현의 깊이 그리고 진지함 그 정성과 포르쉐 혼을 담아 이것들을 알아주는 그 누구에게 전달하고 싶어했을 그 만든이에 대한 존중심이 없이 997 GT3 RS 4.0의 수치상의 성능만 가지고 평가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
좋은 차가 탄생할 수 있는 배경은 열정이 있는 엔지니어만으로는 어렵다. 회사 전체에서 이런 차를 만들 수 있는 기획을 허락한 그 메니지먼트의 마인드와 철학, 자금, 시간, 테스트 그 모든 과정이 소중하다.
한국의 차만들기가 참으로 의미있는 지난 20년을 보냈다는 사실, 선진브랜드를 정말 많이 따라잡았다는 사실, 우리 고유의 품질기준에 입각해 전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환영 받는 차를 만들었다는 사실… 하지만 꼭 997 GT3 RS 4.0급의 차가 아니더라도 이런 열정과 기술로 똘똘 뭉친 차를 시승해 보면 한국차가 가야할 길이 얼마나 먼지를 반복해서 느끼게 된다.
상품에는 스토리가 있어야 한다. 우리가 만든차에 필요한 것은 바로 그 스토리이다.
거창하게 역사까지 갈 것도 없다. Heritage를 이야기하기 이전에 스토리가 있는차, 과거, 현재, 미래로 연결되는 연관성을 가지는 것에 대한 그 의미를 우리의 자동차회사는 깨닫고 제품에 반영해야 한다.
-testkwon-

- 1.jpg (129.0KB)(2)
- IMG_8159.jpg (75.5KB)(1)
- IMG_8160.jpg (84.6KB)(1)
- IMG_8161.jpg (97.3KB)(1)
- IMG_8162.jpg (85.4KB)(1)
- IMG_8163.jpg (129.3KB)(1)
- IMG_8164.jpg (103.6KB)(1)
- IMG_8165.jpg (110.2KB)(1)
- IMG_8166.jpg (114.6KB)(1)
- IMG_8168.jpg (149.1KB)(2)
- IMG_8169.jpg (120.6KB)(1)
- IMG_8170.jpg (107.0KB)(1)
- IMG_8171.jpg (122.6KB)(1)
- IMG_8172.jpg (106.5KB)(1)
- IMG_8173.jpg (92.2KB)(1)
- IMG_8174.jpg (111.5KB)(1)
- IMG_8174-1.jpg (156.9KB)(1)
- IMG_8175.jpg (83.9KB)(1)
- IMG_8176.jpg (94.9KB)(1)
- IMG_8178.jpg (101.3KB)(1)
- IMG_8179.jpg (116.0KB)(1)
- IMG_8180.jpg (116.8KB)(1)
- IMG_8181.jpg (126.8KB)(1)
- IMG_8181-1.jpg (132.2KB)(1)
- IMG_8182.jpg (52.5KB)(1)

저도 드림카가 gt3 rs인데 마스터님 시승기를 읽어보니 드라이빙 스킬을 지금 보다 두세배는 연마해야 제대로 탈수있겠네요ㅜㅜ
저도 처음에 rpm이 생각보다 너무 잘 떨어져서 좀 고생했던기억이 있네요^^;
매뉴얼 포르쉐의 느낌.. 그것도 궁극의 포르쉐의 느낌이 어떨지...
감히 상상하기도 어렵네요.
오랜만에 마스터님의 긴장감이 느껴지는 시승기입니다.
시승기를 읽을수록 저같은 드라이빙 하수는 오히려 폴쉐바이러스 백신을 맞고 싶을정도로
범접하기 힘든 스페셜카로 느껴집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조만간 마스터님 주차공간이 한대 더 좁아지는 결과가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그간의 시승기에서는 느끼지 못했던 무언가가 이번 시승기에는 있네요.
자동차가 아닌 우주인이 만든 작품을 시승하신 것 같습니다.

포르쉐의 일반적인 다른 모델들 조차도 현재 제가 자동차를 즐기는 방식과 형편에는 거리가 있기에 시승기를 읽는 것으로 늘 끝마치곤 했었는데 이번 시승기를 읽고 난 후에는 댓글을 하나 남기고 갈 만큼 미경험 영역으로부터의 강렬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주 진지하고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

시승기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저도 GT3 RS 4.0의 느낌이 궁금했었는데, 시승기를 통해 대리만족 했습니다..^^
전 한번도 예를 갖추어 타보질 않아서..그냥 기분 내키는 대로 수시로 끌고 나가는 스타일이라서...
마스터님의 예를 갖추고 타는 것에 ..와 ~~대단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제가 현재 소유하면서 즐기고 있는 수동차량의 느낌을 적어보자면
카이엔 GTS 수동 : 클러치 답력은 박스터정도로 가볍고, 롱기어라서 약간 노를 젓는 느낌..
997 터보 수동 : 순정 클러치의 경우 클러치 답력은 박스터정도로 가볍고 카이엔 GTS 보다는 덜 노를 젓는 느낌..
GT2 클러치 컨버젼 : 지금까지 사용한 클러치중 답력이 제일 강하고, 기어변속후 끊김없이
바로 동력이 연결되는 느낌이고, 기어변속감은 절도가 있으면서 부드럽습니다
997 GT3 RS : 클러치 답력은 GT2와 비슷하면서 기어변속감은 아주 타이트하고 짧은 스트록을 보여줍니다..
클러치 변속과 엔진의 감성은 터보와는 완전히 다른 느낌입니다.. 8,000rpm 이상일때 엔진음이 주는 감성은
뭐라 표현하기 힘들정도로 제게는 황홀함을 선사합니다. 처음엔 비오는 날에 타는 것도 약간 망설여졌는데
컵타이어로 비오는 날에 그럭저럭 타고 난 이후로는 터보처럼 편하게 타고 있습니다..중고 입양후 1년동안
열심히 타니까 부담스럽지 않고 너무 재밌습니다..
B7 RS4 : 클러치 답력은 너무 얌전할 정도로 가볍습니다..8.000rpm까지 올라가지만 엔진감성은 글쎄요..
이차는 입양한지 이제 3주가 지나상태라 속단하기는 아직 이르지만, 저한테는 큰 감흥을 주지는 못하네요..
GT3 RS가 주는 감성이 나머지 3대를 합친 감성보다 월등합니다...

남산에서 여러 번 마주한 차량이 맞네요.
주차장에서는 옆 차가 문콕 낼까봐 유심히 봐드린 적도 있습니다. ^^
실물이 정말 대단했습니다!

오래 기다렸던 시승기 잘 보았습니다.
시승차에 대한 예의 부분에서는 정말 숙연해 지네요.
마스터님을 만나 시승 '당한' GT3 4.0 입장에서도 모처럼 반가운 시승자가 아니였을까요?
자기보다 자신을 더 깊게 이해하는 친구를 만났듯한 기분이였을 겁니다.

동작대교는 하도 표면이 쭈글하고 다리 입/출구에서 이상하게 운전하는 차량들이 많기때문에 200킬로로 달리면
상당히 후덜덜합니다.

"아주 미세하고 잦은 액셀링으로 회전수를 늘 맞추고 변속기를 움직이는 박자와 시간을 몸으로 느껴 클러치가 붙는 시점에 충격이 있을지 없을지를 판단해 거기에 맞는 액셀링을 해줘야 한다."
이걸 의도하고 포르쉐도 차를 만들었을지 궁금합니다. 독일 친구들이 워낙 정확한 사람들이라 왠지 이른 의도로 만들었으면 메뉴얼이라도 내 놓았을 한 것 같아서 말이죠 ^^;
"우리가 멋진 차를 만들었으니 주인은 거기에 적응해!" 는 왠지 이탈리안스러운 것 같아서요 ㅎㅎ
너무 멋진 시승기 감사합니다 :)

개인적으로 Lotus 차량을 두대째 타고 데일리카로 토요타 86을 타는 40대 초반 남성입니다.
Porsche는 늘 어릴적 꿈이었으면서도 막상 뭔가가 와 닿지 않는 저에겐 먼 브랜드였습니다.
일단 생긴게 개인적으로 크게 마음에 들지 않아서 그랬겠지요. 상대적으로 Lotus나 Ferrari가 더 멋져 보이는 건 사실. 지나가는 포르쉐가 멋지다고 느끼지를 못해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얼바전부터 GT3가 눈에 아른거리기 시작했습니다. 다음차는 꼭 페라리여야 한다는 (현행이든 클래식이든) 아집에 사로잡혀 있고 아니면 차라리 MV 아구스타 바이크를 타리라. 이런 생각을 하던차. 어느 순간 갑자기 GT3가 머리 속에서 떠나질 않아서 마스터님의 리뷰에 글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여기까지 다시 와서 읽어 보는 순간입니다.
포르쉐를 타보지 않고 이야기 하지 말라는 글도 어디선가 보았고, 포르쉐가 페라리보다 느릴 지 몰라도 스펙상 떨어질지 몰라도, 혹은 닛산의 GTR이 포르쉐보다 더 빠르고 강할지 몰라도 포르쉐에 대한 열정과 프라이드, 그 감성은 사라지지 않는 것을 보아서는 역시 포르쉐만의 영역과 메리트가 분명 있어 보입니다.
사실 이 글을 읽고는 GT3에 대한 의문이 더 강해졌습니다. 굳이 RS가 아니더라도 9000 RPM 까지 올라가는 GT3가 있는데 그 보다 약한(?) 일반 카레라S 에 눈이 가지 않을 것 같아 걱정입니다. 사실 Lotus가 있어서 늘 퓨어한 감성은 충분히 차고도 남는데 (오늘도 출근은 일부로 Lotus를 타고 나왔습니다) 왠지 평소 911을 타고 출퇴근 하고 싶어집니다. 마세라티냐 911이냐 하면 사실 전 911을 타고 출퇴근하는게 가장 행복할 것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GT3 라면 어"떻게 될까.
혼자만의 상상과 혼자만의 억측과 혼자만의 이런 고민들이 너무 행복합니다.
어릴적 포르쉐가 한때 꿈이었다가 멀어져버린 지금 다시 이 나이가 되어서야 다시 포르쉐에 눈이 가고 페라리 보다 더 뭔가 끌리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나이가 들어서 일까요? 누구의 말처럼 결국에는 포르쉐로 간다라는 것은 이런 것을 두고 하는 말일까요? 개인적으로 50이 넘으면 포르쉐를 탈까 아껴두려 했습니다. 그 전에는 로터스든지 페라리든지 내 심장을 고동치게 만들지 않는 차는 근처에 가지도 않으리라, 차라리 뛰고 걸으리라 생각했던 사람인데, 갑자기 2015년 해가 바뀌고 포르쉐를 꿈에서도 타고 있습니다.
예전 로터스도 그랬습니다. 꿈에 나타나기 시작하니 결국 제 손에 들어오게 되더군요. 한대는 절벽으로 날려먹고 결국 그 로터스 감성을 잊지 못해 현재 Exige S까지 오게 되었지만, 포르쉐 911에 대한 - 오죽하면 외계인이 만들었다고 하는 - 그 스파르타하고 게르만적인 극한의 쇳덩어리 감성을 느껴보고 싶습니다. 로터스를 만든 천재와는 또 다른 천재가 만든 자동차 포르쉐.
이 글을 시작으로 마스터님의 포르쉐 과거 시승기를 다시 또 읽어 보려 커피 한잔 대령하고 점심 시간에 짬을 내거 읽어 보려 합니다.
이거 큰일이네요. 당장 911s 부터 사서 타고 다녀야 속이 후련해 질 느낌입니다. GT3는 조금더 적응한 1-2년 후에나, 늘 꿈에만 두고 그리는 뭔가가 있어야 살아갈 힘이 생기는 타입이라. 하지만 결국 GT3로 가야 직성이 풀리겠지요.
그래도 Lotus는 늘 제 BEST 입니다. 언제나 죽을때까지 늘 1대는 있어야 내가 살아 있음을 느끼게 하는 유일한 차는 누가 뭐라고 해도 Lotus 입니다. 제겐.
Lotus가 감성의 욕구를 채워주는 반면 Porsche는 그와는 또 다른 이성적 욕구를 채워주는 녀석이라 나름 정의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선댓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