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http://www.tirerack.com/tires/surveyresults/surveydisplay.jsp?type=UHPAS
타이어랙에서 Ultra High Performance All-season 타이어중 종합성능 2위를 기록하고 있는 DWS입니다.
(현재는 S1 noble2 가 1위이며 소비자들의 결과에 의해 랭킹됩니다.)
S1 noble2의 경우 출시된지 얼마 되지 않았고 DWS의 경우 출시된지 상당기간 지났는데, 위 링크를 보시면
소비자들의 누적된 마일리지가 엄청납니다. 오랜시간 제대로 검증된 제품이라는 것이겠죠.
DWS의 경우 폭설이 내리는 시즌에 윈터타이어 대신에 교체할정도로 스노우나 아이스에서 강력한 성능을
보여준다하여 큰 관심이 가게 되었는데..
실제 DWS를 사용해보신분들은 어떤가요?
S1 noble2의 경우 전체적인 소비자결과치가 DWS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주던데(윈터는 약간 낮음), 일단 DWS를
사용해보신분의 후기가 상당히 매력적이라면 구하기 쉬운 S1noble2로 겨울을 보내야겠습니다.
참고로 현재 4X 사용중인데 타이어랙에 나온 수치대로 스노우나 아이스에서는 그럭저럭 가주는 편입니다.
DWS 스노우타이어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7/32nd에서 트레드에 써 있는 D W S 중에 S가 닳아서 없어지는데, 그거 없어지는 시점부터는 눈길에 사용할 수 없단 뜻입니다. 1년만에 그렇게 닳아버리던데 그 돈이면 넥센 급 저렴한 스노우타이어 따로 한 세트 굴리는게 오히려 저렴합니다. 근데 트레드 3/32nd 남은 시점에서도(트레드의 W자 까지 닳아 없어진 이후) 도로가 보이지 않게 덮인 눈길인데 주행은 가능하더군요. 제가 하고 싶어서 한건 아니고... 이미 여행을 떠났는데 목적지 일기예예보가 맑음 에서 폭설 눈보라로 바뀌어서 어쩔 수 없이..... (절대 다른 차들보다 빨리갈 순 없습니다.)
웻 그립은 드라이보다 쬐끔 안좋구요, 그 이유는, 웻 그립이 좋단게 아니라 드라이가 그렇게 UHP급의 그립을 보여주진 않는거 같습니다. 트레드가 부드러워서 거친 노면에서 잡아돌리거나 하중이동 똑바로 안하고 감기만 하면 코너 몇개만 실수해도 타이어 블럭이 다 말해줍니다. 타이어 다 써 갈때 마모 한계선 근처까지 오면 드라이가 좀 더 잘 붙습니다.
수막현상은, 충분한 깊이의 물을 충분히 빨리 다니면 다 생기는거라 말하기 뭐하지만, 배수력이 좋은 편에 속하는 것 같습니다. 빗길에서 V12에보처럼 미끄러워서 아찔한 적은 65,000km 주행하면서 한번도 없었습니다.
사이드월이 물렁거리긴 합니다. 근데 제 타이어는 옆에 44psi 맥스 라고 써있긴 했는데 냉간시 44 넣고, 달릴때 48까지 올라가게 하면 .. 뭐 탈만 하게 탄탄하더군요. 바람을 더 넣어서 그립이 떨어지는 현상은 거의 느끼지 못할 정도였습니다.
요코하마 YK580이 DWS와 트레드 무늬가 거의 똑같던데, 한국이랑 가까운 일본이라 DWS보다 더 싸게 구하실 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지금 쓰시는 타이어나 지금까지 쓰셨던 타이어를 알면 비교해서 알려드려도 좋겠네요
요즘은 말이 안나오는걸 보니 개선한듯 싶기도하고...
스노우는 잘 모르겠는데 나머지는 평이 좋더군요

노블2 불량이 있는거 같습니다. 90km만 넘어가면 핸들이 덜덜떨려서 휠발란스가 안맞나 생각하고 3번 휠발란스 2번 얼라이먼트 4짝휠 새거로 교환 앞쪽 로우암 교체 프로펠라샤프트 교체해도 안잡혀서....
혹시나해서다른타이어교환해보니 전혀 안떨더군요 2013년 9월 생산분인데 사업소말로는 똑같은 생산년도 타이어도 문제있어서 바꾼적있다 사업소에서 말씀하시더군요
그래도 한국타이어에 제일좋은 프리미엄 타이어인데 많이 실망했습니다. 새거로 교환은 해준다는데 앞쪽2짝만 아직 바빠서 못갔지만 지금까지 시간,돈쓴거생각하면 열받습니다. 절대 타이어문제라고는 생각안했는데....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