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여기계신 분들도 경험해보신분들도 많이 계실듯 한데요
00년 전후로 해서 중형 수동변속기 차량에 장착되는 플라이휠은
검색해보니 대부분이 '듀얼매스 플라이휠 dual mass fly wheel'이더라구요
흔히 플라이휠은 쇠(주철? 재질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엄청 단단하고 거의 마모안되는
반 영구적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로된 원반으로 단순한 구조인데 반해
듀얼매스 방식은 플라이휠 두장이 겹쳐져있고 가운데 스프링이 들어가있는 복잡한 구조죠
(그 스프링 덕분인지 듀얼매스플라이휠에 조합되는 클러치디스크에는 스프링이 안들어가죠)
근데 단가가 어마어마하게 비싸고(그냥 싱글매스 방식이 4만원인가인데 이거는 부품값만 50만원 이상..
게다가 미션내리는 공임비만 수십만원...)내구성이 굉장히 약해서 이 듀얼매스플라이휠이 적용된 차량치고
문제안일으키는 차량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대개 문제는 듀얼매스플라이휠이 움직이는 유격이 엄청 커지는 문제가 생기는데
이런문제가 생기면 플라이휠 + 클러치디스크 + 압력판 을 교체하는데 부품값+공임비 더하면 백만원 이상나옵니다.
저도 처음에 중고로 샀을때(구형 투싼)엑셀을 깊게 밟으면 엄청난 진동이 왔는데 그냥 살살 타고다니다가
얼마안되서 중립시에 엄청난 진동이 생겨서 미션을 열어보니
플라이휠에 상당한 유격이 생겨있고 압력판이 미션케이스를 때려서 한쪽이 하얗게 마모되었더라구요.
클러치디스크는 좀 남아있었으며 타고다닐때 슬립같은거는 없었으나 죄다 교환한 경험이 있는데..
1) 독일 LUK사 제품이라는데 듀얼매스플라이휠의 경우 소모품이 맞는걸까요? 만약 소모품이라면
수명은 대충얼마정도인지....
(최소 100만원이니 웬만한 오토미션 통으로 교체하는 비용이 아닌가 하네요)
2) 또한 듀얼매스방식이 싱글매스 방식에 비하여 갖는 특성이 어떤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많은 차를 몰아보지는 않았으나 연수받을때 10시간정도씩 몰았던 베르나, 포터와 비교했을때
기어변속하려고 엑셀을 뗌과 동시에 클러치를 콱 밟았을때 RPM이 좀 늦게 떨어지는 감이 있는거 같은데요
전 처음에 변속충격이 클러치가 완전히 붙을때 RPM이 너무 낮아서 생기는걸로 알았는데 실제로 급하게
기어봉을 옮기고 나서 RPM을 보니 클러치미트시보다 3-4백RPM정도가 높은 상태네요..
제 생각에는 듀얼매스방식이 무거워서 느리게 회전수가 떨어지는게 아닌가 하는데요..

제 경우 10만 넘게 탔는데 일부는 말도 안되게 짧게 타고 망가지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교체 비용은 진짜 100만원 가량 소요되고 포터용 싱글로 하면 반값에 가능합니다
듀얼타다 싱글로 교체하고 타보니 클러치가 부비부비 하고 동력 전달할때 진동이 많이 올라왔습니다

1. 국산차들 뿐만 아니라 유럽산 차들도 나이가 들면 거의 문제가 생기는듯 합니다. 타이밍 벨트 수준의 수명을 가지는 소모품으로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하지만 메이커에서는 조작성이나 NVH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는 만큼 보증기간 내에 문제 생기는 일은 잘 없으니 그냥 계속 넣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유럽차들 사례를보면 차를 좀 아는사람들은 교환할때 대부분이 싱글매스로 교환해버립니다.
2. 클러치 미트시킬때 차가 부드럽게 움직인다는게 듀얼매스플라이휠의 장점입니다. 토크가 낮은 차들은 클러치의 허용토크도 낮은만큼 마찰계수도 낮아서 클러치 미트시킬때 이질감을느끼기 어렵지만 토크가 높은 차들은 클러치의 마찰계수나 압력판의 용수철계수가 높은만큼 클러치 미트시 진동이 많이느껴집니다. 디젤차들은 듀얼매스에서 싱글매스로 바꾸니 운전할때 바로 티나더군요.
3. RPM이 늦게 떨어지는게 물론 플라이휠의 무게 영향이 없다고는 못하지만 ECU에 의한 영향이 훨씬 큽니다.
그리고 듀얼매스 플라이휠 적용차들 중에도 클러치 디스크에 스프링 들어간 차들이 대부분입니다
예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공학적 지식이 전무한데 이문제로 골치를좀 썩어서 여기저기 서핑하면서 정보를 수집했는데 아직도 궁금한점이 좀 있어서..
1. 수동비중이 높은 유럽에서도 문제가 일어나면 자동차 제조사 입장에서 상당한 민원이 될듯한데요.. 예전부터 클러치디스크세트만 소모품이고 플라이휠은 영구적인 부품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저도 사실 싱글방식 교체를 고려해보다가 정확히 어떤 부품이 호환되는지도 정확치 않고 해서 걍 정품으로 교환했어요
2. 미트시 진동이 RPM이 안맞았을시 나타나는 변속충격인가요? 아님 변속충격과는 무관한 '드드드드'하는 진동을 말씀하시는건가요? 제기억에는 마력, 토그가 작은 베르나 학원차같은 경우 변속충격이 그닥 심하지는 않았던것 같습니다만..
하나 궁금한것중에 하나가 토크가높은 '승용'차에만 적용되는가 하는거입니다. 토크가 훨씬높고 가혹주행을 자주하는 버스, 트럭에도 적용되나요? 만약 적용된다하면 엄청난 고장률을 보일듯합니다.
내수용 이스타나가 싱글 매스플라이휠이고 수출향이 듀얼 매스플라이휠이었다고 합니다.
싱글 매스플라이휠의 단점은..이스타나 기어를 떠올리시면 이해되실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