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215 45 17 이 순정 사이즈인데,
225 45 17 하고 235 40 17 중에서 어떤것이 더 부하를 많이 받을까요
타이어종류 똑같습니다
아시다시피 225 45 17은 지름이 살짝 더 커지고, 235 40 17은 지름은 약간 작아지나 접지면이 많이 늘지요
또 한대는 235 55 17을 순정으로 쓰는 차입니다
235 50 18 과 245 45 18 중에서 어떤게 더 부하를 많이 받을까요
역시 위의 내용과 비슷한 차이를 보입니다

단순 가속부하량만 본다면 접지면적만 계산해도 될듯하지만
관성질량에 따른 감속부하량까지 염두에 둔다면 아무래도 접지면적이 비슷한 상황에선 지름이 작은것이 부하량감소에 유리한듯 합니다.
저도 같은 이유로 235/55R18이 순정인 차량에 245/50R18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의 문헌들이 맞다면 위에 두 분 다 틀리신거 같네요.
동일 하중 및 동일 공기압의 타이어 구름저항은 타이어 폭과 지름에 오히려 반비례합니다.
링크1. 컨티넨탈 타이어사의 자료 (자전거 타이어에 대한 예시라서 일반 차량 타이어와는 다를 수 있음)
링크2. 어느 스웨덴 사람의 석사학위논문 (인용 정리)
http://publications.lib.chalmers.se/records/fulltext/200040/200040.pdf

제시해주신 자료 잘 보았습니다.
링크 1의 경우 로드타이어와 MTB타이어를 비교하였는데 자전거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지식이 있는 제겐 좀 의아한 비교더군요.
일반적으로 로드용타이어는 공기압을 100psi 이상으로 세팅하며 최대 160~170psi정도 입니다.
MTB용은 25~40psi정도로 세팅합니다.
이렇게 성격이 다른 두 타이어를 같은 공기압 환경에서 비교하면 당연히 로드용 타이어가 접지면적이 넓어지겠지요.
해당 자료에서 제시한 그래프는 타이어폭과 지름이 포커스가 아닌 공기압에 따른 타이어 접지면적 변화결과에 포커스를 두고 이해하셔야 옳다고 보입니다.
링크 2의 경우도 잘 읽어 보았습니다만 RRC vs Combined Model에 대한 예시입니다.
즉 동일 환경에서 타이어 외경만 달라졌을때의 예시가 아닌 여러환경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타이어지름상태와의 비교입니다.
그리고 본문에도 동일타이어로 비교했다는 문구가 있는데 그 문구로 추론해 볼때 공기압의 차이로 타이어 지름을 변화시키지 않았나 싶습니다.
해당 자료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 타이어 접지면적이 넓어질 수록 구름저항이 증가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타이어에 대한 드레그현상 역시 구름저항에 영향을 끼친다고 되어 있구요.
드레그현상을 줄이기 위해선 수평항력이 적어야 한다고 예시에 나와있습니다.
따라서 "작은 타이어가 드레그현상에 적게 영향받으며 접지면적 역시 적기 때문에 구름저항에 유리하다"라고 링크해주신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음에도 제시해주신바와 같은 오해를 하신것은 'vs Combined Model'을 'vs Diameter'로 인식하면서 일어난 일이 아닐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