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타이어 공기압에 관해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보려고 합니다.
우선 전 가족차로 2007 MB GL450를 타고 있고요 권장 공기압은 평상시 모든 타이어 32psi, 짐을 많이 실을 경우 앞은 36psi 뒤는 39psi 입니다.
지난 6개월동안 타이어때문에 하도 고생을 해서 (이 이야기는 좀 길기때문에 다른 글로 보드 게시판에 한번 써야 겠네요) 이번에 실시간으로 공기압을 읽는 sensor를 4개의 휠에 달았습니다. (북미 버전인 제차는 공기앞이 위험수준 밑으로 떨어지면 warning light이 들어오고 실시간 공기압은 보여주질 않습니다.)
어제 1.5시간 가량 고속도로 탈 일이 생겨서 앞 36psi, 뒤 39psi로 세팅한후 1.5 시간동안 평균속도 130km로 주행후 보니 앞타이어의 공기압이 40psi로 올라 있었고 뒤타이어의 공가압이 44psi까지 올라가 있었습니다. 공기압이 너무 높은듯 하여 타이어의 온도가 높아져 있는 상태에서 앞 37psi, 뒤 39psi도 다시 세팅후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물론 온도가 낮은 아침에 앞~33psi, 뒤 ~35psi까지 떨어졌습니다
제가 권장 공기압 범위에서 높은 쪽으로 세팅하는 이유는 32psi로 모든 타이어의 공기압을 세팅할경우 느낌상 타이어가 많이 눌려 있는 것처럼 느껴서 입니다.
물론 정답을 없겠지만 고수님들은 어떻게 공기앞을 맞추고 다니시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제 캠리의 매뉴얼상 권장치는 32 입니다만, 승차감 딴딴한 스포트 에디션인데다가
핸들링 반응이 빠른걸 좋아해서 36 정도 넣고 다닙니다 (타이어 스펙상 최대치는 51).
열 받았을때 공기압이 올라가는건 어쩔 수 없는 부분이지만, 그 폭이 많이 큰 경우에는 타이어
내부에 수증기 과다일 수 있으므로, 질소나 드라이에어를 넣는 방법이 있을것 같습니다.

그때그때 날씨나 주행용도, 승차감에 맞추고있습니다.
일상 주행 크루징만 하는 차량은 승차감위주로 맞추고 있구요. 타이어를 여름용과 겨울용으로 나눠서 쓰는데
여름용은 월이 좀 단단해서 상대적으로 적게 겨울용은 월이 너무 물러 일반적인 고속주행시에도
노면에 따라 차량이 움찔거리는 느낌이 너무 싫어서 여름용에 비해서 높게 세팅해서 타고 있습니다.
트랙도 가고 일상주행도 하고 하는 차량은 여름용 겨울용 그냥 34~36사이에 적당히 맞추고 있구요.
트랙주행도중에는 사이사이 브레이크타임에 적당히 조절해줍니다.
앞 40 뒤 38 넣습니다
저도 타이어가 좀 무른거 같아서 (Firestone Destination LE2 265/60R 18 입니다) 좀 더 넣고 탔습니다. 타이어 관련해서 일이 몇번 있고나서 타이어에 관해 좀 과민 반응을 하게되네요. 답변 감사 드립니다.
저는 가벼운suv인 스바루 포레스터에 한타 V2concept2 225/55/17사이즈 장착 중인데, 32psi 정도로
관리하고 있습니다.(순정 공기압은 31psi)
34, 36psi로도 모두 넣어봤는데, 장점은 느껴지지 않고, 딱딱하기만 해서 32psi로 안착하였습니다.
준중형은 34 35정도 중형 36 대형세단은 타이어 너비에 따라 앞은 36~38 뒤는 앞과 같거나 275사이즈 이상이면 34넣고 있습니다

저는 권장이 앞 31-34/ 뒤 34-38인데,
권장 미니멈으로 할 경우 조금 무른 듯한 느낌이 있고,
개인적으로는 단단하고 직관적인 느낌을 좋아해서
앞 35 뒤 38로 조금 빵빵하게 채우는 편입니다.
저도 MB 인데, 정식센터에 들어갔다 나오면 항상 32/34 로 맞춰줘서
미리 얘기하거나 아니면 나중에 제가 다시 주입합니다.
그리고 고속도로 주행시 그렇게 올라가는게 정상이고,
평균적으로 타이어가 50psi 까지는 무난하게 견디게 만들어집니다.
저도 SUV 에는 4바퀴 전부 35정도로 넣는 편인데요,
GL 이라면 무게도 조금 있고, 적당히 앞34 뒤36이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