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요즘의 차만들기는 친환경과 연비 그리고 경량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연비를 높이는 다양한 기술이 있지만 오늘 초점을 맞춰서 이야기하고 싶은 부분은 변속기 부분입니다.
같은 출력을 발휘하는 차량에서 다단화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수치적 이득은 단수가 작은 변속기의 그것보다 모든면에서 월등합니다.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자면 기어 단수가 가까우면 토크컨버터의 슬립율을 낮출 수 있어 동력전달 효율이 어떠한 속도대에서건 우수하며, 토크가 높은 영역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어 부하가 걸리는 것에 대비해 엔진효율이 좋은 구간 사용시간이 길어져 연비를 높입니다.
가속중에는 최대 출력을 발휘하는 구간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어 달리면서 사용하는 엔진의 최대효율을 끌어내기 유리하기 때문에 가속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5단변속기가 한동안 주류를 이루다가 6단이 보급화되는가 싶더니 7단,8단,9단 변속기들이 쏟아져 나오는 요즘입니다.
언급했듯이 다단변속기는 연비와 가속능력면에서 엔진을 튜닝하지 않고도 이 두가지를 확실히 개선할 수 있는 파워풀한 솔루션인 것은 분명합니다.
다만 감성적으로 다단변속기가 가져오는 단점들도 분명히 있습니다.
이 단점은 기계적인 완성도나 품질만을 이야기하려는 것이 아닌 감성적으로 다단변속이 주는 스트레스에 대한 아쉬움입니다.
기어가 저단에서 고단으로 올라가는 것이 아무리 부드러운 동작에서도 느낄 수 있듯 고단으로 달리다가 정지를 하기 위해 속도를 줄이면 변속기가 고단에서 저단으로 기어를 내리는 동작도 느껴집니다.
이 느낌은 차를 부드럽게 정차하면 정차할 수록 크게 다가옵니다.
제동이 부드럽지 않고 거친 제동을 하는 운전자는 이 느낌을 느끼기 어렵지만 아주 미세한 조작으로 부드러운 감속을 하는 운전자들은 기어가 8단에서부터 1단까지 떨어지는 그 느낌을 몸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이 느낌이 때론 상당히 거슬립니다.
제가 요즘 벤츠 W140 S600을 자주 타면서 고급차에 대한 기준과 정의를 좀 다시 내리게 된 계기가 되었는데, 상대적으로
2단으로 출발해 5단이 끝인 구닥다리 S600의 변속기는 급가속을 하면 변속충격이 요즘 차에 비해 덜 세련되었지만 감속할 때 5단에서부터 2단까지 3번만 다운시프트를 하기 때문에 위에 언급했던 감속중 다운시프트 느낌이 거의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 이유중에 하나는 최고단에서 가속패달을 놓았을 때 Coasting function과 같이 회전수가 마치 중립으로 들어간 것처럼 내려가버려 엔진과 바퀴가 off throttle일 때 단절되는 것도 작용합니다.
가속할 때도 클러치 Lock up이 아닌 토크컨버터가 약간 용을 쓰는 듯한 상황도 있지만 이 역시 변속이 이루어지는 상황이 아닌 일단 물려있는 기어안에서의 동작이라 충격이 전혀 없습니다.
아주 고급차량에 다단변속기는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엔진사이즈가 큰 차량에는 고급성을 오히려 해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얼마전 독일에서 렌트했던2015년식 CLS350 CDI를 600km정도 운행하면서 가속중 신형 9단 자동변속기의 능력에 감탄하면서도 감속중 느껴지는 아주 미세한 변속충격으로 인해 상당히 짜증이 났던 기억이 지금도 뚜렷합니다.
어떤 적정한 최고단수를 지정할 수는 없는 노릇이지만 시대와 차량이 고도화되면서 뚜렷하게 잃는 것들이 생기고 있다는 부분은 분명 아쉬운 내용입니다.
효율을 추종하다보니 디테일한 부분을 충족시키는 쪽에서 아쉬움이 나오는 것은 비단 최고급차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며 듀얼클러치 차량들도 마찬가지 고민이 있습니다.
시대가 8단이나 9단이 스포트 라이트를 받는 요즘이지만 다시금 5단 자동변속기에 대한 의미도 되새길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이런 면에서 가장 완벽한 변속기는 완벽한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운전자가 모는 수동변속기일지도 모릅니다.
기계가 아무리 고도화되어도 여전히 인간의 초감각적인 부분을 아주 쉽게는 정복이 안되는 바로 그 헛점을 찾을 수 있다는 것도 나름 의미있는 관찰이라고 생각합니다.
-testkwon-
5G-Tronic 722.6은 일단출발입니다. W모드만 2단 출발을 하죠.
7G-Tronic 722.9는 C모드에서 2단출발이어서 좀 당황스럽더군요. 굉장히 굼뜨게 느껴지는...
600은 60키로만 넘어도 최고단에 들어갈 수 있는데 말씀하신 대로 자전거 페달 놓은 것처럼 공회전 모드로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다가 필요하면 다시 인게이지되구요...
새미션으로 갈수록 직결감은 좋은데 말씀하신 것들이 거슬리더군요.
그래도 왜 그런지는 알고 있으니 그냥 그러려니 합니다.
오히려 DSG, PDK같은 미션이 이질감이 없더군요

이제 마른수건 한번더 짜는 포화 단계에 이른것 같습니다. 스포츠카의 경우 가속형 기어비로 세팅되어 7단이 실생활에도 쓸 수 있는 오버드라이브 감속으로 쓰는데에는 찬성이지만(M3, SLS등), 세단에 8단~10단 변속기가 들어가면 '이게 나한테 정말 도움이 되는건가?, 부품이 많으니 고장도 잘 나고 수리비는 예전보다 비싸겠군.' 등등의 생각이 자주 듭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6단 변속기로 (아주 부드럽게 감속할때) 기어가 다운쉬프트 되는 느낌이 이질감이 느껴진다고 생각했었는데, 그게 이런 복잡한 이유가 있었던 거군요.
최근 GOLF mk4 GL을 자주 이용하면서 "AT 4단이 이런 쾌감이 있었었지!"합니다. 냉간 주행시 웜업 주행때 변속충격도 없고, 고단 변속기들 스포츠주행모드 처럼 억지로 rpm올리는 스타일이 아닌 자연스러운 rpm 상승감이 주는 쾌감이 끝내줍니다. 물론 고속도로 정속주행에서는 rpm 이 좀 높은 것같아서 아쉽기도 하고 연비도 확실히 고단변속기보단 떨어지지만, 5단기어와는 조금은 다른 4단기어만의 장점도 나름 있더군요.

마스터님이 말씀하신거랑 좀 다른 이야기일지 모르겠지만...
8단기어 차 타다가 좀 밟아볼까 하고 패들쉬프트로 기어다운을 하는데 탁탁탁탁 4단 내리고 나서야 가속하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예정 6단기어차의 경우는 보통 탁탁 쉬프트 다운 두번정도였을때는 괜찮았는데, 4번 쉬프트 다운하는 동안 맥이 확 풀리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ㅠㅠ.

공감합니다.. 요즘 BMW8단AT.. 물건이긴 한데.. 바쁘게 단수를 올려가는 부드러운 주행은 오히려 잘 만들어진 피스톤왕복내연기관이 줄수있는 드라마틱한 회전질감을 느끼기 힘든면도 있긴 있더군요..
신통찮은 엔진반응.. 꾸준하지못한 토크등.. 만족감이 떨어지는 엔진들은 다단화 변속기가 약점을 어느정도 희석해 줄수있겠네요..^^
기본적으로 오토미션에서 변속충격의 요소는 각단의 기어비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것 아닌가요?
즉, 시속100키로에서 5단이 2000rpm이라면 4단에선 2800rpm을 써야 시속 100키로에 도달하는것 처럼요...
즉, 나머지 800rpm만큼 회전수차이가 나고 그만큼 엔진의 회전부가 가지는 회전운동에너지가 차이가 나므로
회전수가 맞지 않는때에 강제적으로 변속을 해버리면 차의 운동에너지가 엔진에 회전운동에너지로 급격하게 전달되어진다던지... 혹은 그반대로... 순간적으로 충격량이 발생하니 충격이 발생할터인데... 따라서 6단 이상의 다단화가 진행되면서
우리가 가지는 장점은 연비와 놀랄정도로 리니어한 차의 dynamics를 얻을수 있으면서 동시에 탑기어가 같은 기어레이쇼라면
단수가 많다면 그만큼더 각단의 기어레이쇼가 클로즈드 되므로써 위의 설명한바와같이 정확한 레브메칭이 없더라도
에초에 변속시 발생하는 충격자체를 줄여버릴수있는 솔루션이 아닌가합니다. 마찬가지로 감속에서도 비슷하게 작용하겠지요... 다만 요즘차들은 대체로 레브매칭기능이 있고 제가알기론 메이커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겠지만 50rpm내지는 30rpm단위까지 맞춰서 레브메칭을 해준다고 하더군요... 즉, 다운쉬프트시에 변속충격은 거의 없다싶이 할겁니다만...
일반적인 연비주행을위한 변속기 설정에서 벤츠의 E모드나 bm의 컴포트에선 가벼운 블리핑도 허용이 안되나봅니다.
저는 오히려 다르게 생각합니다. 변속기의 다단화가 진행되면서 좋아진부분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8단 이상의 차들을 몰아보면 너무 분주한 느낌이랄까요??? 6단변속기만되도 느긋한 느낌이 있는데 8단이되니 너무 분주한느낌이라...
유연한 엔진...즉, 낮은 회전수서부터 큰토크를 발생시키는 그런 유닛에선 다단화가 얻는 장점이 매우 희석되는거 같습니다. 특히 S600급의 기함에서는요... 3단 1000rpm에서도 발만 가져가면 미친듯이 가속하는차라...ㅎㅎ
결론=> 파워트레인의 완성도가 높다면 굳이 6단 이상의 변속기가 꼭 필요한것은 아니다... 다만 있으면 좋다^^;;;

변속충격이 일어나는 원리는 언급하신데로 입니다.
다단일수록 기어비 간격이 작기 때문에 충격의 양이 작아질 수 있다는 부분은 동의합니다.
그리고 이 충격을 없애기 위해 매우 미세한 액셀링을 통해 다운시프트 충격을 줄이는 프로그램도 최신 변속기에는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완벽한 구성은 아니며, 이때마다 웅웅거리는 음색과 미세한 변속충격은 쉽게 연출이 됩니다.
다단화로 갈수록 토크컨버터의 역할은 출발시에 국한되어 다단변속기일수록 Coasting function이 별도로 있지 않는 경우 항상 Lock up베이스 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감속시 Lock up을 많이 활용하지 않는 구형 변속기들이 감속중 자연발생하는 변속충격은 낮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완성도가 높은 파워트레인에 대한 기준이 모호한 상황에서 엔진의 출력과 사이즈가 어떠하건 많은 단수를 확보하는 것이 브랜드가 추구하는 방향인 것은 분명합니다.
이를 멈출수 있는 논리가 매우 부족하며, 이에 대한 단점이 이슈화되지 못하는 한계도 분명 합니다.
시대가 요구하는 고급차의 모습이 고급스런 주행질감 이외에도 연비와 가속성능 그리고 작은 엔진으로 큰 효율을 낼 수 있는 전반적인 완성도를 요구하니 아주 작아보이는 것 한개쯤 포기하는 것이 그리 큰 결정은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앞으로 이 부분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보강될 것이 기정사실화되어 있기도 하구요.
다단화의 최고봉은 CVT 가 아닐까 합니다 ㅎㅎ 기술이 발달해서 허용토크가 올라간다면 고급차+CVT만한 조합은 또 없겟죠
마스터님의 많은 고찰과 경험이 묻어나오는 글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