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콜벳Z06 후륜 285-30-19/335-25-20 차량과 벤츠 CLS 255-35-19 / 285-30-19 차량을 타고 있습니다.


상기 두 차량은 평균 스팩 이상 사이즈의 타이어 폭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노면 굴곡 추종이 대단히 높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콜벳은 도로가 안좋으면 뭐 어김없이 노면을 신나게 탑니다. 뒤에서 보면 졸음운전 하듯 휘청 거리는데 실상 

핸들을 부여잡고 똑바로 가려고 노력하는 상황 입니다.


약간 작지만 비교적 비슷한 타이어 스팩의 폴쉐 997 터보도 마찬가지로 콜벳 뺨칠 정도의 엄청난 노면 피드백을 

전달 하더군요.


반면 컴포트 세단인 CLS의 경우 동급 세단에 비해 필요 이상의 광폭타이어 스팩이 적용 되어 있다고 보는데 콜벳과

는 다르게 노면이 안좋아도 노면 피드백이 핸들로 거의 전해지지 않습니다. 마치 억지로 걸러버리는 듯한 느낌을 받지만 이를 통해 운전자는 심리적 안정감을 받게 됩니다. 그렇다고 핸들링 선예력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지요.


또 다른 예를 들면 E90 320D M팩의 경우 CLS 보다 타이어 스팩이 작음에도 노면 추종성이 상당함을 느꼈습니다.


나름대로 결론을 내린다면 결국 기획/ 설계 단계에서 이러한 서스팬션 성향을 선택 적용 한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만

결국 고속 주행중 차량 주행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강한 노면 피드백은 한단계 걸러 주는것이 운전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극대화 하여 조금 더 적극적인 엑셀워크를 가능케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고성능 스포츠카에는 (레이싱카) 노면 피드백을 강하게 세팅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스포츠 성향과 컴포트 세단의 서스팬션 성향을 직접 비교하는건 무리겠지만 콜벳이나 폴쉐같은 차량이(일반화는 아닙니다..) 가 보여주는 급격하고 강한 노면 피드백은 가급적 필터링 해서 운전자에게 전달해 주는게 오히려 스포츠 패턴의 주행에서는 심적,물리적으로 훨씬 안정적이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이러한 스포츠성향의 차량들에 오히려 불안정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날카롭고 정직한 피드백의 핸들링 세팅을 적용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 합니다.


잡설인데... 솔직히 저의 지엽적인 경험치 안에서는 만약 강원권 와인딩을 간다면 콜벳 두고 폭바 CC 타고 나가겠습니다. 이거 타면 산동네 왕이 될 수 있을것 같거든요 (용감해 지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