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푸조 206RC 중고차를 일본에서 직수입할 경우에
어떤 부분에서 얼마씩 비용이 들것으로 예상되나요?

자동차 직수입이 시간만 좀 들이실 여력이 있으시다면 그리 비용이 많이들지 않습니다.
참고로 SRT-6컨버터블 직접 수입해서 인증 받고 3년간 타다가 매각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들여오는 세금이나 부대비용 적용하면 만만치 않을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도 206rc 오너인데 판매중입니다
2000cc 미만이 몇프로 정도였더라.... 2000cc 이상은 부가세 포함 33% 정도 통관시에 납부하구요 - 세관에서 인보이스가격은 잘 안믿고 찾고 찾아서 혹은 새차 가격 연식대비 잔존율 따져서 최대한 세금 많이 납부하게 거의 일방적으로 '얼마' 합니다. 납부하시고 배기가스 형식승인인데 이게 한번 받을때 인지세로 250정도(였나?) 들어갑니다. 한번에 패스 못하면 다시 250 정도.. 이걸 업자들이 한 400받고 대행해주곤 했었죠. 그런데 이게 참 뭣같은게 검사소 스케너에 스켄이 되어야'만' 합니다. 밖에서 OBDII 되는데 검사소 스케너엔 안떠서 dog 고생했던 기억이... 암튼 패스하시면 등록사업소 가셔서 등록만 하시면 됩니다. 등록사업소에서는 큰돈 안들어가구요.
이사짐이면 형식승인, 배기가스 면제되는것뿐 통관비는 똑같습니다. 등록비도 같구요.
개인적으로 일본에서 차를 들여와 정비, 수리후 보관만하는 이상한 취미를 가지고 있어서요..쩝..
그럼...(_._)

2011년도에 차량통관과 검사를 직접 해봤구요... http://www.testdrive.or.kr/1271002
통관 후 검사비용이 250정도라고 하셨는데 저의 경험상 차량 통관 후 필요한 형식승인검사, 소음검사, 환경검사 등 3가지 모두 합쳐도 비용은 100만원이 안들어갑니다.
그리고 한번에 패스 못하면 다시 지불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3가지 검사 중 패스 못하면 못한 부분만 다시 하면 됩니다..
문제는 개인이 하기는 너무 힘들고 대행이 껴야하는 부분이 분명히 있다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