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늘 눈팅만 하다가 처음 글을 남겨 봅니다.
얼마전 접촉 사고가 있었습니다.
정차 후 차선 진입 중 뒤에서 포터 트럭이 추돌 하였고 그래서 리어 펜더 및 운전석 뒷 좌석 문을 교체 하게 되었네요.
인터넷에 검색해 보니 프론트 펜더는 나사를 풀어서 분리 교체가 가능하나 리어 펜더는 철판을 절단하고 다시 용접을 하게 된다는 군요.
이때 보통 절단 및 용접 부위가 어떻게 되나요?
제 차 같은 경우 파손된 부위는 리어 펜더 중간 부위 앞쪽으로 뒷쪽 도어 손잡이 부근 까지 입니다.
또 이렇게 절단 및 용접을 하게 되면 차량 강성의 변화는 없을까요?
리어 펜더를 차량 단순 외관으로 보기도 하고 어쨌든 C필러와 연결되니 차량 강성에 중요한 부위라고도 하고 걱정이 많이 되네요.
차량은 K7이구요...
여담이지만 사고는 7대 3 과실로 제쪽 과실이 더 나왔습니다.
차량 2대 먼저 보내고, 나름 뒷 공간 확인하고 천천히 5초쯤 걸려서 변경하고, 차도 11시 방향 이상으로 접어 들어 진입이 완료 되었다고 생각 했는데, 후미 차량이 그대로 밀고 들어왔습니다.
이제는 차선 변경 할때 또는 정차 후 진입 할때 후미 차량들이 신호로 완전히 정차 한 걸 확인 하고야 출발하게 되네요.
회원님들 모두 방어 운전 또 방어 운전 하세요.. ^^
그것 밖에는 방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차로가 완전히 변경된 후 10미터 이상 전진했을 때
일반적인 추돌사고로 인정된다고 합니다.
실선일 경우는 물론 100% 입니다. 저도 겪었습..니다..
그리고 A필러부터 사이드스커트까지 'ㄷ'자로 한 판인 게 리어휀더인데,
절단 후 용접이면 교체가 아니라 판금이 맞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작업과정을 미루어 짐작, 오려붙이는 수준이라면 어느정도 영향을 준다고 보여집니다.
절단 밑 용접 부위는 인터넷을 찾아보니 c필러와 도어 하단 (도어 스커트?)쪽을 자른다고 하네요... 그게 맞다면 영향이 없진 않을 듯 하구요... 어쨌든 마음이 아픕니다
뒷 문을 열고 웨더스트립을 제거하고 나면 스팟용접 되어있는게 보이실겁니다. 문 개구부 쪽에 뒤쪽 절반의 스팟용접을 드릴로 뚫어서 분리하고, C필러 위쪽을 절단하고 (외판만), 트렁크 개구부 쭉 따라 내려오면서 나머지 부분도 드릴로. 그리고 사이드 스커트 절단. 제차도 같은 수리를 했는데요 대충 이렇습니다. K7은 모르겠는데 제 차는 제조사 매뉴얼이 저렇게 하라고 나와 있더랍니다.
애초에 별 차이가 없는데 기분때매 찝찝했던건지, 아니면 변화가 있는데 몸이 금방 적응한건지 모르겠지만 한쪽만 수리했는데 수리전과 비교해서 와인딩이나 회피기동시 이질감은 없었습니다. 건드렸으니 (용접) 안 변했다고는 할 순 없지만 사고 난 직후에도 얼라인먼트에 문제가 없어서 몇주 그냥 타고 다녔으니 그런거 같기도 합니다. (데미지가 원래 적은) 저는 뒷바퀴 뒤쪽으로 저 은색 상자 부분부터 펜더, 후미등, 뒷범퍼 옆으로 가드레일에 쓸린 사고였습니다.

강성도 중요한 문제이지만 수리후 차를 바라보는 감성적인 측면도 무시 못합니다. 판금이야 물론 매각시에 교체보다는 유리하다고 중고차 매매측에서 통상적으로 하는 말들이 있지만 아무리 전문가가 공을 들여도 퍼티작업면은 사고전의 평활도나 광택도를 재현하는건 거의 불가능 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저는 쿼터 페널이나 범퍼류는 무조건 교체 후 비용을 약간 더 주고 인접패널과의 색상차가 없도록 그라데이션 도장을 합니다. 도어는 물론이고 후륜휀더 판넬도 고민할것 없이 교체 합니다. 대부분 경미한 사고라서 단순한 스킨체인지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꼭 사진으로 사고 부위를 찍어서 남겨 놉니다. 차후 직거래 차량판매시 넓은 패널의 완벽한 복원은 교체밖에 답이 없음을 설명드리면 대부분 수긍하시더라구요. 물론 필러류나 판금으로 말끔히 복원이 가능한 부분은 판금을 하죠. 도어나 넓은 휀더 판금 후 우글거리는 차를 보시면 정이 확 떨어지실 겁니다

얼마전에 조수석 측 전후도어를 모두 판금해서 우글거리는 빨간색 플라잉스퍼를보고 참 안타까운 생각이 들더군요.
차주는 저런 상태를 인지하고 있을까 궁금하더군요. 저같으면 농담아니고8000에 가지고 가라고 해도 안탈것 같은데. . 사람, 관점 나름이겠죠?
아 그리고 오토큐면 페널을 교체해도 그라데이션 작업은 안해주기 때문에 인접한 도어랑 분명히 색상차이가 날겁니다. 차라리 전문 1급공장에 맡기시고 이색 발생시 클레임 한다면 신경써서 해 줄겁니다. 저는 작업자에게 따로 추가적인 비용을 미리 줍니다. 그러면 광택까지 내서 오랜지필 없이 환상적으로 만들어내더군요. 다만 검은색 무펄 솔리드 도장이라면 단판 도색하셔도 이색날 일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