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눈팅만하는 회원입니다.
다름이아니라 일본 구형차에 베타엔진을 스왑한 차량을 보았는데요.
에어컨 장착이 안되있더라구요. (부품은 보유중)
에어컨을 작동되게하려면
컴프레서를 장착하는것과 에어컨 라인을 연결하는것 이외에
전자장치(예를들어 에어컨 스위치)라던지 필요한 작업이 어떤것이 있는지,
그리고 난이도는 어려운지 알고싶습니다(DIY수준으로 가능한지)!
모든 테드 회원님들 편안한 밤 되세요~ 감사합니다.
2015.06.04 00:16:14 (*.162.215.145)
아주 오래된 자동차가 아닌 이상은 공조기도 CAN통신으로 제어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결국 그렇기 때문에 콤프와 가스 라인만 연결하면 되는게 아니라 공조기 모듈도 이식 연결해야 하고 내기외기 전환기구부랑 블로우 모터 온도센서도 CAN통신으로 제어되니 이식하는 차 것을 가져다 써야하고 라인깔아주고 하면 작업이 그리 단순하지는 않을듯 싶습니다.
서킷달리기용 차라면 에어컨은 잘 안쓰니 작업 간단하게 하려면 안다는게 편하겠죠.
결국 그렇기 때문에 콤프와 가스 라인만 연결하면 되는게 아니라 공조기 모듈도 이식 연결해야 하고 내기외기 전환기구부랑 블로우 모터 온도센서도 CAN통신으로 제어되니 이식하는 차 것을 가져다 써야하고 라인깔아주고 하면 작업이 그리 단순하지는 않을듯 싶습니다.
서킷달리기용 차라면 에어컨은 잘 안쓰니 작업 간단하게 하려면 안다는게 편하겠죠.
2015.06.04 00:37:28 (*.101.84.87)
에어컨은 보통
BCM, EMS(엔진제어), 공조제어 장치가 서로 연동해서 동작합니다
최신의 차량의 경우는 발전제어까지 영향을 미치구요
통신제어방식이라면 다른 세대의 차량에서 정상작동은 어렵다고 보시면 되구요
DIY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공조패널및 컨트롤장치
BCM. 엔진제어 등 따라가는게 상당히 많아요
베타엔진 장착차량중에 좀 오래된 구형차량들이 있다면 완성하는게 그리 어렵진 않을겁니다
BCM, EMS(엔진제어), 공조제어 장치가 서로 연동해서 동작합니다
최신의 차량의 경우는 발전제어까지 영향을 미치구요
통신제어방식이라면 다른 세대의 차량에서 정상작동은 어렵다고 보시면 되구요
DIY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공조패널및 컨트롤장치
BCM. 엔진제어 등 따라가는게 상당히 많아요
베타엔진 장착차량중에 좀 오래된 구형차량들이 있다면 완성하는게 그리 어렵진 않을겁니다
2015.06.04 03:59:43 (*.101.84.164)
MR2에 베타스왑한 차인가 보군요.
베타가 CAN통신을 할리도 없고(젠쿱조차 신쿱에 와서야 CAN통신방식입니다) 베타용 컴프와 컨덴서가 있다면 장착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베타가 CAN통신을 할리도 없고(젠쿱조차 신쿱에 와서야 CAN통신방식입니다) 베타용 컴프와 컨덴서가 있다면 장착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2015.06.04 22:24:51 (*.101.84.149)
에어컨 DIY는 못하십니다.
이런 문제는 샾에 문의하시는 것이 빠릅니다.
그리고 시스템은 사판식을 사용하는 CAN은 아닐 겁니다. 제가 알기론 베타엔진은 사판식 컴프레서 없습니다.
엔진 ECU, 공조기가 CAN이냐 아니냐 이것이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작동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최신의 ECU가 CAN 통신하더라도 의외로 에어컨 시스템이 간단한 것도 있습니다.
핵심은 ECU가 에어컨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신호가 있습니다. 그 입력신호를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며 그것을 받아들여서 에어컨 관련 출력신호가 나오는 겁니다.
어떤세대의에어컨을 장착하려는지에따라..달라집니다.
현세대의 최신에어컨을 장착하려면..복잡해집니다.
구세대의 에어컨을 장착하려면..기본에 충실한 작업을 한다면..엄청난 고난이도는 아닙니다.
지금시간이안돼서 자세한답변은 나중에..해드리거나..다른분께 패쓰합니다.
궁금한점을 리플로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