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익렬님과는 비슷한 연배에 비슷한 동네에서 자라고 성장했으며 젊은 시절 오프로드 경주의 경험도 있으며
성장하는 자식을 둔 자동차를 좋아하는 아버지가 되었고 자식을 위해 첫차를 준비한다는 면에서
비슷하다는 느낌을 갖고 있습니다.
고만고만한 자식들 넷을 두고 있기에 자식들마다 개성이 있고 자동차에 대한 반응도 다르긴 합니다만
BMW를 너무 좋아하고 압도적으로 잘 이용하는 큰 딸아이는 탈것에 대한 공포가 있는 편이라 미루기로 하고
자기 몸만큼 큰 악기를 싣고 다녀야하는 둘째 딸아이가 올해 대학생이 되었고
본인의 필요성에 의해서도 연말부터는 운전을 해야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물론 중3인 세째 딸아이는 어린 시절부터 빨리 커서 운전면허 따서 아빠처럼 빨리 달리고 싶어하며,
바이크도 좋아하며 탈것에 대한 취향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녀석이며
트랙에서도 달리고 싶어하고 대관령 주행을 학수고대하는 녀석이 있기는 합니다만,
먼저 들째를 위한 차량 선택을 위해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고민끝에 2003년 아내와 1, 4, 8, 10살 이던 네 아이를 위해 준비했던 아내의 세번째 차인
4세대 골프 2.0을 물려줘야겠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2004년에 촬영한 제가 타던 차들입니다.
맨앞의 4세대 골프는 아내의 차이며, 오른쪽의 A8 3.7은 지금은 없지만 30만 키로 가까이 달리면서
속도 별로 썩이지 않고 저의 믿음직한 다리가 되어주던 차입니다.
![SV4000100[1].jpg](http://www.testdrive.or.kr/files/attach/images/52626/806/813/001/f855b204e8fb13e48397062c2ed3752d.jpg)
골프 이전에 아내는 랭글러 사하라 4.0을 타고 있었는데, 운전이 서툰 아내가 운전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시야가 좋아야하며, 힘이 쎈, 그리고 사는 지역의 특성상 4륜 low 기어가 있는 차가 있어야 한다는
말도 안되는 이유를 들어가며 - 제가 한번 타고 싶었던 - 랭글러를 여러해 타고 있었습니다.
아내가 골프를 타게 된 후에는 랭글러는 처음 구매 후 13년을 타면서 동해안에 닥친 태풍 루사와 매미,
수년마다 반복되는 폭설등의 힘든 상황을 헤치며 생활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저 멀리 랭글러가 보이네요.
아이들이 커가면서 골프로는 네 아이가 커버가 되지 않을만큼 커진 후
다른 차량으로 바꾸면서 골프는 처음 운전을 하게된 동료 부인의 첫차로 가게 되었습니다.
당시 거래조건이 나중에 차를 바꾸게 되면 골프를 다시 본인에게 돌려준다는 농담같은 것이었는데,
지난 달 거짓말처럼 동료가 부인의 차를 바꾸면서 새차 출고 하루 전 차를 가져갈거냐고 묻기에
당연히 다시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키를 건네받고 집으로 오는 도중에 시운전을 해보니 핸들도 뻑뻑하여 확인하니 파워 오일이 없고,
엔진 오일을 찍어보니 별로 찍히는 것이 없을만큼 부족하고,
하체에서는 찌그덕거리는 소리가 나고, 가죽 시트는 낡아서 까진 부분도 있고,
칠이 까지거나 덴트가 필요한 곳도 있으며 틴팅 필름도 낡고 까져있으며,
년식과 주행 (99,000km)동안 벨트의 교환이나 미션 오일의 점검, 교환도 없었으나,
동료의 부인은 기름넣고 오일 교환하고 가끔씩 엔진오일만 보충하면서 잘 타서 고마운 차였다고
못내 섭섭해하였습니다.

이렇게 다시 제게 돌아온 4세대 골프는 2.0리터의 구형 엔진으로 요즘 차량에 비해 시가지 주행연비도 그리 좋지않으나
이전의 기억을 더듬어보면 고속도로 주행 연비는 매우 우수했으며, 요즘 엔진들에 비해 아주 안정된 엔진이라
기본적인 정비와 소모품의 교환만으로도 처음 상태와 같은 능력을 보여주리라 예상됩니다.
미션도 4단 자동이고 주행소음도 제법 크며 하체에서 찌그덕거리는 소리가 나지만
몇개의 부속과 부싱의 교환 및 윤활제만으로도 다시 예전에 대관령을 감아가면서 돌아나가던 때의 짱짱함을
다시 맛보게 해주리라는 믿음도 생깁니다.
엔진과, 미션, 소모품들의 교환과, 외장의 복원, 필름의 교체, 4세대의 고질병인 녹아내린듯한 내장 플라스틱의 도색과
낡은 가죽시트의 복원등을 통해 딸아이에게 어울리는 초록색의 작고 예쁜 골프로 되살려보려고 합니다.
자동차를 좋아하는 사람으로, 아빠가 되어 아내가 타던 차를 다시 손보고 정비해서
오래된 차이지만 자식의 첫차를 준비하는 재미도 새로운 차를 사는 이상의 즐거움을 줍니다.
다행스럽게도 테드의 협력업체를 통해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비되는 내용은 차차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대장 -

벌써부터 찡한 울림이 전해집니다.
'세상을 품고도 남음이 있는 큰 남자의 여유'가 느껴집니다.
리스토어 글에서 종종 뵙겠습니다.


제가 타는 카이런을 너한테 물려주께 하니까 제 아들놈은 싫다든데 실제로 차를 사용할 나이가 되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먼 미래의 일을 미리 기다리고 있습니다. ㅋ

좋게 이해해주시니 고맙습니다. 주변에서는 만 12년이나 된 오랜 차를 타는 것이
더 불편하지 않겠냐, 연식 적당한 중고차가 차라리 좋을것이라고 한마디 하는 이들도 많지만
그래도 제가 가족을 위해 선택했던 차이며, 엄마가 악기 실어다 주고
애들 태우던 히스토리가 있는 차를 타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아빠가 차 좋아하는 것을 아는 딸아이도
돌아온 골프를 아주 반가워하며, 아빠한테 자동차와 운전에 대해 배우고
연수받을 일을 즐겁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맞다면 반가운 마음에 적습니다
저도 콘트라베이스를 하고있습니다ㅎㅎ
대학교 입학 축하드립니다

그 EF 쏘나타를 물려받았던 아들입니다 ㅎㅎ 저는 오랫동안 한 식구로 지냈던 차를 물려받았었는데, 잠시 집을 떠났다가 다시 따님의 애마로 돌아온 골프의 이야기는 더욱 감동이네요. 수백 km을 달려서 집에 돌아왔다는 진돗개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
대부분의 첫 차를 선택하는 학생이나 사회초년생들이 멋지고 쌩쌩한 새 차를 바라지만, 추억이 담긴 애마와 함께 새로운 추억을 쌓는 것은 새 차보다 더 특별한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초등학생 때는 뒷좌석에, 더 커서는 조수석에, 그리고 물려받은 뒤에는 운전석에 앉아 차의 스토리를 이어간 것 자체가 하나의 잊지 못할 에피소드가 된 것 같아서요. 물론 나이든 애마를 하나씩 고쳐가면서 자동차 관리를 배우는 것은 덤이고요 ㅎㅎ
모쪼록 따님이 애마와 함께 즐거운 대학 생활을 이어나가길 기원합니다. Mk.4 골프에 근사한 악기를 싣고 다니는 음대생이라니, 인기가 대단할 것 같습니다 ^^
따님도 아주 좋아하실듯 합니다.
저도 제가 가진 차량을 시간이 지나 아들에게 물려줄 때가 오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