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게시물을 보던 중 고회전형 엔진 이라는 문구를 보고 질문드립니다
고회전형 엔진이라는 표현은 스트로크 보어를 비교하여 스퀘어타입 또는 보어가 큰 경우에 고회전형 엔진 이라고 분류 되나요?
아니면 최대토크가 회전한계부근 가까이에서 나와야 고회전형 엔진 이라고 부르나요?
아니면 메이커 또는 사용자의 사용기 후기등에서 분류 되는 것 인가요?
질문란의 댓글에서 모닝이 3기통이 고회전형 엔진 이라고 하시던데 기준이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롱스트로크에 최대토크도 4500rpm 즈음에서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고회전형 엔진이라는 표현은 스트로크 보어를 비교하여 스퀘어타입 또는 보어가 큰 경우에 고회전형 엔진 이라고 분류 되나요?
아니면 최대토크가 회전한계부근 가까이에서 나와야 고회전형 엔진 이라고 부르나요?
아니면 메이커 또는 사용자의 사용기 후기등에서 분류 되는 것 인가요?
질문란의 댓글에서 모닝이 3기통이 고회전형 엔진 이라고 하시던데 기준이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롱스트로크에 최대토크도 4500rpm 즈음에서 나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2015.06.13 21:59:30 (*.101.84.168)
모닝이나 마티즈 같은 경차는 엔진 힘이 많이 부족합니다. 디른 차량들과 함께 주행하기 위해서는 엔진 회전수가 높이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알피엠을 안쓰면 차가 안가요.. 아마 그런 뜻으로 하신 말씀인 것 같습니다.
2015.06.13 21:59:59 (*.101.84.158)
아...오해를 드려 죄송합니다.
모닝의 기어비와 타이어 사이즈를 생각할때 항상 고회전으로다닌다...
이런 의미로 그런 댓글을 남겼네요.
다른 차들과 보조를 맞추다 보면 그런 엔진들은 다른 차들보다는 과부하 상태로 다니게되죠...
2015.06.14 04:58:50 (*.101.84.111)
고회전형 엔진이 숏스트로크인 경우가 많지만, 실상은 보어x스트로크와는 크게 상관 없습니다.
모닝을 고회전형엔진이라고 다른 분이 칭하신 이유는, 힘이 없어서 교통흐름에 맞추려면 비교적
높은rpm을 유지해야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2015.06.14 11:27:52 (*.101.84.90)
앗... 저도 항상 생각없이 그렇게 썼는데 앞으로는 고RPM주행으로 변경해야겠내요. 평소에 아무생각이 없다가 질문 글을 보고 바로 깨닫게 되었습니다. 죄송합니다.
2015.06.15 12:50:26 (*.101.84.177)

힘이 없어서 좀 회전수를 올려야 하는 엔진 말고 힘이 충분함에도 회전수를 높게 쓸수 있도록 설계된 엔진이 고회전형 엔진이지요.
레드존이 7000 이후에 있으면 고회전형으로 봐도 될것 같습니다.
레드존이 7000 이후에 있으면 고회전형으로 봐도 될것 같습니다.
2015.06.16 15:33:03 (*.101.84.106)
이론적으로 접근을 해보자면...동일 실린더수의 엔진의 경우 배기량에 따라 보어x스트로크 사이즈가 달라지겟죠.
입실론 1000cc 엔진과 쎄타 2000cc 엔진을 비교하자면 입실론 1리터는 66x73 이고 쎄타 2.0은 86x86 스펙을 가지지요.
이때 피스톤의 한계속도를 24m/s 가정으로 하고 한계rpm을 계산해보면 입실론 엔진은 약9863rpm 이나오고 쎄타엔진은 약8372rpm 이나와요.
결론은 롱스트로크 비율이라 하더라도 얼마든지 고회전이 가능하다는 거죠. 대신 보어사이즈가 작은만큼 연소량이 부족하기때문에 그만한 rpm을 올릴수가 없게 되는거겟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