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기계공학과 4학년에 재학중인 홍준영이라고 합니다.
현재 CAE 해석 경진대회(7월31일까지)를 준비하면서 흡기 인테이크에 대한 CFD 유동해석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쓰로틀밸브 개도량(TPS)과 그에 따른 써지탱크 내의 압력 변화(MAP)를 소프트웨어에 적용하기 위해서
PC상에서(엑셀 등) 그래프화 할 수 있는 각 센서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모색해봤는데 문제점이 조금씩 있어서 테드 회원님의 아이디어와 조언 부탁드립니다.
1. 하이스캔(스캐너)를 이용하여 파형을 기록하고 PC로 확인.
문제점 : PC 전용 뷰어 프로그램으로 파형(그래프)를 확인 할 수 있지만, 데이터값 출력은 불가능한 것 같습니다.
2. OBD 모듈(EML327 등)과 어플(토크 프로 등)을 이용.
문제점 : 유료 결제 필요. 데이터 저장, PC로 출력이 가능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제 차가 구형 차량이라 OBD 인식이 안됩니다. 차량 섭외 필요.
3.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하여 센서 전류값 측정, 보정 및 로깅.
문제점 : 사용해본 적이 없어서 시행착오(시간)가 많을 것 같습니다. 모듈은 산학협력 기업에서 대여 가능할 것 같습니다.
데이터 로그 할 수 있는 다른 간단한 방법이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구형차라면 TPS 센서는 포텐쇼미터 방식일겁니다. 3핀 커넥터로 연결될거에요. 하나는 5VDC, 하나는 GND, 다른 하나는 출력 신호입니다. 아시겠지만, 스로틀 포지션은 0~5VDC 사이의 전압값으로 출력이 되겠지요. 출력 전압값 대비 스로틀 개도량 값을 0.5V 단위로 기록하시면 좋은 커브를 얻을 수 있을겁니다. 포텐쇼미터가 선형성이 그리 좋지 못해서 min-max값으로 개도량을 단정할 순 없을겁니다. 랩뷰 USB타입 DAQ가 있으면 참 쉽게 데이터 로깅이 될텐데요.. 대부분의 대학 실험실에는 하나쯤 가지고 있을테니 문의해보세요. 흡기 압력도 부압트랜스듀서로 동시에 측정하면 원하시는 데이터가 얻어질 듯 합니다. 해석툴은 플루언트를 쓰시나요? 무빙메쉬로 스로틀링 구현해서 과도특성 보면 재밌겠다..란 생각을 옛날부터 해왔습니다.ㅎㅎ

랩뷰..진동 계측 수업에서 조금 배우긴했지만 개인적으로 어렵게 느껴져서, 오히려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해서 GND, 출력 전압값만 측정, 로그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입니다.
전공 수업(구조해석)에서는 마이다스아이티 NFX 를 사용하고, 학과 해석동아리에서는 Altair의 HyperWorks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유동해석은 HyperWorks(AcuSolv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쓰로틀밸브도 무빙메쉬로 구현하려고 하는데 유동해석은 처음이라서 어려움이 많습니다..ㅜㅜ

아두이노, 데이터 로거 쉴드를 이용해서 출력전압값을 SD카드에 저장하려다가 코드짜는게 복잡해서
그냥 출력 전압값 노트북에 띄워서 복붙으로 측정 완료했습니다.
튀는 값도 있고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여러가지 오차 발생요인이 많지만
해석 소프트웨어 입력값으로 사용하기엔 충분 한 것 같습니다.
선택한 값들이 txt문서로 저장이 됩니다. 트위터계정등으로 날리는 기능도 있구요.
단점은..
지금도 보고 있지만 0.5~8초정도 간격이라 급 가감속시 놓치는 부분이 꽤 생깁니다. 그리고 언급하셨듯이 구형차종일수록 지원되는 부분이 적습니다. 돈주고 애드온을 구매하셔도 지원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