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차량이야기는 아닙니다.
얼마전 다운힐 자전거를 중고로 구입했습니다.
생각보다 무게가 많이 나가 경량화를 위해 타이어 교환을 하려고 했는데 액슬(허브볼트)가 풀리질 않더군요.
요따구로 생겨먹은 놈인데 저놈의 액슬커버다 리버스타이튼타입이라 그걸 확인못한 제가 푼다고 푸는데 오히려 잠그는꼴..
덕분에 육각렌치홀은 뭉개지고 제 맨탈도 뭉개지고;;;
볼트익스트렉터는 있는데 리버스탭방식엔 익스트렉터도 무용지물이라 탭을 내고 볼트 짧은걸 박아 돌렸는데 또 나사선이 뭉개 지더군요.
덕분에 드레멜로 액슬커버를 파내고 남는 강선부분만 드라이버로 정질을 해서 깨부셔냈습니다.
액슬커버는 장렬히 산화하고 이렇게 액슬만 데미지 입은채로 마무리가 됐네요.
재수 없었으면 스윙암을 자를뻔했는데 최선은 아니지만 차악의 수로 마무리 되어 다행입니다.
고착된 볼트 풀때, 주변에서 쉽게 구할수 있는 방법 알려드릴께요.
1) 마시다 남은 콜라를 부어 놓은다음 풀어본다.
2) 카센타에서 브레이크액 조금 빌려다 뿌려놓으다음 푸른다.
위의 방법은 물론 풀리고 난다음 깨끗하게 세척해 주어야 합니다.
PB Blaster 한박스 보내드릴까요....? 보트쇼 (모터쇼 아닙니다) 갔더니 강추해서 사 봤는데 한시간정도 적셔놓으면 안 풀리는 볼트가 없네요. 저도 후륜 컨트롤암 볼트 뺄 때 3시간 걸렸는데 정말 공감합니다.

자동차와 어떤 관련이 있는 글인가요?
본문 첫 줄을 보면... 회칙을 알고 계신 듯 한데, 굳이 이런 글을 올리시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허얼... 역시나 알루미늄 재질은 조임토크 마진이 거의 없군요.
휠락 러그너트 풀다가 머리가 뭉개진 경우 다른 너트를 용접해서 붙이고 푸는
경우도 봤습니다만, 알루미늄 재질이라면 이런 방법도 여의치 않을것 같군요.
알루미늄 엔진 헤드 가스켓 교체 DIY 하거나 할때 엄청 조심해야 할것 같습니다.
여러 댓글중에 고착된 볼트 푸는 방법들... 알아두면 도움이 될것 같아요.

저 제품은 다운힐 자전거중엔 가벼운편이라고 볼 수 있는데 막상 일상도로주행을 하게 되면 크로스컨트리와의 갭은 엄청납니다.
특히 조금만 가파른 오르막이라도 만나게 되면 왠만한 체력이 아니고서는 자전거를 걸어서 끌고가게 됩니다.
다운힐 자전거중엔 경량에 속하는 제 것도 그정도인데 경량화가 안된 놈들은 뭐... 체력을 주욱 주욱 빨아댈겁니다.
때문에 다운힐을 접하지 않으신 분들이라면 140mm정도의 서스펜션트레블을 가진 올마운틴제품들을 권합니다.
다운힐 스타일이 맘에 들어 고수하시는 거라면 평지와 단거리에 한해선 무리가 없을거라 판단됩니다.

저도 자전거랑 자동차 환자라 육각볼트 여러번 망가트렸는데 제일좋은건 볼트 머리를 둘레를 사각형으로 가공해서 스패너로 돌려서 빼는게 제일 빠르고 좋더군요 알루미늄은 좀 힘들긴 합니다만 볼트머리가 살아있다는 가정하에서는 제일 좋은거 같네요

오오오! 전 2007년부터 시작했습니다.
인텐스M9! 별명이 애미나이라고 불리는... 아름답죠 +_+
이번에 써본 방법을 나열해 보자면 ㅠ_ㅠ
첫번째로 무너진 렌치홀을 탭가공하고 8mm볼트를 짧게 잘라서 볼트를 조이는 힘으로 풀어보려 했는데 탭이 뭉개져버렸고,
두번째엔 1자로 홈을 내서 큰 1자 드라이버를 임팩트에 연결하여 풀기를 시도해봤는데 알루미늄재질이라 그런지 소재자체가 무너져버리더군요.
결국엔 세번째로 속을 다 파내는 방법을... 매번 맨탈붕괴의 연속이었습니다 ^^;;
소개해주신 방법도 좋은 방법인듯 합니다. 복스렌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깍아내서 작업하는방법이라...

저도 자전거를 타고 있습니다만, 알류미늄 볼트들은 필히 토크렌치를 사용해야하더군요.
주변에서 오버토크로 말아먹은 케이스를 워낙 많이 접해서요 ㅎㅎㅎㅎ

조임토크가 150이라면 단위는( kg/m, inch/lbs, N.m) 어떻게 되는지 알수있을까요??
대부분의 자전거에는 N.m가 표기되고 사용됩니다만, 미국자전거는 inch/lbs가 표기된
자전거가 있더군요. 자전거의 리어허브액슬의 조임토크는 기껏 15~30n.m정도일텐데 만약 표기된 150inch.lbs를 150nm으로 알고 160nm으로 작업한것이라면 과토크로 조인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드는군요.
혹시 사진상에는 토크렌치는 안보이는데 약160nm으로 조여주었다는 댓글로보아 사진상의 보쉬Gdx18v의 최대토크인 (160nm)로 조여준것으로 추정되는데.... 설마 그러신건 아니시죠?( 저도 사용중인 전동툴이여서 스펙은 잘알고있습니다.)
혹시 규격 외 육각렌치를 사용하셨나요?
육각렌치는 어지간해선 야마(죄송)가 안나는데 이상하네요...
풀어내시기 전에 윤활제 같은걸 뿌려두셔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