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참 오랜만에 질문을 올리는 듯 합니다.(자랑은 아니지만..)


차량은 07년씩 아반테 HD 입니다.

주행거리 약 14만 6천 가량 되었습니다.

은색 차량입니다.


일전에 차량 외장에 대해 여기저기 손 보려다가 결국은 아무것도 안하고 1년 가량을 보냈습니다.

 - 도색, 광택, 코팅, 문콕, 페이트 깨짐(?, 갈라짐) 등


차량 색상을 바꿔보고 싶기도 하고, 그간 본넷 앞에 누군가 써놓은 듯한 숫자도 지우고 싶고,

앞 범퍼부터 그릴 위쪽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스톤칩도 없애고 싶고,

5~7군데의 문콕도 처리하고 싶고, 뒷 범퍼에 페이트가 깨진(?) 부분도 말끔히 처리하고 싶고,

차량을 코팅(?) 한다는 그런 것도 한번 해보고 싶습니다.

아직 부식의 징조 같은 건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만, 차량이 오래되다보니 한번쯤은 관리하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여지껏 광택, 붓펜 등 외장에 손 댄 적은 없으며, 스톤칩 자국에는 '녹'이 보이는 곳 1곳이 있습니다 - 본넷 위)


위에 것 다 한다면 돈이 좀 들겠지요..??


그 전에 여기저기 살피던 중 원칠(차량 출고시 도장)에 대해 중요시 여기는 글들을 보면서 원칠의 중요성이 뭘까? 라는 생각이 들어 고견을 들어보고자 여쭙습니다.


아무래도 도색을 새로 하게되면 원칠이 없어지는 개념이고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상황이지 싶은데요..


'원칠' -> 차량 외장 관리에 있어 중요한 건가요?

어떤 분은 '오래된 차량에 있어서 원칠은 의미가 없다' 라고도 하시는 걸 보았습니다.

중고 매매와 관련된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만..


제 차량에 있어서 '원칠'이 별 의미가 없는 의미라고 하면 언제가 되었든 준비해서 도색 등의 작업을 한번 진행해 보고자 하구요..

오래된 소형차에 뭔 그리 공을 들이니? 좀 더 타다가 차를 바꾸지 않으련..? 이라는 의견이 있으시다면 그런 고견도 감사히 기다려봅니다.(제 차량에 공을 들이려 하면 주변 분들이 더러 이야기 하시더라구요. 멀리서 보면 아직 새차 같다고..)


무엇보다 '원칠'에 대한 고견 부탁드립니다.


태풍이 온다고 하는데 다들 평안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