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브램보 4피스톤 입니다. 현재 장착한지 약 5000키로 주행하였구요... 140까지는 브레이킹시 별문제가 없는데 그이상의 속도에서 브레이킹를 약간 하드하게 하면 핸들이 심하게 떨리는 현상이 있는데요.. 제동력 자체에는 큰 문제는 없는 것 같은데 핸들이 너무 과격하게 떨리는군요.. 일반적으로 로터가 휜 경우 라고 생각되는데.. 혹자는 브램보 로터의 특성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네요... 해결 방법에 대하여 아시거나 브레이크의 특성에 대하여 잘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려요..
2007.08.06 00:01:00 (*.0.0.1)
전 브렘보는 안써봤고 stoptech를 썼었고 그런 현상은 없었고, 일반적으로 제동시 진동은 로터가 살짝 휜거같네요.. 로터 선반작업으로 해결될 수도 있겠네요. 작업전 rotor의 minimum thickness를 확인해서 그 범위 내에서 하셔야합니다.
2007.08.06 00:01:00 (*.0.0.1)
명근님 그럼 저도 질문하나할께요^^ 전 타공과 슬롯이 함께잇는 타입인데 주더현상인거 같습니다. 주더현상의 원인이 디스크의 영구적인 변형인지 아니면 고열을 이기지 못하고 순간변형으로 인하여 생기는 일시적인 현상인가요? 중저속시 제동할때는 그런현상이
2007.08.06 00:02:00 (*.0.0.1)
영구적인 변형이죠^^휜 로터가 패드를 주기적으로 양옆으로 밀어내게 될텐데 속도가 올라갈수록 그 주기가 짧아질테니 일정 속도 이상이 되면 그 진동을 느낄 수 있게 되는것 아닐까요? 식고 안식고 보다는 로터의 절대 회전속도에 달려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
2007.08.06 00:02:00 (*.0.0.1)
이상한 것은 그럴때가 있고.. 그렇지 않을때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속에서는 그런 현상이 전혀 없고 제 경우에는 150이상에서 풀브레이킹시에만 느꼈습니다.
2007.08.06 00:05:00 (*.0.0.1)
저도 그러합니다. 영구적인 변형일경우엔 중저속에서도 또 고속에서도 브레이킹시 그러해야 하는데 하프 브렝크까지는 그냥 넘어갈만합니다. 그러나 풀 브레이크시에만 일어나는 현상이고 살살 잡으면 일어나지 않습니다.
2007.08.06 00:01:00 (*.0.0.1)
그렇다면 저더 현상이 아닐 수도 있겠군요.. 디스크 로터의 휨 정도나 밸런스를 체크해 보셔야할 듯.. 초기에 브레이크 로터와 패드의 길들이기 문제일 수도 있고.. 암튼, 항상 안전운전..(^^*)
2007.08.06 00:01:00 (*.0.0.1)
로터가 형상기억합금이 아닌한 순간순간 변할수는 없지 않을까요? 휜 정도에 따라 패드가 로터를 누르는 압력이 약한 하프 브레이킹때는 차 전체의 진동을 유발할만한 반력이 생기지 않는것 아닐까요? 평상시나 풀브레이킹시나 로터와 패드는 항상 맞닿아있고 두 면 사이의
2007.08.06 00:02:00 (*.0.0.1)
소위 "고속 저더"현상을 겪으신겁니다. 고속 풀브레이킹이 이어지는 태백써킷에서만 같은 현상을 겪었는데, 그 이후에 해당속도보다 낮을때 진동이 없다면 고속저더라고 볼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평상시는 이상이 없겠고요. 패드와 디스크 중 한쪽만 강화될때 자주 생깁니다
2007.08.06 00:02:00 (*.0.0.1)
결론은, 같은 스타일의 주행을 자주 해야한다면 브레이크 시스템의 균형을 잘 맞추시고요. 브렘보의 더 상급라인으로 가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평상시 진동이 없다면 고속시의 일시적 변형이니, 엔진브레이크를 병행해주는 습관만 들여도 해결될겁니다.
2007.08.06 00:00:00 (*.0.0.1)
그리고, 동규군... 용인만 달려서는 속도가 낮기 때문에, 고속저더를 잘 경험할수 없다네. 브레이크 설계자들의 의견을 한번 들어보면, 얼마나 어렵고 복잡한 현상들이 생기는 부품인지 알게 될걸세...
2007.08.06 00:01:00 (*.0.0.1)
저는 브렘보는 아니지만 4피스톤을 사용중입니다. 저도 고속역에서의 브레이킹에서 같은 현상입니다. 핸들 무섭게 떨리죠... 해서 이번에 로터를 갈것인지, 아니면 선반작업을 할지 고민중입니다.
2007.08.06 00:02:00 (*.0.0.1)
전에 말씀하신 것처럼 패드나 로터중 뭐하나가 강하거나 패드의 불규칙한 마모로도 생길수 있구요. 또 젤 중요하게 봐야 하는게 브레이크 브라켓입니다.
2007.08.06 00:02:00 (*.0.0.1)
순정 브램보 4피 2피 컨피겨로 계속 쓰는데 그리 떨림은 없네요. 보통 자동차 부품 테스트 기간이 4년정도 걸리는 만큼 순정이 우수한가봐요.
2007.08.06 00:03:00 (*.0.0.1)
브렘보 브레이크를 파는 일부 튜너에서는 이러한 현상때문에 피스톤쪽을 더 두껍게 해서 나온다고 합니다. 참고로 rennt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