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발티모어의 오영완입니다. 간단히 여쭐 말씀이..
DSG의 경우 변속시에 악셀에서 발을 떼야 하나요? VW dealer에 테스트드라이브 갔더니 거기 세일즈맨이 꼭 악셀오프하라고 해서리...
람보르기니도 부가티와 마찬가지로 VW 패밀리로 알고 있습니다. 부가티에는 DSG가 들어 간다고 들었는데, 람보에도 DSG가 들어가나요? 아직은 아닌듯...
끝으로, 마스터님. 해외 회원은 언제쯤 셔츠 받아보나요? 여기는 벌써 80도 오르내립니다. 받고나서 겨울까지 보고만 있어야 하는 불상사가....
DSG의 경우 변속시에 악셀에서 발을 떼야 하나요? VW dealer에 테스트드라이브 갔더니 거기 세일즈맨이 꼭 악셀오프하라고 해서리...
람보르기니도 부가티와 마찬가지로 VW 패밀리로 알고 있습니다. 부가티에는 DSG가 들어 간다고 들었는데, 람보에도 DSG가 들어가나요? 아직은 아닌듯...
끝으로, 마스터님. 해외 회원은 언제쯤 셔츠 받아보나요? 여기는 벌써 80도 오르내립니다. 받고나서 겨울까지 보고만 있어야 하는 불상사가....
2006.04.26 12:05:22 (*.189.163.250)

부가티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7단 더블 클러치 시스템이 적용된 트랜스미션을 장착하고 있다고 나옵니다.
원문: www.bugatti-cars.de > Home > Models > Veyron 16.4 > Engineering > Transmission
If it were not a solution specifically created for the Bugatti Veyron 16.4, the new seven-gear transmission could have come from the Royal Class of motor sports - the transmission is sequentially switched through toggle switches on the steering wheel. There is no clutch. The double clutch system permits switching times of maximally 0.2 sec. The engine power gets to the wheels through a continuous 4-wheel drive.
1001마력 1250Nm의 토크를 견디는 이 트랜스미션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원문: www.bugatti-cars.de > Home > Models > Veyron 16.4 > Engineering > Transmission
If it were not a solution specifically created for the Bugatti Veyron 16.4, the new seven-gear transmission could have come from the Royal Class of motor sports - the transmission is sequentially switched through toggle switches on the steering wheel. There is no clutch. The double clutch system permits switching times of maximally 0.2 sec. The engine power gets to the wheels through a continuous 4-wheel drive.
1001마력 1250Nm의 토크를 견디는 이 트랜스미션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2006.04.26 12:35:30 (*.74.230.252)

브가티의 미션은 GTI등에 들어가는 워너보그사제 DSG와는 다른 모델이겠죠모~..즉, 양산형 미션은 아닐 듯 합니다.
2006.04.26 12:45:37 (*.189.163.250)

아, 머쓱해라. ;;
VW/Audi의 DSG는 보그워너(Borg-Warner)의 것이 맞고, 부가티에 올라간 것은 Ricardo에서 만든(?) DCT입니다. ^^ 둘 다 듀얼 클러치이고 시퀀셜이어서 DCT가 DSG의 variant라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습니다만, 기술적인 뿌리가 같은 트랜스미션인지는 알 길이 없습니다.
New RS3(8P)와 New TT RS는 토크 50kgm에 육박할 것이라고 소문들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더 강화된 DSG가 조만간 나올 것으로 기대는 할 수 있겠습니다. ^^ A4는 종치형이라 어떨 지 모르겠네요. 현재의 DSG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힘든 것만은 틀림없겠습니다.
VW/Audi의 DSG는 보그워너(Borg-Warner)의 것이 맞고, 부가티에 올라간 것은 Ricardo에서 만든(?) DCT입니다. ^^ 둘 다 듀얼 클러치이고 시퀀셜이어서 DCT가 DSG의 variant라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습니다만, 기술적인 뿌리가 같은 트랜스미션인지는 알 길이 없습니다.
New RS3(8P)와 New TT RS는 토크 50kgm에 육박할 것이라고 소문들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더 강화된 DSG가 조만간 나올 것으로 기대는 할 수 있겠습니다. ^^ A4는 종치형이라 어떨 지 모르겠네요. 현재의 DSG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힘든 것만은 틀림없겠습니다.
2006.04.26 15:09:20 (*.248.91.214)
돌아다니면서 본 것인데, 독일어가 깜깜이라 정확한 정보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제 추측으로는 r32에 들어가는 DSG를 강화한 부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조 사이트는 http://www.hgp-turbo.de/vw/r32_5.html 이고요 약간 밑으로 내려가면 보입니다. 신형 r32의 터보튠의 미션(DSG)에 따라서 좌우되는 듯 보입니다. 4세대는 500마력을 넘는데...
독일어가 안되는 관계로 신뢰가 안가는 정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 추측으로는 r32에 들어가는 DSG를 강화한 부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참조 사이트는 http://www.hgp-turbo.de/vw/r32_5.html 이고요 약간 밑으로 내려가면 보입니다. 신형 r32의 터보튠의 미션(DSG)에 따라서 좌우되는 듯 보입니다. 4세대는 500마력을 넘는데...
독일어가 안되는 관계로 신뢰가 안가는 정보일 수 있습니다.
2006.04.26 15:38:39 (*.189.163.250)

강화클러치를 파는 것이네용? DSG 클러치가 저렇게 생긴 것인줄 오늘 처음 알았습니다. 안쪽 클러치와 바깥쪽 클러치의 용량이 차이날 것이란 생각이 갑자기 드네요. 흐.
2006.04.26 16:44:11 (*.74.230.252)

크크 워너보그..보그워너.. 죄송함다..
DSG의 클러치 직경이 작다고 예상되고, 그러므로 순정상태에서 터보나 슈퍼차징, ECU업글시엔 현재 출시된 DSG의 경우엔 토크 40Kg/m 이하로 세팅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DSG의 클러치 직경이 작다고 예상되고, 그러므로 순정상태에서 터보나 슈퍼차징, ECU업글시엔 현재 출시된 DSG의 경우엔 토크 40Kg/m 이하로 세팅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2006.04.26 23:23:29 (*.187.226.155)

김순익님, 작은 글에도 답변을 주셨네요. 고맙습니다. *^^* 엔진 구조에 대해서 잘은 모르지만 세로로 길게 놓인(이게 종치형 맞나요?) A4 같은 엔진에는 바로 DSG 적용이 어렵다는 이야기군요. GOLF GTI와 같은 엔진이라 DSG가 조만간 나올걸로 기대 했었는데 이런게 걸리는가 보네요. 많이 아쉽습니다.
지금까지 나온 DSG미션은 중소형급이라 토크 40Kg/m 를 넘어가는 출력에 대응하는 DSG는 아직 출시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므로 VW, AUDI의 중대형 차량과 슈퍼카엔 아직 채용이 되지 못하고 있는거로 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