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눈팅 전문 회원 이홍철입니다.
늘 우리 테드에서 여러가지를 배우고 회원분들께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그간 타이어 공기압 세팅에 대해 올라온 글들을 많이 봤습니다만, 의문점이 하나 더 있어 질문드립니디.
일단 저는 현재 인피니티 q50 디젤 모델을 타고 있습니다. 타이어는 순정인 덥롭 스포츠 맥스 런츨랫을 꼽고 있는데요,
의문 사항은 차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공기압은 35psi인데, 통상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은 max 대비 80%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꼽혀있는 타이어의 최대 공기압은 51Psi로 80%로ㅠ세팅할 경우 약 40psi로 해야 하는 셈입니다.
차량의 타이어를 변경할 경우 공기압도 해당 타이어에 맞게 조정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만, 그 수치가 차량 권장 압력과 차이가 많이 날 경우(유사한 성격의 타이어일 때) 어느 쪽에 비중을 더 두어야 할까요?
늘 우리 테드에서 여러가지를 배우고 회원분들께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그간 타이어 공기압 세팅에 대해 올라온 글들을 많이 봤습니다만, 의문점이 하나 더 있어 질문드립니디.
일단 저는 현재 인피니티 q50 디젤 모델을 타고 있습니다. 타이어는 순정인 덥롭 스포츠 맥스 런츨랫을 꼽고 있는데요,
의문 사항은 차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공기압은 35psi인데, 통상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은 max 대비 80%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꼽혀있는 타이어의 최대 공기압은 51Psi로 80%로ㅠ세팅할 경우 약 40psi로 해야 하는 셈입니다.
차량의 타이어를 변경할 경우 공기압도 해당 타이어에 맞게 조정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만, 그 수치가 차량 권장 압력과 차이가 많이 날 경우(유사한 성격의 타이어일 때) 어느 쪽에 비중을 더 두어야 할까요?
2015.09.13 13:31:28 (*.101.84.120)

타이어 최대공기압 스펙 x 바퀴당 실제하중 / 타이어 최대하중 스펙 = 적정공기압
이런 공식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순정타이어 기준으로 상기 공식을 대입해 보면 메뉴얼 공기압 근사값이 나옵니다.
최대공기압과 최대하중은 타이어에 적혀있고, 바퀴당 실제 하중은 메뉴얼이나 차대번호에 나와있는 축당하중을 둘로 나누면 됩니다.
2015.09.13 14:04:12 (*.245.62.165)
전륜구동차 중에 전륜 공기압이 더 큰차도 있고, 후륜차 경우 전원승차 및 짐을 실으면 3파운드정도 더 넣게 되어있더군요. 고속주행시 20프로 증가하도록 되어있었구요. 빨리 다니시는 편이면 규정에서 20프로 추가하면 충분합니다.
2015.09.13 14:46:54 (*.162.219.14)

위의 댓글의 복잡한 계산을 미리 해둔 것을,
운전석 문 열면 보이는, 또는 차량의 메뉴얼에 나와 있는
tire cold air pressure 표가 보여준다고 보시면 됩니다.
타이어 제조사의 권장량을 따르기 보다는,
차량 제조사의 권장량을 따르면 됩니다.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세요 ^^
일단 타이어 적정 공기압은 타이어 따라가는게 아니고 차를 따라갑니다.
Max의 80% 넣는건 틀린 정보이구요.
타이어의 종류와 차량, 그리고 상황에 따라, 80% 계산법으로도 적당한 공기압을 맞추는게 불가능 한 것은 아니지만,
그게 가능하실 정도로 경험과 관심이 많으신 분이셨으면 이 질문글을 올리지 않으셨을테고 하니,
제조사에서 넣으라는 공기압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는게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