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E46 M3 오너입니다...
이놈과 만난지도 벌써 두달이 되어 가네요...
제가 오늘 회원님들께 여쭙고 싶은 것은 다름이 아니오라....
이 놈이 수동미션이라, 또 저에게는 수동 차량이 이 놈이 첫 차라..
변속하는 방법에 대해 좀 묻고 싶습니다...
우선 가장 어려운게 1단에서 2단 넘어갈 때인데,, 딴 단수들은 다 부드럽게 넘어가는데
1~2단만 자꾸 걸리네요...
그리고 힐앤토나 엔진 브레이크 쓸때 엑셀 쳐준 후에 클러치를 빠르게 확 뗘야
하는건지 아니면 이 때도 약간 서서히 부드럽게 뗘야 하는건지 의문이네요....
클러치가 달까봐 과격하게 몰지도 못하고,, 천천히 애지중지하며 타는 중입니다
변속에 관한 팁이나 도움부탁 드립니다~~
이놈과 만난지도 벌써 두달이 되어 가네요...
제가 오늘 회원님들께 여쭙고 싶은 것은 다름이 아니오라....
이 놈이 수동미션이라, 또 저에게는 수동 차량이 이 놈이 첫 차라..
변속하는 방법에 대해 좀 묻고 싶습니다...
우선 가장 어려운게 1단에서 2단 넘어갈 때인데,, 딴 단수들은 다 부드럽게 넘어가는데
1~2단만 자꾸 걸리네요...
그리고 힐앤토나 엔진 브레이크 쓸때 엑셀 쳐준 후에 클러치를 빠르게 확 뗘야
하는건지 아니면 이 때도 약간 서서히 부드럽게 뗘야 하는건지 의문이네요....
클러치가 달까봐 과격하게 몰지도 못하고,, 천천히 애지중지하며 타는 중입니다
변속에 관한 팁이나 도움부탁 드립니다~~
2006.05.03 00:31:07 (*.91.9.190)

힐앤토나 쉬프트다운 등을 할 때 rpm 보상을 위해 엑셀페달을 쳐준후 클러치 연결은 rpm 만 정확히 동기화가 됐다면 빠르게 확 떼어도 충격이 없습니다. 사실 힐앤토는 시간절약을 하기 위해 한 발로 두 페달을 누르며 충격을 최소화 하는 것이기 때문에 빠르게 떼면서도 충격이 없게 하는 것이 관건이죠^^
2006.05.03 04:42:55 (*.148.26.60)
일반적인 제 느낌은.. 변속보다 시프트가 먼저 이뤄져야 합니다.
너무 클러치를 아낄려고 하는 생각 때문에 오는 불안함 때문인가 합니다.
먼저 기어를 넣고 클러치의 타이밍을 잡으세요.. 베틀모드일때는 다르겠지만.....
모든게 일반적인 유저들에겐 아마 순간적일 겁니다. 하지만. 시프트가 먼저 이뤄지면, 왼발에 모든게 달려 있을 겁니다.
너무 클러치를 아낄려고 하는 생각 때문에 오는 불안함 때문인가 합니다.
먼저 기어를 넣고 클러치의 타이밍을 잡으세요.. 베틀모드일때는 다르겠지만.....
모든게 일반적인 유저들에겐 아마 순간적일 겁니다. 하지만. 시프트가 먼저 이뤄지면, 왼발에 모든게 달려 있을 겁니다.
2006.05.03 09:12:45 (*.56.123.55)

1단에서 2단으로 넘어가는 경우 충격이 큰 이유는 감속비가 크기 때문입니다. 차마다 세팅이 달라서 엑셀오프 해도 rpm이 계속 떠 있는 차가 있고(최근 현대차), 엑셀오프하자마자 rpm이 떨어지는 차(구SM5, EF 이전 현대차)도 있습니다. 차마다 다른 세팅에 익숙해져야 하고 클러치를 순간적으로 떼면서 2단으로 들어갔을때 rpm으로 떨어지는 순간 기어를 넣음과 동시에 클러치를 약간 부드럽게 떼면 충격이 많이 줄이거나 없앨 수 있습니다.
2006.05.03 09:42:12 (*.111.192.87)

1단에서 2단 변속시 2천 5백 이하 알피엠에서 느리게 변속하면 그럴수 있을듯 한데여. 천천히 변속 하실꺼면 rpm 3천이상에서 변속하시면 부드럽게 넘어갈 듯하네여
2006.05.03 13:36:33 (*.77.80.77)

수동 미션 연습 차량이 응사미라..흠흠. 많이 부럽습니다..쿠쿠.
저두 가끔 아무 생각이 없이 변속을 하면 울컥 거릴때가 있습니다.. 정성스럽게 생각하면서 운전함 금새 잘 하실 듯 해요..(^^*)
저두 가끔 아무 생각이 없이 변속을 하면 울컥 거릴때가 있습니다.. 정성스럽게 생각하면서 운전함 금새 잘 하실 듯 해요..(^^*)
2006.05.03 14:03:01 (*.223.79.141)

완벽한 힐앤토라면 회전수 동기화가 멋지게 이루어져서 클러치를 확떼도 쿨럭임이 없어야 하겠죠. 일반 업쉬프트 변속시의 충격을 완화하려면 클러치를 천천히 떼거나, 클러치를 확 떼려면 rpm이 떨어지길 기다려 회전수를 동기화 시켜주어야 합니다. m3면 왠지 악셀떼는 순간 rpm확 떨어질 것 같은데, 그렇다면 악셀을 살짝 쳐주어 회전수를 동기화 시켜주던지 무지 빨리 쉬프팅을 하던지 해야 하겠네요
2006.05.04 16:54:03 (*.33.41.88)

엑셀링과 시프트다운 그후에 클러치를 이어줄때
감각이 없는 상태라면 부드럽게 충격을 최소화 하면서 이어줍니다.
계속 연습을 하다보면 감이 생깁니다. 클러치를 이어줄때에는 부드럽지만 빠르게~
점차점차 클러치 이어주는 시간을 단축하시면서 어느순간이 되면
팍팍~ 이어줘도 변속충격없어 들어갈 것입니다.
더욱 숙달이 되신다면 엑셀링을 방~하고 했을때 여기서 클러치를 팍 이어주면
충격이 올지 아니면 부드럽게 연결이 될지 느낌이 옵니다.
내가 방~하고 엑셀링을 했을때 왠지 알피엠보정이 넘 많이 된거 같은 느낌이 온다면
좀 기다렸다가 클러치를 이어주고 너무 조금 보정한거같은 느낌이오면 다시한번 밟아주고
그렇게 되져~
음..농구도 많이 하다보면 슛을 했을때 공이 손에서 떠나는 순간 손끝에서 전해지는
느낌으로 이게 골인지 노골인지 느낄수 있다죠~
뭐..그런 원리^^
감각이 없는 상태라면 부드럽게 충격을 최소화 하면서 이어줍니다.
계속 연습을 하다보면 감이 생깁니다. 클러치를 이어줄때에는 부드럽지만 빠르게~
점차점차 클러치 이어주는 시간을 단축하시면서 어느순간이 되면
팍팍~ 이어줘도 변속충격없어 들어갈 것입니다.
더욱 숙달이 되신다면 엑셀링을 방~하고 했을때 여기서 클러치를 팍 이어주면
충격이 올지 아니면 부드럽게 연결이 될지 느낌이 옵니다.
내가 방~하고 엑셀링을 했을때 왠지 알피엠보정이 넘 많이 된거 같은 느낌이 온다면
좀 기다렸다가 클러치를 이어주고 너무 조금 보정한거같은 느낌이오면 다시한번 밟아주고
그렇게 되져~
음..농구도 많이 하다보면 슛을 했을때 공이 손에서 떠나는 순간 손끝에서 전해지는
느낌으로 이게 골인지 노골인지 느낄수 있다죠~
뭐..그런 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