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정지 차량을 몰고 나가면서 차를 찌이이익~ 팽그르 돌리며 나가는거 말이죠...
이거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가르쳐주세요오오!
튜닝 안한 일반 차량으로도 가능한지요?
좀더 자세히 말하자면, 전륜에 오토인 우리나라 일반적인 차로... - -?;;;;;
좀 세부적인 스킬 스탭을... 예를 들어 뭐 풀 악셀 밟고 조금 나가려 할때 사이드를 잡으며
이빠이 꺾으면 좀 비슷하게 되는건지.. - -a???
뭐 이니셜디 보면 여자 드라이버도 쉽게 팽 돌려 나가고..
(애니에서는 뭐 후진 나오면서 얼음판 위에 뒤집힌 자라처럼 두세바퀴 돌면서 나가던데)
자세히좀 가르쳐 주세요!!
미리 감사드려요.
2006.05.21 22:50:10 (*.35.74.87)

액티언스포츠(오토)로도 가능하던데...^^ 일단 번아웃을 만들 수 있다면 쉽게 가능합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파워있는 오토/후륜" 차 라면...
먼저 왼발로 브레이크 밟고 오른발로 액셀치고 이때 파워가 충분하다면 바로 휠스핀이 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왼발 브레이크를 살짝 살짝 놓아주며 앞뒤로 차의 무게를 이동시키면 어느 순간 rpm은 최대토크가 나오는 구간으로 올라가고 휠스핀이 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rpm을 유지하면서 (레드존을 치거나 떨어뜨리지 말고...) 핸들을 돌립니다...단 180도 정도 돌고 싶다면 차가 140도 정도 돌았을때 스티어링을 빨리 풀러야 합니다...그렇지 않다면 ...전에 멋있게 180도 돌고 가려다 스티어링 빨리 못 풀어서 360 도 돌아서 제자리에 다시 돌아온적이 있었죠....ㅋㅋ
저 만화에 나오는 수동에 터보엔진인 실루에이티(실비아+180sx) 처럼 성능이 바쳐주면 가뿐하게 될껍니다. 어느 정도 이야기 하고 싶지만 넘 기네요...다른 분들이 이야기 해주실 겁니다...
아님 맘 편하게 왼쪽에 제 사진처럼 눈에서 돌리는거 연습하시면 됩니다...ㅋㅋ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파워있는 오토/후륜" 차 라면...
먼저 왼발로 브레이크 밟고 오른발로 액셀치고 이때 파워가 충분하다면 바로 휠스핀이 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왼발 브레이크를 살짝 살짝 놓아주며 앞뒤로 차의 무게를 이동시키면 어느 순간 rpm은 최대토크가 나오는 구간으로 올라가고 휠스핀이 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rpm을 유지하면서 (레드존을 치거나 떨어뜨리지 말고...) 핸들을 돌립니다...단 180도 정도 돌고 싶다면 차가 140도 정도 돌았을때 스티어링을 빨리 풀러야 합니다...그렇지 않다면 ...전에 멋있게 180도 돌고 가려다 스티어링 빨리 못 풀어서 360 도 돌아서 제자리에 다시 돌아온적이 있었죠....ㅋㅋ
저 만화에 나오는 수동에 터보엔진인 실루에이티(실비아+180sx) 처럼 성능이 바쳐주면 가뿐하게 될껍니다. 어느 정도 이야기 하고 싶지만 넘 기네요...다른 분들이 이야기 해주실 겁니다...
아님 맘 편하게 왼쪽에 제 사진처럼 눈에서 돌리는거 연습하시면 됩니다...ㅋㅋ
2006.05.22 01:37:08 (*.145.76.171)

일단 전륜 전차종 오토/수동 상관없이 가능합니다.
1) 제자리에서 연속원을 그리려면, 싸이드를 당긴채 핸들을 꺾고 풀액셀하면 됩니다. 이때 싸이드는 강하게 당겨야 하고, 싸이드 유격이 길면 다소 힘들수있지요. 일단 회전이 시작되면 무조건 풀액셀하지말고 휠스핀이 심하면 살짝 액셀을 풀면서 그립을 살려야하지요. 반클러치를 쓰지말고 온클러치를 활용..오토인 경우는 1단인 상태에서 시도.
2) 주행중의 스핀턴: 주행중 부드럽고 강하게 브레이킹- 2단-1단 순서로 기어를 내리고, 핸들은 원을 그리되 점점 작아지는 원을 그려야 원심력에 의해 수월하게 스핀턴이 가능- 싸이드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당깁니다.- 싸이드를 당기는 순간 록버튼을 꽉 누르고 있어야 스핀턴 후 재탈출이 용이.(이때 단수는 1단이 들어가있어야 용이)
3) 스핀턴이 시작되면 싸이드를 당긴채 1단상태에서 액셀 가감으로 회전의 정도를 조절하며, 탈출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싸이드를 풀어줍니다. (온클러치 사용)
4) 노말의 모든차로 가능하지만, 투스카니나 몇몇 차종은 스핀턴이 어려울 수 있지요. 그런 경우엔 차의 하중을 이용해야하는데, 브레이킹 후..2단 ,1단..회전을 시작하며 부드럽고 점점강해지는 트레일 브레이킹으로 하중을 앞으로 옮겨 뒤를 가볍게 만든 뒤, 강한 싸이드웍으로 스핀턴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5) 중요한점은, 스핀턴 후..90도 180도 360 또는 연속 회전..순으로, 처음엔 스핀턴이 이루어지게 주안점을 두어 연습.. 어느정도 되면, 스핀턴 후 정확한 시점에서 탈출이 가능하게 하는 연습으로 순서를 만드세요. 정확한 크기의 원을 그리거나 재가속 할 수 없다면, 함부로 아무데서나 시도해서는 안됩니다. 보충할 부분있으면 추가 질문 하세요. ^^
1) 제자리에서 연속원을 그리려면, 싸이드를 당긴채 핸들을 꺾고 풀액셀하면 됩니다. 이때 싸이드는 강하게 당겨야 하고, 싸이드 유격이 길면 다소 힘들수있지요. 일단 회전이 시작되면 무조건 풀액셀하지말고 휠스핀이 심하면 살짝 액셀을 풀면서 그립을 살려야하지요. 반클러치를 쓰지말고 온클러치를 활용..오토인 경우는 1단인 상태에서 시도.
2) 주행중의 스핀턴: 주행중 부드럽고 강하게 브레이킹- 2단-1단 순서로 기어를 내리고, 핸들은 원을 그리되 점점 작아지는 원을 그려야 원심력에 의해 수월하게 스핀턴이 가능- 싸이드를 순간적으로 강하게 당깁니다.- 싸이드를 당기는 순간 록버튼을 꽉 누르고 있어야 스핀턴 후 재탈출이 용이.(이때 단수는 1단이 들어가있어야 용이)
3) 스핀턴이 시작되면 싸이드를 당긴채 1단상태에서 액셀 가감으로 회전의 정도를 조절하며, 탈출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싸이드를 풀어줍니다. (온클러치 사용)
4) 노말의 모든차로 가능하지만, 투스카니나 몇몇 차종은 스핀턴이 어려울 수 있지요. 그런 경우엔 차의 하중을 이용해야하는데, 브레이킹 후..2단 ,1단..회전을 시작하며 부드럽고 점점강해지는 트레일 브레이킹으로 하중을 앞으로 옮겨 뒤를 가볍게 만든 뒤, 강한 싸이드웍으로 스핀턴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5) 중요한점은, 스핀턴 후..90도 180도 360 또는 연속 회전..순으로, 처음엔 스핀턴이 이루어지게 주안점을 두어 연습.. 어느정도 되면, 스핀턴 후 정확한 시점에서 탈출이 가능하게 하는 연습으로 순서를 만드세요. 정확한 크기의 원을 그리거나 재가속 할 수 없다면, 함부로 아무데서나 시도해서는 안됩니다. 보충할 부분있으면 추가 질문 하세요. ^^
2006.05.22 01:51:03 (*.145.76.171)

올려놓고 나가려다 몇자 더 적습니다.
스핀턴 시도시, 핸들링은 부드럽지만 낚아채듯이 시도하며, 차에 원심력이 붙을때 싸이드를 당겨야 하는데, 처음엔 당기는 시점을 정확히 알기어려우므로 시점을 달리하며 시도해봐야 하고, 써스펜션이 단단한(하체 튠된) 차의 경우는 전반적인 핸들링과 싸이드웍을 좀더 하드하게 시도해야 합니다.
차마다 조금씩 운동특성이 다르므로, 핸들링 페이스나 싸이드웍 페이스를 조금씩 다르게 적용하는 응용력이 꼭 필요하지요. 조금 깊이 들어가면 복잡한데, 일단 기본적인것만 설명해 드렸네요. 연습할 장소가 만만치는 않을겁니다. ^^
스핀턴 시도시, 핸들링은 부드럽지만 낚아채듯이 시도하며, 차에 원심력이 붙을때 싸이드를 당겨야 하는데, 처음엔 당기는 시점을 정확히 알기어려우므로 시점을 달리하며 시도해봐야 하고, 써스펜션이 단단한(하체 튠된) 차의 경우는 전반적인 핸들링과 싸이드웍을 좀더 하드하게 시도해야 합니다.
차마다 조금씩 운동특성이 다르므로, 핸들링 페이스나 싸이드웍 페이스를 조금씩 다르게 적용하는 응용력이 꼭 필요하지요. 조금 깊이 들어가면 복잡한데, 일단 기본적인것만 설명해 드렸네요. 연습할 장소가 만만치는 않을겁니다. ^^
2006.05.22 10:02:39 (*.114.22.130)
아... 타이어 갈때쯤되면 한번 시도를 해봐야겠습니다 ㅋㅋ
그런 기술들은 어디서 배우는거죠? 일반 운전자들은 사고시에만 경험을..ㅋㅋㅋ
그런 기술들은 어디서 배우는거죠? 일반 운전자들은 사고시에만 경험을..ㅋㅋㅋ
2006.05.22 10:39:30 (*.68.16.174)

죠기 위에 현우님의 사진처럼 '눈 온 공터'가 연습하긴 좋지요. 저 역시 일반 맨땅에선 타이어와 하체에 대한 부담감으로 하진 못하고 눈 쌓인 공터에서만 연습 해봤습니다^^ 그래도 계속하니 타이어에서 연기 나더군요-.-
2006.05.22 11:44:24 (*.145.76.171)

보통 스핀턴은 매우 터프한 동작으로 생각하는데, 차의 운동성을 잘 이해하고 숙달되도록 연습하면, 특별한 타이어 마모없이 부드럽게 시도할 수 있습니다. 아스팔트에서 연습할 기회가 되면, 공기압을 45~50 psi 정도로 넣어 싸이드월이 씹히거나 지나친 숄더부분 마모를 예방할 수 있지요.
2006.05.23 07:40:15 (*.145.76.171)

거칠게 시도하면 문제가 될수도 있습니다.
트레일브레이킹으로 최대한 하중을 전륜으로 옮겨, 후륜의 부담을 줄여야 하지요.
트레일브레이킹으로 최대한 하중을 전륜으로 옮겨, 후륜의 부담을 줄여야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