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오늘도 '자동차 고르기 놀이'를 하던중에 평소에 잘 안보던 공차중량이란게
눈에 들어왔습니다.
신형아반테 1.6vvt at 1191kg
소나타 2.0 vvt at 1450kg
골프 fsi 프리미엄 1390kg
제타 2.5프리미엄 1524kg
아우디 a4 1.8t 1414kg
bmw 320i 1421kg
렉서스 is250 1630kg
비슷한 급의 차인 아반테와 유럽산차들의 공차중량이 꽤 차이가 나는거 같습니다.
한급위인 소나타와 다른 유럽세단들이 비슷한 수준같습니다.
아직 지식이 일천해서 잘 모르지만..
일단 움직여야 하는 물체인 자동차에 있어서 무게가 아주 중요할거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수있는 한에서의 경량화가 최선일거 같다는 상식적인 생각이 드는데요..
저런 차이는 어디서 나는 걸까요?
현대의 신형아반테가 저런 가벼운 무게를 지닌것이..
경량화 기술이 뛰어나서인지..아니면 강판?사용을 적게해서그런지..
궁금하네요..
눈에 들어왔습니다.
신형아반테 1.6vvt at 1191kg
소나타 2.0 vvt at 1450kg
골프 fsi 프리미엄 1390kg
제타 2.5프리미엄 1524kg
아우디 a4 1.8t 1414kg
bmw 320i 1421kg
렉서스 is250 1630kg
비슷한 급의 차인 아반테와 유럽산차들의 공차중량이 꽤 차이가 나는거 같습니다.
한급위인 소나타와 다른 유럽세단들이 비슷한 수준같습니다.
아직 지식이 일천해서 잘 모르지만..
일단 움직여야 하는 물체인 자동차에 있어서 무게가 아주 중요할거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수있는 한에서의 경량화가 최선일거 같다는 상식적인 생각이 드는데요..
저런 차이는 어디서 나는 걸까요?
현대의 신형아반테가 저런 가벼운 무게를 지닌것이..
경량화 기술이 뛰어나서인지..아니면 강판?사용을 적게해서그런지..
궁금하네요..
2006.05.24 22:02:19 (*.79.243.159)

메이커 발표치는 어떻게 보면 정확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벤츠 베엠베는 독일 기준으로 68kg의 운전자 무게와 7kg의 짐, 연료탱크의 90%를 채운 상태의 무게를 발표하는데, 아우디는 아닌거 같더군요. 아마도 4륜시스템에서 오는 과체중을 숨기기 위해? 아우디 부분은 저도 확실하지 않아서 꼽사리 질문 날립니다~
공차 중량의 의미가 어떠냐에 따라 다르겠죠. 만약 동일 조건이라면 박수 쳐 줄만하네요. FF라고 쳐도...
공차 중량의 의미가 어떠냐에 따라 다르겠죠. 만약 동일 조건이라면 박수 쳐 줄만하네요. FF라고 쳐도...
2006.05.25 04:02:40 (*.149.182.20)

몇일전에 제가 우리나라 공차중량기준에 대한 글을 올렸다가 현대자동차에서 바로 답변을 받는 바람에 글을 지웠었는데요..^^;;; 우리나라 기준은 이금준님이 말씀해주신 EU기준하고 조금 다르더라구요..
현대차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차중량은 자동차에 연료, 윤활유 및 냉각수를 적정 최대용량까지 주입하고, 예비타이어등 표준부품을 장착한 상태로서 50%이상 장착되는 선택사양 품목중 원동기의 동력을 사용하는 선택사양 품목을 포함하는 무게를 말합니다.(운전자가 탐승하지 않는 상태) *공차중량(CURB VEHICLE WEIGHT)
1)Standard CVW: PEL상의 Standard 사양을 장착한 상태의 차량 중량.(작동유체 규정치, Spare Tire, OVM Tool 중량 포함.)
2) Full Option CVW : Standard 사양과 Option 사양을 모두 장착한 상태의 차량 중량.
현대차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차중량은 자동차에 연료, 윤활유 및 냉각수를 적정 최대용량까지 주입하고, 예비타이어등 표준부품을 장착한 상태로서 50%이상 장착되는 선택사양 품목중 원동기의 동력을 사용하는 선택사양 품목을 포함하는 무게를 말합니다.(운전자가 탐승하지 않는 상태) *공차중량(CURB VEHICLE WEIGHT)
1)Standard CVW: PEL상의 Standard 사양을 장착한 상태의 차량 중량.(작동유체 규정치, Spare Tire, OVM Tool 중량 포함.)
2) Full Option CVW : Standard 사양과 Option 사양을 모두 장착한 상태의 차량 중량.
2006.05.25 08:05:15 (*.48.32.137)

그렇다면, 아반떼에 운전자가 탔다면 1255kg 정도 되겠네요 원동기 동력 사용 선택사항 50% 이상이 어떤 의미인지 잘 이해는 안갑니다만.
2006.05.25 08:11:10 (*.26.60.89)

구매자의 50% 이상이 장착하는.. 그러니까 인기있는 옵션(에어콘, 파워윈도 같은... 등등) 중에서 엔진의 동력을 사용하는 품목( 이 경우 에어콘, 기타 등등)
이런 뜻이 아닐런 지...
이런 뜻이 아닐런 지...
2006.05.25 10:30:07 (*.78.191.86)

아..그게 다 같은게 아닌가 보네요^^
그런데 국내에서 판매되는 차량들의 경우는 동일한 조건을 적용한 수치를 표기해야 하는거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여하튼 전 가볍다는게 뭔가 속이 허전할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게..좀 그렇네요.^^
그런데 국내에서 판매되는 차량들의 경우는 동일한 조건을 적용한 수치를 표기해야 하는거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여하튼 전 가볍다는게 뭔가 속이 허전할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게..좀 그렇네요.^^
2006.05.27 11:30:59 (*.235.20.253)

제타와 IS250 은 무거운 편이지만 그만큼 차체 강성은 뛰어날 것으로 보입니다...그럼에도 두차의 연비는 상당히 좋은 편이죠....
포터의 경우 연료통이 플라스틱?으로 바뀌면서 안쪽 깊숙히 들어갔더군요
아반테의 생산이 늦어지는 이유중 하나는 모듈화로인한 라인 재배치 때문에 노조와 갈등하고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