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9
저도 아이나비와 맵피를 둘다 사용하고 있습니다. 휴대성(여러 차량에 두루 다니면서 사용)이 기본전제라면 PDA형이나 3.5인치류의 네비게이션 전용 소형단말기만을 두고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DMB, PMP, 7인치류 모두 제낍니다)
선택을 좌우하는 변수는 세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결론부터 말하는 것을 좋아합니다만...
변수1. 가격차 : 약 7~10만원의 저가인 맵피가 가격대 성능비로는 좋다고 생각함.
변수2. 주 사용 지역 : 지방에서 고속도로를 많이 타신다면 맵피. 도심이라면 아이나비.
변수3. PDA기능 활용성 : 정말로 자신이 PDA 기능을 많이 쓸것인지 재고해봐야 합니다. 아니라면 Mio 136, 138, C310 혹은 아이나비 UP 등의 전용 네비게이션이 낫습니다.
다른분들 답변이 모두 옳습니다.
네비게이션은 [하드웨어(HW) : 소프트웨어(SW)] 구성의 이해에서 시작해야합니다.
o. 아이나비는 모든 HW가 아이나비 SW와 묶여 있습니다.
o. Mio의 모든 시리즈는 예전에 만도맵~미오맵으로 묶여 있었으나, 몇개월전부터 맵피와 통합으로 묶였으며, 현재 이름만 미오맵이고 실제 내용은 맵피맵입니다. 미오맵 MX2라는 용어는 맵피 콘텐츠로 통폐합되면서 나왔습니다.
o. 미오맵과 맵피라는 용어에서 혼동이 많으신데, 미오 기기중 네비게이션 전용 하드웨어들은 미오맵(맵피 콘텐츠)을 쓰고 업데이트를 mio-tech.co.kr에서 받으며, SW와 HW가 묶여 있어서 라이센스 분리가 불가능합니다. 미오 기기중 PDA형인 168과 168rs와 169의 경우 미오맵이 아닌 원래의 맵피 프로그램을 쓰며, 업데이트도 mappy.co.kr에서 받고, 다른 PDA 신규구입시 이동 라이센스를 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o. Mio168, Mio169는 PDA HW에 네비 안테나 기본내장으로 붙은 구성이며, PDA형에 WinCE Mobile 2003을 사용하므로 SW는 Mappy, iNavi, 알맵 등을 마음대로 설치 가능합니다. (처음 구입시 묶여 있는 SW를 쓰는게 관리상 편합니다)
o. LG-PM80, 아이팩 등의 PDA에서는 마찬가지로 SW는 마음대로 선택 설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안테나 내장이 아니기 때문에 추가설치를 해야하는데 PDA로부터 전원을 받는 안테나는 수신율과 베터리 소모성을 고려해야하고, 시가잭 등의 외부전원이나 차량거치용 모델 안테나들은 휴대 이동성이 없어집니다.
o. LG-PM80의 강점은 추가사양없이 바로 지상파 DMB를 볼 수 있는 PDA라는 점이며, 전원및 데이타 연결용 케이블이 휴대폰 통합 케이블과 완전 같기때문에 시가잭 구성을 아낄 수 있다는 점입니다.
o. 그외의 모든 네비게이션 HW들은 사용 네비게이션 SW를 명기하고 있으나 아이나비와 맵피를 제외한 다른 SW는 별로 쓸만하지 못합니다.
o. HW에 내장 베터리가 있는 모델과 없는 모델이 틀립니다. 아이나비와 미오는 모두 베터리가 있어서 완충후 풀가동으로 3시간 이상 독립동작합니다. 따라서 여러차량에서 옮겨다니며 사용할 때에 시가잭 케이블로부터 약간은 해방이 가능합니다.
PDA 기능의 활용성은... 막상 많이 활용할 것 같아도 쓰다보면 별로 쓸일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스로 활용도에 대한 확신이 없다면 Mio136, 138, C310, 아이나비UP 등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활용성 확신이 있다면 Mio 168, 168rs (rs는 OS가 최신 버젼se임), 아이팩이나 PM-80에 네비확장팩(안테나) 등의 PDA에 원하는 SW를 결정하여 사용하세요.
끝으로, 맵피와 아이나비를 비교해보겠습니다.
o. 데이타 정밀성 : 아이나비가 더 좋습니다. 도심지에서 더 좋으며, 업데이트 속도도 빠릅니다. 건물의 실제 높이를 표시하는 등의 정보에서도 아이나비가 앞섭니다. 아이나비의 경우 대용량 맵데이타에서는 실제 건물의 색이나 외형을 그대로 표현해주기도 합니다.
o. 검색 정밀성 : 딱잘라 말하기 힘듭니다. 맵피에서 더 잘 검색되는 케이스도 의외로 빈번합니다만, 도심에서는 아이나비가 좋은 성향을 나타내며, 지방에서는 맵피도 좋습니다. 목적지 주변에 다 와서 헤메는 경우가 맵피는 많고 아이나비는 적기 때문에 국소 범위에서 아이나비가 강합니다. 거국적인 범위에서는 완젼 같습니다. 기능 차이 없습니다. 검색 인터페이스는 맵피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간혹은 맵피가 더 편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스팟죤을 찾는 기능 등)
o. 사용자 편리성 : 비교하기 힘듭니다. 아이나비는 처음부터 좋은 편이었고, 맵피는 최근에 무척 좋아지면서 간혹 아이나비의 불편한 부분을 긁어주는 면모도 보입니다. 고속도로에서의 편리함은 맵피가 더 좋습니다. 프로그램 실행속도나 반응속도는 맵피가 조금 빠른 듯이 느껴집니다 (HW에 따른 차이도 있을 겁니다)
o. 라이센스 독립성 : 아이나비는 라이센스 독립성에 대한 지원이 폭이 큽니다. SW를 구입했으면, HW를 옮겨다니면서도 계속 사용이 가능한 편이죠. 맵피는 그런 부분이 참 불가능하거나 번거롭습니다.
o. 사용자 지원 : 아무래도 아이나비가 문의전화 대기시간 등이 더 짧고 지원이 잘되는 느낌이 있습니다. 맵피도 노력 많이 합니다. 하지만 최근 네비게이션 회사들은 모두가 다 문의 폭주에 시달리며 누구나 다 흡족할만큼의 지원을 하고 있지는 못합니다.
저의 총체적인 결론은, 10만원에 가까운 가격차이치고는 맵피는 쓸만합니다. 아이나비는 뭔가 긴장을 좀 해야겠습니다. 돈 차이가 중요하지 않다면 아이나비를 쓰시고 되도록 고용량으로 사용하십시오. 금액차이 절약이 중요하시다면 맵피에 512mb를 사용하셔도 아껴가며 쓸수 있습니다. (앞으로 맵 데이타가 커질수도 있겠지만요 ^^; 아직까지는 설치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부분만 고르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상, 생업운전자 Enzo였습니다.
내용추가 : 늦게나마 추가내용을 적자면, 아이팩이나 PM80등의 안테나 없는 기종들을 위한 좋은 솔루션이 나왔습니다. 블루투스 GPS안테나이지요. 성냥갑보다 작은 녀석인데 전선이나 아무런 접속부위없이 블루투스이므로 PDA본체와 무선으로 동작 완벽하게 잘 됩니다. 베터리는 겨우 귀찮지 않을정도로 갈아끼워주면 됩니다. 매우 쓸만한 솔루션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
>지금 네비를 하나 살려고 하는데..
>고정형보다는 띠었다 붙였다를 쉽게 할수 있는.. 여러차에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종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
>그래서 PDA형을 살려고 하는데..
>찾아보니까.. 아이나비랑 맵피 두가지 방식이 눈에 띠던데.. 어떤게 난지요?
>
>예전에 7인치 용을 샀더니 너무 커서 조금 부담되더라고요..크기가..^^
>
>근데 터치스크린이 편하긴 하데요..^^
선택을 좌우하는 변수는 세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결론부터 말하는 것을 좋아합니다만...
변수1. 가격차 : 약 7~10만원의 저가인 맵피가 가격대 성능비로는 좋다고 생각함.
변수2. 주 사용 지역 : 지방에서 고속도로를 많이 타신다면 맵피. 도심이라면 아이나비.
변수3. PDA기능 활용성 : 정말로 자신이 PDA 기능을 많이 쓸것인지 재고해봐야 합니다. 아니라면 Mio 136, 138, C310 혹은 아이나비 UP 등의 전용 네비게이션이 낫습니다.
다른분들 답변이 모두 옳습니다.
네비게이션은 [하드웨어(HW) : 소프트웨어(SW)] 구성의 이해에서 시작해야합니다.
o. 아이나비는 모든 HW가 아이나비 SW와 묶여 있습니다.
o. Mio의 모든 시리즈는 예전에 만도맵~미오맵으로 묶여 있었으나, 몇개월전부터 맵피와 통합으로 묶였으며, 현재 이름만 미오맵이고 실제 내용은 맵피맵입니다. 미오맵 MX2라는 용어는 맵피 콘텐츠로 통폐합되면서 나왔습니다.
o. 미오맵과 맵피라는 용어에서 혼동이 많으신데, 미오 기기중 네비게이션 전용 하드웨어들은 미오맵(맵피 콘텐츠)을 쓰고 업데이트를 mio-tech.co.kr에서 받으며, SW와 HW가 묶여 있어서 라이센스 분리가 불가능합니다. 미오 기기중 PDA형인 168과 168rs와 169의 경우 미오맵이 아닌 원래의 맵피 프로그램을 쓰며, 업데이트도 mappy.co.kr에서 받고, 다른 PDA 신규구입시 이동 라이센스를 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o. Mio168, Mio169는 PDA HW에 네비 안테나 기본내장으로 붙은 구성이며, PDA형에 WinCE Mobile 2003을 사용하므로 SW는 Mappy, iNavi, 알맵 등을 마음대로 설치 가능합니다. (처음 구입시 묶여 있는 SW를 쓰는게 관리상 편합니다)
o. LG-PM80, 아이팩 등의 PDA에서는 마찬가지로 SW는 마음대로 선택 설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안테나 내장이 아니기 때문에 추가설치를 해야하는데 PDA로부터 전원을 받는 안테나는 수신율과 베터리 소모성을 고려해야하고, 시가잭 등의 외부전원이나 차량거치용 모델 안테나들은 휴대 이동성이 없어집니다.
o. LG-PM80의 강점은 추가사양없이 바로 지상파 DMB를 볼 수 있는 PDA라는 점이며, 전원및 데이타 연결용 케이블이 휴대폰 통합 케이블과 완전 같기때문에 시가잭 구성을 아낄 수 있다는 점입니다.
o. 그외의 모든 네비게이션 HW들은 사용 네비게이션 SW를 명기하고 있으나 아이나비와 맵피를 제외한 다른 SW는 별로 쓸만하지 못합니다.
o. HW에 내장 베터리가 있는 모델과 없는 모델이 틀립니다. 아이나비와 미오는 모두 베터리가 있어서 완충후 풀가동으로 3시간 이상 독립동작합니다. 따라서 여러차량에서 옮겨다니며 사용할 때에 시가잭 케이블로부터 약간은 해방이 가능합니다.
PDA 기능의 활용성은... 막상 많이 활용할 것 같아도 쓰다보면 별로 쓸일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스로 활용도에 대한 확신이 없다면 Mio136, 138, C310, 아이나비UP 등 전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활용성 확신이 있다면 Mio 168, 168rs (rs는 OS가 최신 버젼se임), 아이팩이나 PM-80에 네비확장팩(안테나) 등의 PDA에 원하는 SW를 결정하여 사용하세요.
끝으로, 맵피와 아이나비를 비교해보겠습니다.
o. 데이타 정밀성 : 아이나비가 더 좋습니다. 도심지에서 더 좋으며, 업데이트 속도도 빠릅니다. 건물의 실제 높이를 표시하는 등의 정보에서도 아이나비가 앞섭니다. 아이나비의 경우 대용량 맵데이타에서는 실제 건물의 색이나 외형을 그대로 표현해주기도 합니다.
o. 검색 정밀성 : 딱잘라 말하기 힘듭니다. 맵피에서 더 잘 검색되는 케이스도 의외로 빈번합니다만, 도심에서는 아이나비가 좋은 성향을 나타내며, 지방에서는 맵피도 좋습니다. 목적지 주변에 다 와서 헤메는 경우가 맵피는 많고 아이나비는 적기 때문에 국소 범위에서 아이나비가 강합니다. 거국적인 범위에서는 완젼 같습니다. 기능 차이 없습니다. 검색 인터페이스는 맵피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간혹은 맵피가 더 편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스팟죤을 찾는 기능 등)
o. 사용자 편리성 : 비교하기 힘듭니다. 아이나비는 처음부터 좋은 편이었고, 맵피는 최근에 무척 좋아지면서 간혹 아이나비의 불편한 부분을 긁어주는 면모도 보입니다. 고속도로에서의 편리함은 맵피가 더 좋습니다. 프로그램 실행속도나 반응속도는 맵피가 조금 빠른 듯이 느껴집니다 (HW에 따른 차이도 있을 겁니다)
o. 라이센스 독립성 : 아이나비는 라이센스 독립성에 대한 지원이 폭이 큽니다. SW를 구입했으면, HW를 옮겨다니면서도 계속 사용이 가능한 편이죠. 맵피는 그런 부분이 참 불가능하거나 번거롭습니다.
o. 사용자 지원 : 아무래도 아이나비가 문의전화 대기시간 등이 더 짧고 지원이 잘되는 느낌이 있습니다. 맵피도 노력 많이 합니다. 하지만 최근 네비게이션 회사들은 모두가 다 문의 폭주에 시달리며 누구나 다 흡족할만큼의 지원을 하고 있지는 못합니다.
저의 총체적인 결론은, 10만원에 가까운 가격차이치고는 맵피는 쓸만합니다. 아이나비는 뭔가 긴장을 좀 해야겠습니다. 돈 차이가 중요하지 않다면 아이나비를 쓰시고 되도록 고용량으로 사용하십시오. 금액차이 절약이 중요하시다면 맵피에 512mb를 사용하셔도 아껴가며 쓸수 있습니다. (앞으로 맵 데이타가 커질수도 있겠지만요 ^^; 아직까지는 설치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부분만 고르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상, 생업운전자 Enzo였습니다.
내용추가 : 늦게나마 추가내용을 적자면, 아이팩이나 PM80등의 안테나 없는 기종들을 위한 좋은 솔루션이 나왔습니다. 블루투스 GPS안테나이지요. 성냥갑보다 작은 녀석인데 전선이나 아무런 접속부위없이 블루투스이므로 PDA본체와 무선으로 동작 완벽하게 잘 됩니다. 베터리는 겨우 귀찮지 않을정도로 갈아끼워주면 됩니다. 매우 쓸만한 솔루션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
>지금 네비를 하나 살려고 하는데..
>고정형보다는 띠었다 붙였다를 쉽게 할수 있는.. 여러차에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종을 사용하고자 합니다..
>
>그래서 PDA형을 살려고 하는데..
>찾아보니까.. 아이나비랑 맵피 두가지 방식이 눈에 띠던데.. 어떤게 난지요?
>
>예전에 7인치 용을 샀더니 너무 커서 조금 부담되더라고요..크기가..^^
>
>근데 터치스크린이 편하긴 하데요..^^
2006.05.30 01:02:41 (*.39.189.175)
전 PMP와 통합된 네비 추천합니다. ^^
DMB킷도 옵션으로 달 수 있고 재검색도 빠르더군요... 지명으로 찾는 건 좀 부족하지만
TV나 동영상을 이동하며 볼 수 있다는 매리트가 참 매력적이더라고요... ^^
추천 제품은 i-Station V43입니다. ^^
DMB킷도 옵션으로 달 수 있고 재검색도 빠르더군요... 지명으로 찾는 건 좀 부족하지만
TV나 동영상을 이동하며 볼 수 있다는 매리트가 참 매력적이더라고요... ^^
추천 제품은 i-Station V43입니다. ^^
2006.05.30 01:48:27 (*.148.24.148)

아, 그러고보니, 제가 작성한 글은, 질문하신 이현재님의 기본가정인 "휴대성, 여러 차량에 걸쳐 사용함"을 전제로 작성된 것이기 때문에 PMP나 DMB나 7인치 이상의 제품들을 모두 제껴놓고 작성된 것입니다. 읽고 참고하시는 분들 이점 꼭 고려해주세요 ^^;
2006.05.30 11:55:17 (*.154.2.142)
i-Station V43은 괜찮은 물건인데 과도한 전자파 발생 문제로 pmp 동호회에서 문제제기한 적이 있습니다. 최근 기사를 검색해보니 1개월간 생산중지 및 리콜에 들어갔군요. 아마도 디지털큐브에서 제품 완성도를 더 높여 다시 생산할 듯 하구요, 이 문제를 제외하면 제법 괜찮은 녀석입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관건은 비용이지요. 흑흑...넘 비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