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9
구형 SM5 M/T를 몰고 있습니다. SM5는 앞 맥퍼슨 스트럿에 뒤는 QT서스펜션이라 불리는 일체형 멀티링크 방식입니다. 이 QT서스펜션이 예전엔 특허다 뭐다해서 마케팅 포인트로도 이용됐습니다만 실제 SM5를 사용하면서 180km/h이상에서 도로의 요철이나 굴곡을 지날때 뒤기 날라갈 듯한 느낌을 여러번 받았기 때문에 고속주행에서의 안정성은 크게 신뢰를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어제 평택안성간 고속도로를 가족들을 모두 태우고 달리는데 상당히 안정된 움직임을 보여주더군요. 너무 느낌이 좋아서 4단 6500~6600RPM에서 연료컷을 경험할 정도로 5단으로 변속하기가 싫을 정도였습니다.(SM5는 5단의 기어비가 낮아 5단변속후에는 거의 가속이 되지 않습니다.)
차가 없었기도 하지만 후륜의 움직임도 상당히 안정적이었구요. 그래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뒤에 집사람과 아이들이 타고 있었다는 점과 뒷트렁크에 큰 유모차를 요즘 항상 싣고 다닌다는 점등이 바뀐팩터였습니다. 결국 뒷부분이 좀더 무거워져 안정적이 되었다는 아주 평범한 진리인 것 같은데요.
다시 생각해보니 항상 뒷좌석에 사람을 많이 태우고 다닐 수록 SM5가 더 잘나간다는 느낌을 그동안 받았던 이유가 이 안정감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이럴경우 뒤쪽에 무게를 더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어떤 식으로 세팅을 하면 비슷한 효과를 줄 수 있을까요. (앞에 무게를 줄인다와 뒷쪽에 무게를 더한다를 제외한 다른 튜닝방법이..)
현재 둘째가 갓난아기라 서스펜션을 순정상태에서 감히 엄두를 못내고 있는데 만약 서스펜션튠을 들어간다면 어떤 방법으로 방향을 잡아야하는지도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런데 어제 평택안성간 고속도로를 가족들을 모두 태우고 달리는데 상당히 안정된 움직임을 보여주더군요. 너무 느낌이 좋아서 4단 6500~6600RPM에서 연료컷을 경험할 정도로 5단으로 변속하기가 싫을 정도였습니다.(SM5는 5단의 기어비가 낮아 5단변속후에는 거의 가속이 되지 않습니다.)
차가 없었기도 하지만 후륜의 움직임도 상당히 안정적이었구요. 그래서 곰곰히 생각해보니 뒤에 집사람과 아이들이 타고 있었다는 점과 뒷트렁크에 큰 유모차를 요즘 항상 싣고 다닌다는 점등이 바뀐팩터였습니다. 결국 뒷부분이 좀더 무거워져 안정적이 되었다는 아주 평범한 진리인 것 같은데요.
다시 생각해보니 항상 뒷좌석에 사람을 많이 태우고 다닐 수록 SM5가 더 잘나간다는 느낌을 그동안 받았던 이유가 이 안정감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이럴경우 뒤쪽에 무게를 더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어떤 식으로 세팅을 하면 비슷한 효과를 줄 수 있을까요. (앞에 무게를 줄인다와 뒷쪽에 무게를 더한다를 제외한 다른 튜닝방법이..)
현재 둘째가 갓난아기라 서스펜션을 순정상태에서 감히 엄두를 못내고 있는데 만약 서스펜션튠을 들어간다면 어떤 방법으로 방향을 잡아야하는지도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2006.06.05 18:26:22 (*.60.0.23)
글에서 언급하신 뒤쪽 서스펜션의 맹점도 생각해야 하겠구요. 그렇다면 현 수준의 언더스티어를 유지하는 선에서 타이어 그립이나 서스펜션 강성을 손보시는 게 조종성과 안정성을 양립하는 길이 아닐까 싶습니다.
서스펜션 튜닝한 몇몇 구형 SM5를 타 보니, 몇 가지 와닿는 게 있더라구요. 강성감은 있지만 언더가 더 강해져서 코너링 스피드나 핸들링 감각에 마이너스인 경우(롤 언더), 언더는 좀 억제되는데 턱인시 접지감 변화가 급진적이어서 다루기가 어려워지는 경우... 많은 차를 못 타봐서 더 좋은 느낌을 바랄 수 있는지는 모릅니다만, 서스펜션 튜닝하시면서 서스라든가 차의 한계도 알고 좋은 차에 대한 기준도 잡히고...
그런 과정을 즐기는데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아. 지나치게 그립력 좋은 타이어는 피하세요. ^^
서스펜션 튜닝한 몇몇 구형 SM5를 타 보니, 몇 가지 와닿는 게 있더라구요. 강성감은 있지만 언더가 더 강해져서 코너링 스피드나 핸들링 감각에 마이너스인 경우(롤 언더), 언더는 좀 억제되는데 턱인시 접지감 변화가 급진적이어서 다루기가 어려워지는 경우... 많은 차를 못 타봐서 더 좋은 느낌을 바랄 수 있는지는 모릅니다만, 서스펜션 튜닝하시면서 서스라든가 차의 한계도 알고 좋은 차에 대한 기준도 잡히고...
그런 과정을 즐기는데 의미를 부여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아. 지나치게 그립력 좋은 타이어는 피하세요. ^^
2006.06.05 20:02:06 (*.145.76.171)

SM5 순정 써스펜션이 전반적으로 다른 노말에 비해 단단한 편이지요?
리어가 무거워졌을때 안정감이 좋아진다는건, 스프링 인장력이 억제되었다는 얘기입니다. 튀어오르는 힘을 하중이 눌러주기 때문이죠. / 그런 경우엔 댐퍼압이 조금더 강해지면 스프링의 수축,인장력이 억제되어 비슷한 효과가 나타나게 될겁니다. 제 생각에 스프링은 그대로 두고.. 댐퍼압이 조금 높은, 가야바나 삭스(노말스포츠 그레이드)정도의 댐퍼로..댐퍼만 교환하면 안정감이 한결 좋아질 듯 합니다.
리어가 무거워졌을때 안정감이 좋아진다는건, 스프링 인장력이 억제되었다는 얘기입니다. 튀어오르는 힘을 하중이 눌러주기 때문이죠. / 그런 경우엔 댐퍼압이 조금더 강해지면 스프링의 수축,인장력이 억제되어 비슷한 효과가 나타나게 될겁니다. 제 생각에 스프링은 그대로 두고.. 댐퍼압이 조금 높은, 가야바나 삭스(노말스포츠 그레이드)정도의 댐퍼로..댐퍼만 교환하면 안정감이 한결 좋아질 듯 합니다.
2006.06.05 20:13:26 (*.145.76.171)

가야바나 삭스댐퍼는 40~50 만원대이니 큰 부담이 들지 않을테고요.. 아기가 자주탄다면 로워링을 하지않는게 좋을 듯 한데, 차 후..차고를 낮추고 싶다면, 아이밬 스프링이 좋은 매칭을 이룰겁니다. 아이밬은 감김구조가 저속요철에선 노말처럼 부드럽게 작용하고, 강한 코너링에선 노말보다 잘 버텨주어, 아기와 엄마가 불쾌하지 않은 수준에서 스포티한 느낌을 보충해줍니다. / 또한 얼라인먼트 값에 따라, 고속에서의 접지력은 천지 차이여서..직진에 유리한 셋팅으로 얼라인을 꼭 점검하는게 좋습니다. 어차피, 써스 셋팅하시면 점검하셔야겠지만..^^
2006.06.05 20:40:49 (*.117.180.62)

답변해주신 분 감사드립니다. 예전의 차에 가야바쇽을 하고 다닌관계로 지금도 서스펜션을 손보겠다고 하면 집사람이 쿵쾅거리고 안좋던데 라고 반대를 합니다. 저도 가장쉽고 저렴한 해결비용으로 가야바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론적으로 이해해시켜주셔서 익렬형님께 감사드립니다. 아니면 좀더 차후에 조절의 범위가 넓어 순정과 비슷해질 수 있다는 apexi n1등의 일체형을 할까 고민중에 있었습니다.
2006.06.05 23:01:48 (*.83.144.114)

후륜 중량 증가에 의한 안정감을 느끼시는 것은 언더스티어 세팅을 좋아하심이겠죠.
가장 간단한것은 공기압 밸런스를 뒤를 좀 적게, 앞은 좀 많이... 그다음이, 리어의 타이어 폭을 한치수 광폭으로 가는 정도...
튜닝댐퍼를 하시는건 논외로 하고... QT서스펜션도 어쩔수 없는 일체형이니, 관성질량이 큰 이유때문에 승차감에서 업그레이드는 더이상 기대하지 마세요.
가장 간단한것은 공기압 밸런스를 뒤를 좀 적게, 앞은 좀 많이... 그다음이, 리어의 타이어 폭을 한치수 광폭으로 가는 정도...
튜닝댐퍼를 하시는건 논외로 하고... QT서스펜션도 어쩔수 없는 일체형이니, 관성질량이 큰 이유때문에 승차감에서 업그레이드는 더이상 기대하지 마세요.
2006.06.06 11:46:11 (*.115.56.83)
고속 코너링에서 불안하다는것은 Roll 증가로인한 불안함이나 Yaw증가로인한 불안함 일것인데요
제생각에는 QT서스펜션의 특성상 Yaw의 증가로인한 불안함 같습니다
QT는 트럭에쓰는 리지드식 서스펜션과 구조가 비슷하기때문에 차량에 Roll이 발생해도 캠버나 토인의 변화가 없습니다
Roll 발생시 토인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요즘 서스펜션에 비해 코너에서 차량의 Yaw가 큽니다
쉽게말씀드려서 코너를 돌때 차 뒤쪽이 바깥으로 나가서 코너를 돌아나가는... 잘못하면 차가 스핀을 하겠다는 불안감으로 느껴지실수있습니다
뒤쪽 하중증가로 인한 불안감 해소는 제가 보기엔 수직하중 증가에의한 타이어의 마찰력증가로 생각됩니다
타이어의 마찰력은 F(마찰력)=Mu(마찰계수)*N(수직으로 누르는힘) 이기때문에 단순히 수직으로 누르는힘만 증가시켜도 타이어의 코너링포스가 증가됩니다
QT서스펜션의 특성상 하중이동조차도 적기때문에 뒤쪽을 무겁게 하면 안정감을 느끼실수 있을것입니다 (코너링 포스의 증가로 코너에서 차가 몸을 덜 틀어도 됩니다 = Yaw가 이전보다 적게 발생 )
코너링포스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뒤쪽의 하중증가로 인한 코너링 포스의 증가 효과만 따진다면 대안은 뒤쪽 트렁크에 윙을 다셔서 고속에서 다운포스를 얻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제생각에는 QT서스펜션의 특성상 Yaw의 증가로인한 불안함 같습니다
QT는 트럭에쓰는 리지드식 서스펜션과 구조가 비슷하기때문에 차량에 Roll이 발생해도 캠버나 토인의 변화가 없습니다
Roll 발생시 토인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요즘 서스펜션에 비해 코너에서 차량의 Yaw가 큽니다
쉽게말씀드려서 코너를 돌때 차 뒤쪽이 바깥으로 나가서 코너를 돌아나가는... 잘못하면 차가 스핀을 하겠다는 불안감으로 느껴지실수있습니다
뒤쪽 하중증가로 인한 불안감 해소는 제가 보기엔 수직하중 증가에의한 타이어의 마찰력증가로 생각됩니다
타이어의 마찰력은 F(마찰력)=Mu(마찰계수)*N(수직으로 누르는힘) 이기때문에 단순히 수직으로 누르는힘만 증가시켜도 타이어의 코너링포스가 증가됩니다
QT서스펜션의 특성상 하중이동조차도 적기때문에 뒤쪽을 무겁게 하면 안정감을 느끼실수 있을것입니다 (코너링 포스의 증가로 코너에서 차가 몸을 덜 틀어도 됩니다 = Yaw가 이전보다 적게 발생 )
코너링포스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뒤쪽의 하중증가로 인한 코너링 포스의 증가 효과만 따진다면 대안은 뒤쪽 트렁크에 윙을 다셔서 고속에서 다운포스를 얻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