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 배출가스와 소음검사 땜에 글 올렸던 사람입니다.
무사히 이번에 정말 우역곡절 끝에 정식 번호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얼마나 생고생을 했는지...에효!!!
다름이 아니라 bmw e39 5 시리즈 인데영 bmw 게기판이 깨지는 현상이 생겨서 제 차만 그런가 부다 했는데..인터넷 디져보니깐

(서울=연합뉴스) 강훈상기자 = 자동차10년타기시민운동연합(대표 임기상.이하
시민운동연합)은 외제 승용차인 BMW의 일부 차종에서 부품결함이 발견돼 건설교통부
에 리콜건의서를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단체에 따르면 2002년 10월 이전에 생산된 BMW E36, E38, E39 차종에서 3년
정도가 지나면 차의 상태를 표시해주는 계기판의 디지털식 표시화면에서 `픽셀'이
고장나면서 글자가 깨져 읽을 수 없는 결함이 있다는 소비자의 불만이 수차례 접수
됐다.
그동안 외제 승용차 수입업체는 차에 결함이 발견되면 자체 리콜을 몇 차례 한
사례는 있지만 소비자와 시민단체가 리콜을 공식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표시화면에는 총 주행거리와 냉각수 과열 경고문, 엔진오일과 브레이크 오일
상태, 브레이크 전구손상, 급핸들과 급브레이크 조작 경고문, 안전띠 경고문, 제한
속도 초과표시 등이 글자로 나타난다.
소비자의 신고접수 결과 계기판의 표시화면뿐 아니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오디오 조작화면과 에어컨 컨트롤박스의 표시화면도 같은 문제가 발견되고 있다고
시민운동연합은 밝혔다.
임 대표는 "표시화면은 부수적인 편의를 위한 부품이 아니라 안전띠, 각종 오일
상태 등 안전운행과 관련된 중요한 내용이 표시되므로 무상교체가 아닌 리콜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운동연합은 또 BMW가 이같은 부품결함을 이미 인지해 북미 지역에서는 자발
적으로 무상교체를 해주고 있지만 국내 소비자에게는 이를 알리지 않는 바람에 소비
자가 직접 100만원 정도를 들여 부품을 교체하는 차별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BMW 수입업체인 BMW코리아는 주행거리에 관계없이 무상보증수리 기간을 2년으로
정한 반면 표시화면 결함은 3년이 지난 뒤에 발생하는 것이어서 소비자가 무상수리
를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시민운동연합은 리콜 건의서에서 "BMW코리아는 책임을 지고 해당 차종을 모두
리콜해야 하며 자신의 돈을 들여 표시화면을 바꾼 소비자에게 수리비용을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연합뉴스 2004.09.18 07:31)

이라고 나와있는데..그 후의 결과가 없는거 같네요..!!혹시 아시는분이 있으신지..또한 문제가 저희 차가 bmw 코리아로 수입해온차가 아니고, 저희가 이삿짐으로 가지고 온거라 또한 문제가 되는군요..또한 듣기론 아직까지도 게기판 경우 소비자가 어느 정도 지불하고 교체 해준다고 하는데..;;흠..;;
마지막으로 소히 e39 페이스 리프트 된 앞과 뒤 램프를 바꿀려구 하는데..어디 추천할만곳좀 부탁드립니다..지역은 서울이구요..아무쪼록 긴글 읽어 주긴거 감사합니다..그럼..!!

질문 내용
1.BMW 게기판 Recall 여부 및 저희 차 같은 경우 개인 이삿짐으로 들어옴(일본 버전)
2.E39 Face-lift 된 앞과 뒤 램프 바꿔 줄수 있는 업체 소개 요망(지역:서울 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