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예전에 글을 올렸듯이, 약 1달 전에 순정보다 약간 강화된 클러치와,
3.8kg 플라이휠을 장착하고 길들이기를 다 끝낸 후,
요즘은 즐겁게 익숙해져가며 타고있습니다.
그런데 길들이기를 700km정도 한 후부터 일부러 하드한 주행을 해보면서
느낌상으로 이상한 점과 실제 눈에 보이는 이상한 점이 있어 궁금증이 생겨
글 올려봅니다,
우선, 클러치/플라이휠 교환 후 며칠동안 의도적으로
회전 한계까지 다 써가면서 다녀보고,, 예전부터 옆에 자주 태우던 동생 녀석도
태우고 하면서 달려봤지만 기대만큼 회전 상승 속도가 빠른것 같진 않더군요.
옆에 타던 동생 말로는 꽤 달라졌다는데 전 그걸 못느끼다가
교환 후 주행거리 1200km 가 넘은 요즘에 와서야 회전 상승이 빨라서 예전보다
다루기가 힘들다는 걸 느끼게 되었는데요, (리스폰스 향상은 교환 직후부터 느껴졌지만요)
주행 거리에 따라서 클러치/플라이휠의 효과가 점차 강해질 수 있는건가요?
그저 느낌상으로 이제야 차이가 느껴지는 걸까요?
그리고, 두 번째는.. 플라이휠을 가볍게 하면 회전 상승도 빠르지만
악셀 오프, 변속 시에 회전수를 잃는 것도 빠르다고 알고있었는데..
각 단 변속 후에 가속이 시작되는 회전수가 예전보다 오히려 더 높아졌습니다.
작업 전엔 8350rpm에서 1->2단으로 변속하면 2단에선 6000rpm 언저리에서
가속이 시작되었는데..
지금은 똑같이 연료컷 바로 전에 변속하면 2단 6300rpm 이상에서..
예전보다 거의 400rpm이나 높은 rpm에서 2단 가속이 시작됩니다.
제가 변속을 남들보다 빨리 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지요...
플라이휠이 가벼워졌는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요?
클러치가 조금 더 강해졌다고 해서 클러치 슬립이 없어진걸까요?
타이어도 최근에 바꾸긴 했습니다만.. (금호 spt)
클러치와 타이어 그립이 보강됨으로 인해서 약 400rpm의 차이가 날 수 있는건가요?
흠~ 요즘 다시금,, 얌전한 4도어 차에 대한 필요가 강하게 느껴지는데..
어째 차를 튜닝하다보니 옆에 누굴 태우기도 미안한 지경에까지 와버려서
참 난감합니다..팔기도 힘들고..
기아 Rio5(프라이드 해치백)가 이뻐보이던데.. 테드에서 시승기 검색이나 해봐야겠습니다^^::
그럼 테.드 여러분 즐거운 한 주 되세요~
3.8kg 플라이휠을 장착하고 길들이기를 다 끝낸 후,
요즘은 즐겁게 익숙해져가며 타고있습니다.
그런데 길들이기를 700km정도 한 후부터 일부러 하드한 주행을 해보면서
느낌상으로 이상한 점과 실제 눈에 보이는 이상한 점이 있어 궁금증이 생겨
글 올려봅니다,
우선, 클러치/플라이휠 교환 후 며칠동안 의도적으로
회전 한계까지 다 써가면서 다녀보고,, 예전부터 옆에 자주 태우던 동생 녀석도
태우고 하면서 달려봤지만 기대만큼 회전 상승 속도가 빠른것 같진 않더군요.
옆에 타던 동생 말로는 꽤 달라졌다는데 전 그걸 못느끼다가
교환 후 주행거리 1200km 가 넘은 요즘에 와서야 회전 상승이 빨라서 예전보다
다루기가 힘들다는 걸 느끼게 되었는데요, (리스폰스 향상은 교환 직후부터 느껴졌지만요)
주행 거리에 따라서 클러치/플라이휠의 효과가 점차 강해질 수 있는건가요?
그저 느낌상으로 이제야 차이가 느껴지는 걸까요?
그리고, 두 번째는.. 플라이휠을 가볍게 하면 회전 상승도 빠르지만
악셀 오프, 변속 시에 회전수를 잃는 것도 빠르다고 알고있었는데..
각 단 변속 후에 가속이 시작되는 회전수가 예전보다 오히려 더 높아졌습니다.
작업 전엔 8350rpm에서 1->2단으로 변속하면 2단에선 6000rpm 언저리에서
가속이 시작되었는데..
지금은 똑같이 연료컷 바로 전에 변속하면 2단 6300rpm 이상에서..
예전보다 거의 400rpm이나 높은 rpm에서 2단 가속이 시작됩니다.
제가 변속을 남들보다 빨리 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지요...
플라이휠이 가벼워졌는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요?
클러치가 조금 더 강해졌다고 해서 클러치 슬립이 없어진걸까요?
타이어도 최근에 바꾸긴 했습니다만.. (금호 spt)
클러치와 타이어 그립이 보강됨으로 인해서 약 400rpm의 차이가 날 수 있는건가요?
흠~ 요즘 다시금,, 얌전한 4도어 차에 대한 필요가 강하게 느껴지는데..
어째 차를 튜닝하다보니 옆에 누굴 태우기도 미안한 지경에까지 와버려서
참 난감합니다..팔기도 힘들고..
기아 Rio5(프라이드 해치백)가 이뻐보이던데.. 테드에서 시승기 검색이나 해봐야겠습니다^^::
그럼 테.드 여러분 즐거운 한 주 되세요~
2006.07.04 01:05:07 (*.140.6.119)

연료컷 조금 전에 변속을 하신다면 동력이 끊어지는 순간 rpm 이 살짝 치솟거나// 떨어지는 것이 예전보다 더 방지 될 수도 있겠군요.
2006.07.04 16:33:09 (*.162.236.113)
브레이크 로터과 플라이휠은 길들이기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 과정을 통해 마찰력이 극대화되는데 신품을 장착한 초기에는 충분한 마찰력이 나오지 않아 조금씩 슬립이 생깁니다.
길들이는 과정속에서 브레이크 패드 혹은 클러치 디스크 마찰재의 재질이 로터-플라이휠에 얇게 도포돼 layer(층)를 형성하면서 마찰력이 높아집니다.
그 이전에는 약간씩 슬립이 발생하죠. 이제 제대로 최대 마찰력이 발생하면서 강화압력판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여러 차종의 동판클러치 작업을 해보면 초반에는 마찰력이 생각보다 좋지 않다가 주행거리가 약간씩 늘어나면서 실력에 제대로 나오는 것을 자주 경험했습니다.
그 과정을 통해 마찰력이 극대화되는데 신품을 장착한 초기에는 충분한 마찰력이 나오지 않아 조금씩 슬립이 생깁니다.
길들이는 과정속에서 브레이크 패드 혹은 클러치 디스크 마찰재의 재질이 로터-플라이휠에 얇게 도포돼 layer(층)를 형성하면서 마찰력이 높아집니다.
그 이전에는 약간씩 슬립이 발생하죠. 이제 제대로 최대 마찰력이 발생하면서 강화압력판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여러 차종의 동판클러치 작업을 해보면 초반에는 마찰력이 생각보다 좋지 않다가 주행거리가 약간씩 늘어나면서 실력에 제대로 나오는 것을 자주 경험했습니다.
2006.07.04 16:40:22 (*.162.236.113)
위에서 말했듯이 브레이크 로터와 플라이휠은 교체한 뒤 길들이는 과정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브레이크는 보통 500km, 클러치는 1000km정도로 잡더군요. 초기에는 과격한 조작은 금물이고 마찰재의 재질이 디스크에 잘 옮겨가고 열처리도 부드럽게 되도록 서서히 사용강도를 높여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 너무 조심스럽게만 다룬다고 좋은 것도 아닙니다. 처음에는 가볍게 길들이기를 시작하지만 몇백km 주행하고 나서는 재질이 열처리가 되도록 부드러우면서도 적당히 강하게 온도를 올려줄 필요가 있죠.
또 너무 조심스럽게만 다룬다고 좋은 것도 아닙니다. 처음에는 가볍게 길들이기를 시작하지만 몇백km 주행하고 나서는 재질이 열처리가 되도록 부드러우면서도 적당히 강하게 온도를 올려줄 필요가 있죠.
비교하긴 뭣 하지만 순정보다 조금더 강한 다른차 순정 디스크, 압력판 그리고 가벼운 플라이 휠을 적용했을때 같은 경험을 했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