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5세대GTI입니다...
일단 코일오버 서스펜션인 빌스타인 pss9를 멋모르고 지르긴 했는데, 첨엔 단단하고 좋았지만 운행킬로가 늘어나면서 고민이 늘어만 가네요..
1차. 차고 거의 최대로 낮추고 앞/뒤 3/4로 셋팅
좀 단단한 감이 없잖아 있어서
6/7로... 노면의 굴곡에 맞춰 앞뒤,좌우로 요동치듯 휘청휘청 출렁출렁 -.-
5/6으로... 여전히 노면을 따라 위아래로 출렁출렁..(출렁이라고 서스 바꾼거 아닌데;;)
올림픽대로나 분당수서같은 도로에서 차가 불안해서 속도를 못 낼 지경...
이 출렁인다는게 국산차처럼 출렁이는게 아닙니다.
뭔가 딴딴한 것이 빡세게 출렁거립니다..
쉽게말해서 스카이콩콩 타는 느낌. 이런걸 보고 통통~ 튄다고 하나요?
근데 제가 느끼기엔 단순히 튀는건 아닌 것 같습니다...
또 장착한 샵에 가서 이야기를 좀 해 봤는데 차고를 높히는건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하더군요...
그래서 차고는 3mm만 높히고 3/4로 다시 맞췄는데, 맨 처음 장착했을 때와 비교해서 느낌이 또 틀려지더군요. 여전히 노면의 굴곡에 맞춰 위아래로 출렁출렁(매우 빡시게^^)
일체형은 처음이라서 섵부른 판단은 못하겠지만... 스프링이 튀는걸 댐퍼가 제대로 못잡아 주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일단은.... 근데 그게 맞다면 3단,4단이면 좀 하드한 셋팅인데도 바운싱을 못잡아 준다면 뭔가 말이 좀 안되는 겉 같구요...
그래서 무쟈게 자료를 뒤져 연구했습니다..
일단 습득한 지식.
차고를 낮추면 스프링 길이가 길어진다. 반대로 높이면 스프링플레이트가 올라가서 짧아지고 ( 높이고 낮췄을때 각기 어떻게 반응을 보이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차고를 낮추면 댐핑스트로크가 짧아지고 높히면 길어진다.
다음 골프동에 비슷한 질문을 했는데 답변중 하나는
'앞뒤 감쇄력은 같이 맞추는게 좋다.. 단수는 같더라도 앞뒤 범프스피드를 맞추기 위해 실제 감쇄력은 약간 틀리다. 다르게 맞추면 오히려 언밸런스해진다'라는 이야길 들었습니다.
마지막 시도는
차고를 허용 최대치로 올리고(앞10mm 뒤20mm가 차고조절 허용치) (그래도 아마 순정보다는 상당히 낮은 상태일듯)
단수는 2/2 나 3/3으로 맞춰보려 하는데 올바른 방향일런지
조언을 구해봅니다.
다른 차종이라도 pss9를 장착하신 분 계시면 또 의견을 부탁드려요 경험담이라던가...^^
일단 코일오버 서스펜션인 빌스타인 pss9를 멋모르고 지르긴 했는데, 첨엔 단단하고 좋았지만 운행킬로가 늘어나면서 고민이 늘어만 가네요..
1차. 차고 거의 최대로 낮추고 앞/뒤 3/4로 셋팅
좀 단단한 감이 없잖아 있어서
6/7로... 노면의 굴곡에 맞춰 앞뒤,좌우로 요동치듯 휘청휘청 출렁출렁 -.-
5/6으로... 여전히 노면을 따라 위아래로 출렁출렁..(출렁이라고 서스 바꾼거 아닌데;;)
올림픽대로나 분당수서같은 도로에서 차가 불안해서 속도를 못 낼 지경...
이 출렁인다는게 국산차처럼 출렁이는게 아닙니다.
뭔가 딴딴한 것이 빡세게 출렁거립니다..
쉽게말해서 스카이콩콩 타는 느낌. 이런걸 보고 통통~ 튄다고 하나요?
근데 제가 느끼기엔 단순히 튀는건 아닌 것 같습니다...
또 장착한 샵에 가서 이야기를 좀 해 봤는데 차고를 높히는건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하더군요...
그래서 차고는 3mm만 높히고 3/4로 다시 맞췄는데, 맨 처음 장착했을 때와 비교해서 느낌이 또 틀려지더군요. 여전히 노면의 굴곡에 맞춰 위아래로 출렁출렁(매우 빡시게^^)
일체형은 처음이라서 섵부른 판단은 못하겠지만... 스프링이 튀는걸 댐퍼가 제대로 못잡아 주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일단은.... 근데 그게 맞다면 3단,4단이면 좀 하드한 셋팅인데도 바운싱을 못잡아 준다면 뭔가 말이 좀 안되는 겉 같구요...
그래서 무쟈게 자료를 뒤져 연구했습니다..
일단 습득한 지식.
차고를 낮추면 스프링 길이가 길어진다. 반대로 높이면 스프링플레이트가 올라가서 짧아지고 ( 높이고 낮췄을때 각기 어떻게 반응을 보이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차고를 낮추면 댐핑스트로크가 짧아지고 높히면 길어진다.
다음 골프동에 비슷한 질문을 했는데 답변중 하나는
'앞뒤 감쇄력은 같이 맞추는게 좋다.. 단수는 같더라도 앞뒤 범프스피드를 맞추기 위해 실제 감쇄력은 약간 틀리다. 다르게 맞추면 오히려 언밸런스해진다'라는 이야길 들었습니다.
마지막 시도는
차고를 허용 최대치로 올리고(앞10mm 뒤20mm가 차고조절 허용치) (그래도 아마 순정보다는 상당히 낮은 상태일듯)
단수는 2/2 나 3/3으로 맞춰보려 하는데 올바른 방향일런지
조언을 구해봅니다.
다른 차종이라도 pss9를 장착하신 분 계시면 또 의견을 부탁드려요 경험담이라던가...^^
2006.07.14 01:55:36 (*.132.202.88)

지상고가 점점 낮아지면, 쇼바압도 그만큼 올라가줘야 비교적 비율이 맞습니다. 너무 통통 튀는건 가벼운 뒤쪽에 쇼바압이 너무 강해서 그럴수가 있으니, 2/4 정도 해보세요. 혹은 3/5 정도.
2006.07.14 10:02:59 (*.145.76.171)

PSS9 댐퍼압 수치체계를 몰라 어느게 쎈건지를 판단하기 어렵군요.
강성이 좋은차에 강한댐퍼킷이면, 타이어 공기압에따라 리블링(하체요동)변수가 매우심합니다. GTi가 40시리즈 타이언가요? 공기압을 30~50psi까지 다양하게 셋팅해보세요. 쇽업셋팅보다 훨씬 체감조절이 쉬울겁니다. 쇽업과 타이어의 공기압셋팅은 매우 밀접한 관계이고요..
강성이 좋은차에 강한댐퍼킷이면, 타이어 공기압에따라 리블링(하체요동)변수가 매우심합니다. GTi가 40시리즈 타이언가요? 공기압을 30~50psi까지 다양하게 셋팅해보세요. 쇽업셋팅보다 훨씬 체감조절이 쉬울겁니다. 쇽업과 타이어의 공기압셋팅은 매우 밀접한 관계이고요..
2006.07.14 10:45:20 (*.68.53.63)

저는 PSS9은 아니고 아라고스타를 씁니다만, 로워링은 1인치 정도. 오히려 다시 올리고 있지요. 감쇄력은 가장 하드한 상태에서 3단계씩 내려가며 시험하다가 소프트에 가깝게 되더군요. 단단한건 밸런스가 무너지는 한 순간에 차가 날아갈테고, 소프트해도 분명 노면을 잡고 있는 쫀득함이 잘 느껴지더군요. 생각보다 노즈다이브나 스쿼트도 충분히 적구요. 그리고 댐퍼는 앞뒤 같은 단수로 해도 실제 감쇄력은 다릅니다. 댐퍼 제작업체에서 실차 테스트를 거쳤다면 당연히 그렇게 만들겠지요.
2006.07.14 13:05:31 (*.106.6.22)

pss9 정말 좋은 쇼바입니다만 자신의 차종에 맞게 쎄팅 하는건 참 난해하죠
7대 밖에 쎄팅을 안해봐서 모라 말씀 드리긴 모하지만
첫번째 차의 무게배분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9단 조절식인데 1단 1단 쎄팅에
따라서 감쇠력이 상당히 많이 변하는 써스중에 하나죠
또한 앞 뒤 차고와 쇼바의 감쇠력도 상관 관계가 있고 본인이 주로 이용하는
도로의 노면 상태 (팔방미인이란 없기에 적정선에서의 타협이 필요하죠)
운전 스타일 얼라이먼트 값의 교정등으로 참으로 많은 쎄팅값을
구사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차종을 모르는 상황이라서 간단히 비교 말씀 드리자면 e39 의 경우에
다소 안정적으로 승차감을 고려한 쎄팅은 전 6 후 8단 이었구요
스포츠 주행을 고려한 쎄팅값은 전 4 후 6단이었습니다.
아반떼의 경우는 전 6 후 8이 스포츠 주행 및 일반주행에서 적절한듯 했구요
e39 는 차고는 눈으로 보기에 손가락 하나도 안들어갈 정도구요
아반떼는 손가락 하나 정도 들어갈 정도였습니다.
투카도 아반떼와 비슷한 쎄팅값을 보이더군요
엑쎈트의 경우는 전 손가락 하나에 7단 후 는 손가락 하나반에 8단 쎄팅했습니다.
그외 차종들도 엇비슷 했으니 참고 하세요
7대 밖에 쎄팅을 안해봐서 모라 말씀 드리긴 모하지만
첫번째 차의 무게배분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9단 조절식인데 1단 1단 쎄팅에
따라서 감쇠력이 상당히 많이 변하는 써스중에 하나죠
또한 앞 뒤 차고와 쇼바의 감쇠력도 상관 관계가 있고 본인이 주로 이용하는
도로의 노면 상태 (팔방미인이란 없기에 적정선에서의 타협이 필요하죠)
운전 스타일 얼라이먼트 값의 교정등으로 참으로 많은 쎄팅값을
구사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차종을 모르는 상황이라서 간단히 비교 말씀 드리자면 e39 의 경우에
다소 안정적으로 승차감을 고려한 쎄팅은 전 6 후 8단 이었구요
스포츠 주행을 고려한 쎄팅값은 전 4 후 6단이었습니다.
아반떼의 경우는 전 6 후 8이 스포츠 주행 및 일반주행에서 적절한듯 했구요
e39 는 차고는 눈으로 보기에 손가락 하나도 안들어갈 정도구요
아반떼는 손가락 하나 정도 들어갈 정도였습니다.
투카도 아반떼와 비슷한 쎄팅값을 보이더군요
엑쎈트의 경우는 전 손가락 하나에 7단 후 는 손가락 하나반에 8단 쎄팅했습니다.
그외 차종들도 엇비슷 했으니 참고 하세요
2006.07.14 13:50:31 (*.94.41.89)

저도 질문 드려요.
차체 무게가 프론트가 더 나갑니다 (뒷좌석 탈거/트렁크에 짐 없음)
타이어 공기압은 앞뒤 32Psi에 맞췄구요 현재 PSS9 장착에 앞뒤 동일하게 4,4로
했습니다 (한때 6,6에 맞췄으나 좀 무른감이 있더군요)
차체 중량이 프론트에 쏠려(약간)있을경우 앞,뒤 감쇠력 구분을 해야 할까요?
차체 무게가 프론트가 더 나갑니다 (뒷좌석 탈거/트렁크에 짐 없음)
타이어 공기압은 앞뒤 32Psi에 맞췄구요 현재 PSS9 장착에 앞뒤 동일하게 4,4로
했습니다 (한때 6,6에 맞췄으나 좀 무른감이 있더군요)
차체 중량이 프론트에 쏠려(약간)있을경우 앞,뒤 감쇠력 구분을 해야 할까요?
2006.07.14 18:13:26 (*.9.133.221)
저도 2년동안 PSS9만 가지고 놀고 있습니다. 차고 높이는 타이어에서 손가락 1개 반이 들어가는 높이로 앞뒤 똑같이 맞추었구요. 너무 낮추니까 러빙이 나더라구요. 감쇄력은 다 7로 놓았습니다. 실크로드에선 기뻐 소리치지만 일반 노면에선 짜증나하고 있지요. 타이어 압은 상관이 없는게 타이어는 그저 껍데기이기 때문에.. 잘 세팅하세요~ 정답은 자신만이 알고 있겠죠?
2006.07.15 03:33:16 (*.33.111.70)
조절식 서스펜션은 가라지와 리프트를 소유한 사람을 위한 장난감 같습니다. 아니면 카센타를 하는 친구라도 있던가..^^;; 1달동안 거의 5-6번을 조절을하러 들낙거리는데 좀 거시기하네요..
타이어압은 현재 40으로 맞춰졌는데 압이 바뀌면 당연히 승차감도 틀려지는건 기본 상식이죠^^ 문제는 거기까지 생각하면 가뜩이나 머리아픈데 아예 터져버릴 지도 모르겠다는거..
지상고, 스프링의 펴짐정도, 댐퍼압, 댐핑스트로크, 타이어압까지 거기다가 앞/뒤의 감쇄력까지 몽땅 고려해야하는 사태가 벌어지고있습니다.
여기서 제가 얻고 있는 결론은 제대로 된 서스셋팅은 아무나 하는게 아니라는 것과.. 메이커의 팩토리 셋팅을 결코 무시해선 안된다는 것입니다.
타이어압은 현재 40으로 맞춰졌는데 압이 바뀌면 당연히 승차감도 틀려지는건 기본 상식이죠^^ 문제는 거기까지 생각하면 가뜩이나 머리아픈데 아예 터져버릴 지도 모르겠다는거..
지상고, 스프링의 펴짐정도, 댐퍼압, 댐핑스트로크, 타이어압까지 거기다가 앞/뒤의 감쇄력까지 몽땅 고려해야하는 사태가 벌어지고있습니다.
여기서 제가 얻고 있는 결론은 제대로 된 서스셋팅은 아무나 하는게 아니라는 것과.. 메이커의 팩토리 셋팅을 결코 무시해선 안된다는 것입니다.
2006.07.15 08:47:20 (*.106.6.22)

타이어 공기압이 달라지면 접지력, 노면추종성, 승차감 모든게 바뀌게 됩니다.
실례로 각 팀에서 작성하는 로드북을 보시면 대기온 얼마일때 공기압 얼마 등등의
상세한 기록이 담겨져 있습니다. 물론 공기압의 설정에 따라서 랩타임이
달라지는건 당연한 거구요 일반적으로 공기압의 설정 기준은 상온 20도를 기준
해서 쎄팅합니다만 랩이 거듭 될수록 공기압은 상승하고 그립은 저하되지요
그래서 피트인 했을때 공기압 빼고 다시 설정합니다만 공기압과 타이어는
아주 깊은 연관이있다고 보여집니다.
실례로 각 팀에서 작성하는 로드북을 보시면 대기온 얼마일때 공기압 얼마 등등의
상세한 기록이 담겨져 있습니다. 물론 공기압의 설정에 따라서 랩타임이
달라지는건 당연한 거구요 일반적으로 공기압의 설정 기준은 상온 20도를 기준
해서 쎄팅합니다만 랩이 거듭 될수록 공기압은 상승하고 그립은 저하되지요
그래서 피트인 했을때 공기압 빼고 다시 설정합니다만 공기압과 타이어는
아주 깊은 연관이있다고 보여집니다.
2006.07.15 23:25:09 (*.127.196.133)
타이어 공기압은 스프링하질량의 공진과 관련이 깊습니다 타이어도 일종의 스프링+댐퍼 입니다 일반적으로 잔진동이 심한구간에서 진동관련 문제가 발생하구요 타이어의 변형에도 관계되며 스포츠드라이빙에 중요한 접지면 압력분포에 민감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댐핑압력은 critical damping(임계댐핑)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임계댐핑은 오버슈트가 일어나지 않으면서 최단시간에 타겟까지 갈수있는 댐핑력입니다 쉽게 스프링과 댐퍼가 장착된 문... 열면 자동으로 닫히는... 문이 한번도 왔다리 갔다리 하지않고 한번에 제위치에 멈추게 할수있는... 그런 댐핑력을 말합니다) 보통 댐핑력은 이 임계댐핑력의 20~40% 입니다 물론 40%쪽이 스포티한 차량세팅이겠지요 식으로 나타내면.... 루트(4XK[스프링강성]XM[각휠에 부가되는 무게])X(20~40)% 이렇게 됩니다
2006.07.15 23:31:48 (*.127.196.133)
일반적으로 스프링이 강해지면 자동으로 댐핑력도 강해지게 되어있습니다 (댐핑력 계산 공식을 고려하더라도...) 요즘은 최적화프로그램이 널려있다보니... 엔지니어로서는 상당히 편해졌고 분석과 이해가 쉬워지고 있지만 아직도 해석하고 고려해야할 변수가 있는것이 서스펜션입니다(아직도 밝혀내야할것이 남아있는...) 제가 전공을 고려할때 이것 때문에 엔진에서 여기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남들이 어떻게 세팅했느냐? 하는 노하우를 빼내기 위해 노력하다가... 결국 그 남이란 분들역시 그게 제일 좋더라... 근데 그 값이 왜 좋은지는 아직 확실한 물증이 없다... 실제로 테스트해봤더니 그렇더라... 는게 아직 남아있기에... 매력적인 곳입니다... ^^
2006.07.15 23:36:59 (*.127.196.133)
저도 PSS9을 지르려고 눈이 뻘개지도록 중고시장을 뒤지고 있는데... 윤명근님처럼 길을 먼저가신 분이 계시니... 세팅이 쉬워지겠습니다 ^^ 케케... ^^ 에고... 저번주일 내내 부산에 있다가 올라왔더니... 글이 그새 많이 올라왔네요 ^^
2006.07.16 01:01:33 (*.145.76.171)

이동섭님이 잘 설명해 주셨군요.
위에 제 리플에서 타이어공기압을 조절해보시라는 말씀은.. 댐퍼압과 차고를 조절하며 마음에 쏙드는 셋팅을 정확히 찾기어려울땐, 근사치에 가까운 셋팅상태에서 타이어공기압을 빼거나 늘리면, 좀더 마음에 드는 퍼포먼스를 얻을 수 있다는 말씀입니다.
위에 제 리플에서 타이어공기압을 조절해보시라는 말씀은.. 댐퍼압과 차고를 조절하며 마음에 쏙드는 셋팅을 정확히 찾기어려울땐, 근사치에 가까운 셋팅상태에서 타이어공기압을 빼거나 늘리면, 좀더 마음에 드는 퍼포먼스를 얻을 수 있다는 말씀입니다.
2006.07.16 09:58:32 (*.33.111.70)
1차적으로 저의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장착한 곳에서 조수석 뒷바퀴쪽 스프링을 거꾸로 장착했었고, 좌/우 차고 셋팅도 눈에 보일만큼 차이가 나게 되어있더군요.
아놔..... 당황시러워서 이거..누구나 실수는 할 수 있기에 그냥 넘어갔습니다만.....
기본적 문제를 해결하고나니 차가 밸런스가 맞고 완전 180도 틀려지더군요 주행감이...
핸들링 자체가 완전히 틀려졌고, 차를 잘 모르는 사람이 옆에 타고서도 '이제야 차다워 졌다'라고 하니 말 다 했죠.
여러가지 조언들 감사드리며,,,,
서스셋팅을 좀 더 해보고 그다음엔 공기압 조절을 시도 해 보겠습니다.^^
장착한 곳에서 조수석 뒷바퀴쪽 스프링을 거꾸로 장착했었고, 좌/우 차고 셋팅도 눈에 보일만큼 차이가 나게 되어있더군요.
아놔..... 당황시러워서 이거..누구나 실수는 할 수 있기에 그냥 넘어갔습니다만.....
기본적 문제를 해결하고나니 차가 밸런스가 맞고 완전 180도 틀려지더군요 주행감이...
핸들링 자체가 완전히 틀려졌고, 차를 잘 모르는 사람이 옆에 타고서도 '이제야 차다워 졌다'라고 하니 말 다 했죠.
여러가지 조언들 감사드리며,,,,
서스셋팅을 좀 더 해보고 그다음엔 공기압 조절을 시도 해 보겠습니다.^^
2006.07.16 14:44:26 (*.145.76.171)

축하드립니다..
마음에 드는 써스펜션은, 일부지만..전부이기도 하지요. ^ㅡㅡㅡ^
이재성님 애마사진을 첨부하셨군요.
진짜로 타이어가 껍데기 뿐이네요.ㅎㅎ
마음에 드는 써스펜션은, 일부지만..전부이기도 하지요. ^ㅡㅡㅡ^
이재성님 애마사진을 첨부하셨군요.
진짜로 타이어가 껍데기 뿐이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