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후배가 투스카니 2.0 오토를 탑니다.
터보를 튜닝하고 휠 마력을 재 봤다고 하는데..
최고 마력에 도달 하였다가 오토밋션이 열받으면 마력이 꼐속 떨어진다고 하네요..
그리고 현대 5단 자동 이 밋션에서 없어지는 마력이 많다고 하네요..
수입차에 비하여...
이 내용이 사실 인가요?
지나다가 들은 이야기 인데 갑자기 정확히 알고 싶어서...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2006.07.19 수정
수정,보충 내용 - 5단자동은 투카가 아닌 nf,tg 이야기임.
질문 요지 - 현대차 자동 미션의 차량이 엔진마력 대비 휠 마력이 외제차에
비해 떨어진다는 소문이 있는데 정말 그런가요?
터보를 튜닝하고 휠 마력을 재 봤다고 하는데..
최고 마력에 도달 하였다가 오토밋션이 열받으면 마력이 꼐속 떨어진다고 하네요..
그리고 현대 5단 자동 이 밋션에서 없어지는 마력이 많다고 하네요..
수입차에 비하여...
이 내용이 사실 인가요?
지나다가 들은 이야기 인데 갑자기 정확히 알고 싶어서...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2006.07.19 수정
수정,보충 내용 - 5단자동은 투카가 아닌 nf,tg 이야기임.
질문 요지 - 현대차 자동 미션의 차량이 엔진마력 대비 휠 마력이 외제차에
비해 떨어진다는 소문이 있는데 정말 그런가요?
2006.07.18 15:03:51 (*.76.7.194)

수입차라면 벤츠의 7단변속기나 폭스바겐의 DSG M3의 SMG와 비교한다면
비교대상이 되지않는다고 생각됩니다.
현대가 3.5 배기량 투스카니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미션도 거기에 맞게 투자를 해서 만들었을겁니다. 현대 미션이 좋지 않거나 기술력이 딸려서 만들지 못한건 아니라고 생각이 드네요 ^^;
비교대상이 되지않는다고 생각됩니다.
현대가 3.5 배기량 투스카니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미션도 거기에 맞게 투자를 해서 만들었을겁니다. 현대 미션이 좋지 않거나 기술력이 딸려서 만들지 못한건 아니라고 생각이 드네요 ^^;
2006.07.18 15:40:51 (*.74.253.23)

토크컨버터가 견디질 못해서 그럴겁니다.
국x에서는 그런 연유로 미국서 토크컨버터를
수입해서 달아주고 있더군요.
한계치가 올라가긴 한다는데
그래도 .6 바 이상으론 무리라고 하더군요.
국내에서 오토미션 튠은 종감속비 말고는 할게 없더군요 ㅠ.ㅠ
아 저도 할 수만 있다면 수동 몰고 싶습니다 ㅠ.ㅠ
국x에서는 그런 연유로 미국서 토크컨버터를
수입해서 달아주고 있더군요.
한계치가 올라가긴 한다는데
그래도 .6 바 이상으론 무리라고 하더군요.
국내에서 오토미션 튠은 종감속비 말고는 할게 없더군요 ㅠ.ㅠ
아 저도 할 수만 있다면 수동 몰고 싶습니다 ㅠ.ㅠ
2006.07.18 19:28:06 (*.56.123.55)

현대에는 5단자동이 2.0급에는 달리지 않는데요? 투스카니는 자동 4단이고.. TG와 SM7만 비교해도 현대 5단자동이 SM7에 비해 마력을 더 잡아먹는 느낌상으로도 그렇고 휠마력으로도 그런 것 같습니다.
2006.07.18 23:52:03 (*.176.145.42)

NF 등장하면서 오토미션에서 손실되는 동력성능이 일본차 급 정도로 올라갔다고 들었습니다만, 고수님들이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아시겠죠.
2006.07.19 12:20:55 (*.56.123.55)

TG 3.3과 SM7 3.5면 일본차와 한국차의 비교라고 할 수 있는데 킥다운 후 4000rpm 이상의 가속감은 TG나 SM7이나 별반 차이가 없었습니다. 실측치로도 그렇고...
그러나 일반 D레인지에서 킥다운하지 않고 실용영역에서의 partial throttle에서는 가속력이 SM7이 훨씬 나은 듯. TG에서 실망한 것이 대배기량에 어울리지 않는 저회전반응이었습니다.
그러나 일반 D레인지에서 킥다운하지 않고 실용영역에서의 partial throttle에서는 가속력이 SM7이 훨씬 나은 듯. TG에서 실망한 것이 대배기량에 어울리지 않는 저회전반응이었습니다.
2006.07.19 14:12:46 (*.74.230.252)

미션오일의 온도가 올라가면 점도가 낮아지고, 그 결과 동력전달력이 더 떨어지겠죠.
이렇게 유체토크컨버터가 있는 모든 오토미션은 까먹는 힘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현대의 오토미션이 일본차에 비해 더 많이 까먹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글쎄요... 비슷할것같은데요?
이렇게 유체토크컨버터가 있는 모든 오토미션은 까먹는 힘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현대의 오토미션이 일본차에 비해 더 많이 까먹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글쎄요... 비슷할것같은데요?
2006.07.19 14:55:55 (*.237.81.167)

배지운님, partial 에서의 저회전 반응이 미션쪽이였나요? 아니면 엔진 특성이였나요 ^^?
어쨋든 tg 3.3 이라 하더라도 SM7 3.5 보다는 배기량이 적은 것인데...
어쨋든 tg 3.3 이라 하더라도 SM7 3.5 보다는 배기량이 적은 것인데...
2006.07.19 19:40:54 (*.149.56.132)

TG와 SM7의 반응차이는 비단 파워택과 아이신의
기술력때문은아닌것 같습니다..
TG는 승차감을 위한 세팅이고 SM7은 약간의 스포트성 세팅인데요..
SM7의 경우에는 실용영역 단수인 2단과 3단 기어비가 좀 짧습니다
그래서 2,3단 반응이 좋죠..
0-400 실측결과는..
그놈이 그놈입니다.. 쿠쿠..
기술력때문은아닌것 같습니다..
TG는 승차감을 위한 세팅이고 SM7은 약간의 스포트성 세팅인데요..
SM7의 경우에는 실용영역 단수인 2단과 3단 기어비가 좀 짧습니다
그래서 2,3단 반응이 좋죠..
0-400 실측결과는..
그놈이 그놈입니다.. 쿠쿠..
2006.07.19 20:17:32 (*.254.41.7)

한계 마진이 낮을뿐 동력 손실은 비슷합니다. sm7의 저회전 반응은 배기쪽 영향이 아닌가 싶습니다. 배기라인 배압이 크게 세팅된거 같더군요.
2006.07.19 23:24:16 (*.91.9.250)

전체적으로 기어비가 SM7이 10% 정도 기어비가 높습니다. 그래서 80-120 가속측정을 해보면 같은 3단으로 하면 SM7이 더 빠르고 TG로 2단으로 시작해서 3단 넣고 끝내도 SM7이 3단 고정으로 한 것보다 아주 약간 빠릅니다.
그리고 partial throttle시 반응은 엔진자체의 저회전토크는 그리 나쁘지 않은데 미션에서 까먹는 느낌입니다. 즉 2.7이나 3.3이나 저회전 반응이 비슷한데 토크컨버터에서 손실이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TG가 배기량은 200cc 작아도 최고출력은 16마력 높고 최대토크는 겨우 1kgm 작기 때문에 동력성능의 차이로 보긴 어려울 듯... 반면에 SM7은 2.3과 3.5과 저속에서도 반응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그리고 partial throttle시 반응은 엔진자체의 저회전토크는 그리 나쁘지 않은데 미션에서 까먹는 느낌입니다. 즉 2.7이나 3.3이나 저회전 반응이 비슷한데 토크컨버터에서 손실이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TG가 배기량은 200cc 작아도 최고출력은 16마력 높고 최대토크는 겨우 1kgm 작기 때문에 동력성능의 차이로 보긴 어려울 듯... 반면에 SM7은 2.3과 3.5과 저속에서도 반응이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2006.07.21 20:46:07 (*.64.204.133)
다이노젯 출력 테스트를 참고로 했을땐 수동 대비 오토미션의 출력 손실은 어느 메이커던 거의 비슷 비슷합니다. 해외 사이트에서 볼수 있는 현대차의 다이노젯 수치는 그나마 투스카니의 데이타가 가장 많은편인데 오토뿐 아니라 수동 역시 어느 유럽 일본 메이커와 비교해서 특별히 적게 나오질 않더군요.
2006.07.21 20:52:33 (*.64.204.133)
sm35의 출력은 표기상의 오루거나 방법의 차이지 싶습니다. 실제로 국내에서 조사된 sm7 3.5의 다이노젯 휠마력 수치는 미국에서 팔리는 240~250마력 닛산 알티마와 별 차이 없는 동일한 출력이 검출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 sm7 계열의 다이노젯 수치를 보면 중 저속 구간에서의 토크가 상당히 높게 나오더군요. tg 의 그래프와는 차이가 있는것으로 추측해 보면 미션 손실이라기 보단 아마 일본 메이커중 가장 먼저 vvt 기술을 상용화한 메이커 답게 vvt를 잘 응용한 효과가 아닐까 싶네요.
2006.07.21 20:54:23 (*.64.204.133)
단 내구성이던 출력이던 한계 마진이 넉넉하질 않은 구 현대차량들의 특성상 튠 이후의 내구성이나 출력손실은 조금 의심스럽긴 합니다^^
당연히 한계가 낮을수 밖에 없죠
그리고 토크 컨버터 기반의 수입차 5단변속기와 비교했을때도 엔진마력 잡아먹는건
마찬가지입니다. 2.0 배기량 성능기준으로 나온 변속기라면요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오토미션강화 튠 없이는 터보차에는 무리가 가는건 사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