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길들이기도 끝났고 2% 부족했던 핸들링도 써스를 해서 아주 만족 하고
매일(출퇴근) 타는 짧은 와인딩에서 처음 으로 어택도 해보았습니다.
풀 브레이킹시 (타이어가 살짝 잠길 정도)에서 차가 요동을 치는데 좀 당황 했습니다.
3번의 브레이킹중 2번 이런 현상을 겪었고 처음에 많이 놀랐고 두번째는
조금 맘의 준비를 해서 크게 놀라지는 않았습니다 만은
타이어는 잡혀 있는데 차체만 따로 노는 느낌인거 같기도 하고 뒷타야들이 접지를
잃어버리는 듯 하기도 하고 아무튼 이게 정상 인지 궁금합니다.
자료를 찾아 보니 비슷한 내용이 많은 것 같아 제차 만의 문제는아닌 듯 싶고
여기 마스터님도 태백 서킷 주행기에서 잠깐 언급 하신 걸로 기억도 하고..
참고로 현재 4000 km 운행 이며 초기 3000 km 까지는 나름대로 길들이기 했습니다.
써스 내역은 조금 설명을 곁들이면
1. H&R 스포츠 스프링 + 빌스타인 스포츠 (B6)
2. H&R 스포츠 스프링 + 빌스타인 스프린트 (B8)
3. H&R 레이스 스프링 + 빌스타인 스프린트 (B8)
4. 빌스타인 파워킷 (B10)
5. 빌스타인 튜닝킷 (B12)
개인적으로 일체형은 선호하지 않은 관계로 pss (B14)와 pss9 (B16) 모델은 처음부터
고민 대상에선 제외 였습니다.
빌스 종발이 중에선 가장 스트록도 짧고 하드한 놈인 "스프린트" (B8)모델을
예전 애마에서 너무 마음에 들어 했던 터라 2 번과 3번 중에 고민 하던 중에
결국 5번 "튜닝킷" 을 선택 장착 했습니다. 위 4번과 5번은 빌스타인에서 스프링 까지
셋트로 만들어 파는 모델인데 설계야 지들이 했겠지만 H&R 아니면 아이박에 생산은
맡기지 않았을까 싶은데 어디까지 제 생각이구요 ^^
5번이 바로 제가 좋아 하는 "스프린트" 와 빌스에서 제작한 스프링 셋트인데
노란색 댐퍼에 “뉘르” 지도가 프린팅 되어 있습니다.
빌스타인에서 “뉘르”에서 직접 테스트 마친 제품이라는 내용과 함께 ( ㅎㅎ보는 순간 괜히 뿌듯 하면서 믿음이…. 자슥들 마케팅 잘하죠? ^^)
질문에서 갑자기 써스 소개로 엉뚱하게 흐르는 군요.
아무튼 써스 튠 하면 브레이킹시 자체가 흔들리는 현상이 많이 감소 되리라는
마스터님의 의견도 있고 해서 내심 기대가 컷었는데 꽤 걱정이 되는군요.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 고수 분들의 의견 부탁 드립니다.
PS : 5세대 GTI의 브레이킹 느낌은 순정 치고는 훌륭하다는 평을 하고 싶습니다.
코너 진입에서 의도한 브레이킹에서는 진득하게 운전자가 하는 만큼 끈기 있게 끝까지 반응 하고 위급하게 갑자기 브레이킹 한적이 한번 있었는데 바로 타야가 울면서 잠겨 버릴만큼 빠르게 반응도 하는 것 같습니다.
매일(출퇴근) 타는 짧은 와인딩에서 처음 으로 어택도 해보았습니다.
풀 브레이킹시 (타이어가 살짝 잠길 정도)에서 차가 요동을 치는데 좀 당황 했습니다.
3번의 브레이킹중 2번 이런 현상을 겪었고 처음에 많이 놀랐고 두번째는
조금 맘의 준비를 해서 크게 놀라지는 않았습니다 만은
타이어는 잡혀 있는데 차체만 따로 노는 느낌인거 같기도 하고 뒷타야들이 접지를
잃어버리는 듯 하기도 하고 아무튼 이게 정상 인지 궁금합니다.
자료를 찾아 보니 비슷한 내용이 많은 것 같아 제차 만의 문제는아닌 듯 싶고
여기 마스터님도 태백 서킷 주행기에서 잠깐 언급 하신 걸로 기억도 하고..
참고로 현재 4000 km 운행 이며 초기 3000 km 까지는 나름대로 길들이기 했습니다.
써스 내역은 조금 설명을 곁들이면
1. H&R 스포츠 스프링 + 빌스타인 스포츠 (B6)
2. H&R 스포츠 스프링 + 빌스타인 스프린트 (B8)
3. H&R 레이스 스프링 + 빌스타인 스프린트 (B8)
4. 빌스타인 파워킷 (B10)
5. 빌스타인 튜닝킷 (B12)
개인적으로 일체형은 선호하지 않은 관계로 pss (B14)와 pss9 (B16) 모델은 처음부터
고민 대상에선 제외 였습니다.
빌스 종발이 중에선 가장 스트록도 짧고 하드한 놈인 "스프린트" (B8)모델을
예전 애마에서 너무 마음에 들어 했던 터라 2 번과 3번 중에 고민 하던 중에
결국 5번 "튜닝킷" 을 선택 장착 했습니다. 위 4번과 5번은 빌스타인에서 스프링 까지
셋트로 만들어 파는 모델인데 설계야 지들이 했겠지만 H&R 아니면 아이박에 생산은
맡기지 않았을까 싶은데 어디까지 제 생각이구요 ^^
5번이 바로 제가 좋아 하는 "스프린트" 와 빌스에서 제작한 스프링 셋트인데
노란색 댐퍼에 “뉘르” 지도가 프린팅 되어 있습니다.
빌스타인에서 “뉘르”에서 직접 테스트 마친 제품이라는 내용과 함께 ( ㅎㅎ보는 순간 괜히 뿌듯 하면서 믿음이…. 자슥들 마케팅 잘하죠? ^^)
질문에서 갑자기 써스 소개로 엉뚱하게 흐르는 군요.
아무튼 써스 튠 하면 브레이킹시 자체가 흔들리는 현상이 많이 감소 되리라는
마스터님의 의견도 있고 해서 내심 기대가 컷었는데 꽤 걱정이 되는군요.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해 고수 분들의 의견 부탁 드립니다.
PS : 5세대 GTI의 브레이킹 느낌은 순정 치고는 훌륭하다는 평을 하고 싶습니다.
코너 진입에서 의도한 브레이킹에서는 진득하게 운전자가 하는 만큼 끈기 있게 끝까지 반응 하고 위급하게 갑자기 브레이킹 한적이 한번 있었는데 바로 타야가 울면서 잠겨 버릴만큼 빠르게 반응도 하는 것 같습니다.
2006.07.20 16:14:17 (*.68.16.174)

FF차량은 전륜에 하중이 몰려있기 때문에 풀브레이킹시 후륜 타이어가 그립을 잃으면서 꼬리가 요동치는 피쉬테일 현상이 태생적으로 일어납니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지요. 다만 희철님께서 생각하신대로 댐퍼와 스프링을 바꾸면 분명히 줄어듭니다. 브레이킹시 다이브 현상이 줄어들면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네요.
2006.07.20 16:17:22 (*.68.16.174)

엘란의 경우엔 전륜에 몰린 하중, 너무 가벼운 후륜, 극히 짧은 휠베이스라는 삼박자의 하모니로 피쉬테일이 심했는데 기아 측의 브레이크 업그레이드 캠페인으로 상당히 줄었구요. 아라고스타 코일오버로 바꾸니 또 한번 줄더군요. ^.^
2006.07.20 17:00:23 (*.235.18.163)
경모님의 의견 감사 하구요 ^^ FF차량의 태생적 현상이라는 의견에 공감 합니다만 제가 그동안 겪어 보았던 FF 차량들보다 느낌이 많이 큰거 같아서 여쭤 봅니다.
2006.07.21 00:55:01 (*.68.53.63)

제가 MK5 GTI를 그리 오래 몰아보지 않아서 모르겠습니다만, 다른 차의 경우에도 풀브레이킹을 해보시면 비슷하지 않을까 싶네요. 감히 GTI가 동종 차량보다 심할리 없을 것 같습니다. ^^ 타보니 아주 쫀득하고 궁둥이가 바닥에 딱 붙어있는게 괜찮았는데요^^
2006.07.21 03:14:28 (*.145.76.171)

1) ABS 충격같지는 않던가요?
와인딩에서 조져보니, ABS 개입시기가 좀 이르게 느껴집디다.
2) 하체 로워링 하셨다면, 얼라인먼트는 점검하셨는지요.. 얼라인이 불안정하면 깊은 브레이킹 시 답력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3) 노말 브레잌 패드의 경우, 페이드가 꽤 빨리옴을 느꼈습니다. 연기도 심하게 나고.. 열에 의한 저더(로터휨)현상일수도 있으니..위의 두항목을 먼저 확인하시고, AS에 함 들어가보시길 권합니다.
와인딩에서 조져보니, ABS 개입시기가 좀 이르게 느껴집디다.
2) 하체 로워링 하셨다면, 얼라인먼트는 점검하셨는지요.. 얼라인이 불안정하면 깊은 브레이킹 시 답력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3) 노말 브레잌 패드의 경우, 페이드가 꽤 빨리옴을 느꼈습니다. 연기도 심하게 나고.. 열에 의한 저더(로터휨)현상일수도 있으니..위의 두항목을 먼저 확인하시고, AS에 함 들어가보시길 권합니다.
2006.07.22 01:10:16 (*.130.96.24)

노면이 고르지 못하면 말씀하신 현상은 좀 더 심하게 과장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편평비가 낮은 타이어가 노면을 급브레이킹 중 읽는 현상 때문에 그렇게 느껴지는 것인데, 근본적으로 하체가 낮아지고 단단해지면 하중이동량이 적어 언급하신 현상은 줄어듭니다.
평균적으로 5세대 GTI는 왠만한 다른 전륜구동형 차들에 비해서 말씀하신 현상의 심각성은 객관적으로 크지 않다고 봅니다.
17인치 이상의 휠을 사용하는 전륜구동 스포츠 모델이 한계제동에서 후륜이 민감하게 느껴지는 것은 전륜이라는 구조적으로 어느정도 받아들이셔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편평비가 낮은 타이어가 노면을 급브레이킹 중 읽는 현상 때문에 그렇게 느껴지는 것인데, 근본적으로 하체가 낮아지고 단단해지면 하중이동량이 적어 언급하신 현상은 줄어듭니다.
평균적으로 5세대 GTI는 왠만한 다른 전륜구동형 차들에 비해서 말씀하신 현상의 심각성은 객관적으로 크지 않다고 봅니다.
17인치 이상의 휠을 사용하는 전륜구동 스포츠 모델이 한계제동에서 후륜이 민감하게 느껴지는 것은 전륜이라는 구조적으로 어느정도 받아들이셔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2006.07.22 17:50:08 (*.51.243.176)
여러 고수님들의 의견 감사 합니다. 우선 이익렬님 1. abs충격은 아니구요, 예전 차 보다 휠씬 부드럽게 동작하구요, 2. 얼라이먼트는 잘 보았고 느낌도 괜찮습니다. 노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더 심하게 느낀 것은 동감 입니다. 예전 차가 더 가볍고 출력도 작고 브레이크가 더 약해서 상대적으로 더 심하게 느낄수도 있을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만 옆에서 GTI를 바라 보면 특히 뒤쪽의 오버행이 너무 짧고 뒤가 거의 없다시피 생긴 구조도 한 몫 할꺼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좀 더 타보면서 적응을 하던지 타야 공기압도 한번 체크 해 볼 작정 입니다. 이번 주말은 날씨가 좋네요. ^^ 다들 의견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