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어제 두번이나 약간의 내리막에서 후진기어를 넣고 후진하려는 순간(이때 악셀을 밟지않은 상태)차가 앞으로 흘러내려갑니다.
처음에는 정말 벽에 부딛칠뻔 했습니다.
두번째는 흐러내리는 현상을 체크할려고 차없는 곳에서 테스트 해보았습니다만 후진기어 넣고 악셀을 밟지 않으니 차가 계속 앞으로 흘러내려갑니다. 쭉~~
다른 VW 오너님은 어떠신지요? DSG 미션만 그런가요?
처음에는 정말 벽에 부딛칠뻔 했습니다.
두번째는 흐러내리는 현상을 체크할려고 차없는 곳에서 테스트 해보았습니다만 후진기어 넣고 악셀을 밟지 않으니 차가 계속 앞으로 흘러내려갑니다. 쭉~~
다른 VW 오너님은 어떠신지요? DSG 미션만 그런가요?
2006.08.03 09:07:44 (*.86.151.207)

혹시 악셀에 발을 조금이라도 대고계셨는지요? 브레이크에서 발을 띠고 아무것도 안밟은채(발도 안올려놓은채) 가만히 놓아두면 저절로 크립핑이 생기는것같던데요. 밀리긴 밀립니다. 50센치정도 그이후에는 안밀리더군요. 하지만 브레이크를 아주 약간이라도 밟고 있거나, 엑셀을 아주 약간이라도 밟고 있으면 계속 미끄러져 내려가는것 같았습니다.
2006.08.03 11:02:55 (*.217.7.230)

DSG의 특성인가요? 아니면 결함인가요?
비슷한 자동형 수동변속기 (SMG같은..)들도 이런 특성을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비슷한 자동형 수동변속기 (SMG같은..)들도 이런 특성을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2006.08.03 11:54:42 (*.235.18.163)
DSG는 현재 기어가 1단이든 후진이든 완전히 정차 되어 있으면 중립 상태로 변환 시켜 버리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언덕에서 밀리는 현상이 있는 거죠. 이 말은 곧 신호대기시에 굳이 N으로 옮기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위 정하중님의 말씀대로 50cm 이후에는 다시 기어가 연결된다고 알고 있습니다만은 0.5 m가 짧지 않은 거리 일수도 있으므로 왼발 브레이크나 사이드 브레이크 아니면 오른발의 빠른 이동과 부드러운 엑셀링을 추천 합니다. ^^
2006.08.03 13:52:53 (*.217.145.155)

희철님의 말씀에 공감을 합니다. 그런데 이dsg가 좀 희안한게 왼발브레이킹을 하고 엑셀을 밟으면 어느순간 동력이 끊어져버리는 현상이 생깁니다. 오르막에서 왼발브레이킹을 하고 엑셀을 조금씩 조금씩밟아서 앞으로 두세번 전진하다보면 동력이 미션에서 갑자기 끊어져서 뒤로 확~ 하고 밀립니다. 결함인지 원래 그런설계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사이드브레이크사용이 가장 좋은 방법같습니다. (아니면 번개같은 오른발 엑셀링^^)
2006.08.03 21:24:04 (*.102.239.2)

SMG 미션의 경우 수동이라보시면됩니다.
오르막에서는 수동과같이 순간밀립니다.
대신 e-46M3 SMG2 에는 이런 오르막길에서 안밀리고 출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DSG 설명은 다른분께 pass
오르막에서는 수동과같이 순간밀립니다.
대신 e-46M3 SMG2 에는 이런 오르막길에서 안밀리고 출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DSG 설명은 다른분께 pass
2006.08.03 23:10:02 (*.212.142.228)

내리막길에서 뒤로 후진하려고 R에 기어 넣고 엑셀을 밟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계속해서 차가 앞으로 흘러내려가 버립니다. 이제 후진할 때는 사이드를 땡겨놓고 풀며서 엑셀을 밟습니다. 차가 앞으로 흘러내려갈까봐 조마조마 해서리...
원래 DSG 미션이 그런건지요?
원래 DSG 미션이 그런건지요?
2006.08.04 10:52:44 (*.144.184.100)

임성근입니다.
우선 DSG 의 밀림 현상을 이해 하시려면 미션의 구조를 먼저 이해
하셔야 합니다. DSG는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는 토크 컨버터와 유성기어
세트를 이용한 AT와는 완전히 다른 구조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수동 변속기와 동일한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 여기서 그럼 변속레버와 클러치 페달의 존재 유/무의 차이가
발생하는데요 흔히 수동 변속기는 클러치를 밝고 손으로 직접
변속 레버를 조정하지만.. DSG는 액츄에이터가 클러치를 작동
시키고 그 타이밍에 역시 TM 변속 레버를 액츄에이터가
변속을 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다운 시프트시 엑셀링 보정 등등
수많은 제어가 이루어 집니다.)
신호대기시 D 혹은 R 레인지에서 브레이크를 밝고 있을때
일반 AT 는 토크 컨버터를 통해 항상 타이어로 구동력이 전달이
됩니다. 단 브레이크로 휠을 잡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에서 발만
띠어도 차에 구동력이 전달 되는겁니다.
하지만 DSG는 D 혹은 R 레인지에서 브레이크를 밝고 있으면
구동력이 전달 되지 않습니다. 수동변속기에서 1 혹은 R 단 넣고
클러치 밝고 있는 상태와 동일합니다.
여기서 유저가 브레이크에서 발을 띠고 출발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순간 DGS 의 듀얼 클러치 시스템이 자동으로 적당한 반클러치를
상태를 유지 하려고 제어를 하게 되죠
(일반 오토 처럼 D 혹은 R에서도 항상 토크 컨버터 처럼 동력을
전달하려 한다면 아마 금세 클러치가 다이 해버릴겁니다.
- 수동 변속기 클러치 계속 슬립 시키기 동일현상)
이런 DSG의 특성때문에 언덕길에서 브레이킹으로 서있다가
출발하려고 엑셀을 ON 하기 전까지 차량의 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겁니다.
(언덕길에서 수동변속기 차량도 출발시 잠시 뒤로 밀렸다가 다시
올라가죠 물론 유저의 스킬에 따라 밀림양도 현저히 차이가 나죠...)
DSG차량의 언덜 출발 방법은 출발 직전 엔발브레이킹과 오른발
엑셀링의 중복을 잠깐 만든후 브레이킹 해제의 방법을 사용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DSG차량의 평지에서 클리핑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
차체가 대단한 클러치 제어 기술입니다 미션이 항상 반클러치 현상을
제어 할수 있단 얘기가 되니까요...^^;)
우선 DSG 의 밀림 현상을 이해 하시려면 미션의 구조를 먼저 이해
하셔야 합니다. DSG는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는 토크 컨버터와 유성기어
세트를 이용한 AT와는 완전히 다른 구조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수동 변속기와 동일한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 여기서 그럼 변속레버와 클러치 페달의 존재 유/무의 차이가
발생하는데요 흔히 수동 변속기는 클러치를 밝고 손으로 직접
변속 레버를 조정하지만.. DSG는 액츄에이터가 클러치를 작동
시키고 그 타이밍에 역시 TM 변속 레버를 액츄에이터가
변속을 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다운 시프트시 엑셀링 보정 등등
수많은 제어가 이루어 집니다.)
신호대기시 D 혹은 R 레인지에서 브레이크를 밝고 있을때
일반 AT 는 토크 컨버터를 통해 항상 타이어로 구동력이 전달이
됩니다. 단 브레이크로 휠을 잡고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에서 발만
띠어도 차에 구동력이 전달 되는겁니다.
하지만 DSG는 D 혹은 R 레인지에서 브레이크를 밝고 있으면
구동력이 전달 되지 않습니다. 수동변속기에서 1 혹은 R 단 넣고
클러치 밝고 있는 상태와 동일합니다.
여기서 유저가 브레이크에서 발을 띠고 출발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순간 DGS 의 듀얼 클러치 시스템이 자동으로 적당한 반클러치를
상태를 유지 하려고 제어를 하게 되죠
(일반 오토 처럼 D 혹은 R에서도 항상 토크 컨버터 처럼 동력을
전달하려 한다면 아마 금세 클러치가 다이 해버릴겁니다.
- 수동 변속기 클러치 계속 슬립 시키기 동일현상)
이런 DSG의 특성때문에 언덕길에서 브레이킹으로 서있다가
출발하려고 엑셀을 ON 하기 전까지 차량의 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겁니다.
(언덕길에서 수동변속기 차량도 출발시 잠시 뒤로 밀렸다가 다시
올라가죠 물론 유저의 스킬에 따라 밀림양도 현저히 차이가 나죠...)
DSG차량의 언덜 출발 방법은 출발 직전 엔발브레이킹과 오른발
엑셀링의 중복을 잠깐 만든후 브레이킹 해제의 방법을 사용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DSG차량의 평지에서 클리핑 현상이 존재한다는 것
차체가 대단한 클러치 제어 기술입니다 미션이 항상 반클러치 현상을
제어 할수 있단 얘기가 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