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가입한 베르나 1.6가솔린 오너입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합성유에 대한 질문인데요...
18000킬를 주행하는 지금까지 엔진오일갈때가 되면
그린서비스가서 27000원 주고 광유로 교환했습니다.
교환할때마다 약간 부드러워진 느낌에 나름대로 만족하였고
합성유에대한 별다른 필요를 못느꼇습니다. 더군다나
알바해서 기름값대기도 벅찬데 재정상의 문제도 광유를 선택하게
하나 원인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번에 큰맘먹고 합성유로 교환해볼까 합니다.
출고당시보다 확실히 커진 엔진소음과
4~5000rpm을 가끔 쓰는 운전습관을 생각해보니
합성유가 생각나더군요...제가 궁금한것은
합성유의 선택이라기 보다는 광유와 합성유의 차이가
과연 눈에 띨만큼 인가 하는 것입니다.
또한 차이가 있다면 그것이 성능(가속이나 최고속)에도
차이가 있는지 연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직접 경험을
갖고계신 자동차 선배님들께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합성유에 대한 질문인데요...
18000킬를 주행하는 지금까지 엔진오일갈때가 되면
그린서비스가서 27000원 주고 광유로 교환했습니다.
교환할때마다 약간 부드러워진 느낌에 나름대로 만족하였고
합성유에대한 별다른 필요를 못느꼇습니다. 더군다나
알바해서 기름값대기도 벅찬데 재정상의 문제도 광유를 선택하게
하나 원인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번에 큰맘먹고 합성유로 교환해볼까 합니다.
출고당시보다 확실히 커진 엔진소음과
4~5000rpm을 가끔 쓰는 운전습관을 생각해보니
합성유가 생각나더군요...제가 궁금한것은
합성유의 선택이라기 보다는 광유와 합성유의 차이가
과연 눈에 띨만큼 인가 하는 것입니다.
또한 차이가 있다면 그것이 성능(가속이나 최고속)에도
차이가 있는지 연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직접 경험을
갖고계신 자동차 선배님들께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2006.08.30 11:06:11 (*.37.116.204)

그렇게 가혹한 주행을 하지 않으시는 편이라면 합성유로 교환주기를 조금 길게 잡으셔도 될듯 합니다. 광유 2회 갈 타이밍에 합성유 1회 교환하면 비용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물론 엔진오일 체크를 통해 교환시기를 확인 하셔야겠지요. ^^
2006.08.30 11:52:58 (*.98.112.222)
엔진이 순정상태이고 초고속 주행이나 고RPM을 사용하는 경우가 적다면 굳이 고가의 합성유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엔진오일에 따라서 토크밴드가 이동하고 RPM 보상이 이루어지나요?
단순히 회전질감에서 오는 차이를 저렇게 표현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런데 엔진오일에 따라서 토크밴드가 이동하고 RPM 보상이 이루어지나요?
단순히 회전질감에서 오는 차이를 저렇게 표현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2006.08.30 13:53:08 (*.56.123.55)

합성유와 광유의 차이는 고회전에서의 엔진보호와 고온에서 엔진보호의 여력이 크다는 것이죠(합성유가 더 광범위한 다급점도를 가지고 있기때문). 서울시내 아주 평범한 주행을 한다고 하면 모빌1으로 5만원 주고 1만키로 탈 때와 광유로 2만원주고 5천키로 탈 때, 세미합성유로 3만원 주고 5천키로 탈 경우라 가정하면 저는 세미합성유로 3만원 주고 5천키로 타고 있습니다..ㅎㅎ 모빌1도 써봤지만 5천키로마다 갈기에는 불필요하게 비싸고 광유는 5천키로 타기 찜찜하고 해서 지크XQ나 캐스트롤 마그나텍류의 오일을 5년 가까이 쓰고 있는데 만족합니다. 가끔 서킷도 들어가고 했는데 차이를 모르겠더군요..
2006.08.30 13:55:07 (*.56.123.55)

그리고 엔진마모는 엔진작동 중보다는 초기시동시 대부분이 일어나므로 이 부분에 대한 특성이 뛰어난 오일이 제 경우는 선택의 기준이 됩니다. 뭐 매일같이 서킷 뛰는 차량 아닌담에야 웬만해서 메탈베어링 나가거나 피스톤이 늘러붙는 일은 없을 테고...택시같이 24시간 돌아가는 차가 오히려 마모가 덜 할 듯 싶습니다.
가장 악조건은 일주일이나 이주일에 한 번 타는 차겠죠. 장기간 세워놔서 실린더벽에 오일은 한방울도 없고 시동걸면 그 순간 엔진마모가 조금씩 일어날테니...
가장 악조건은 일주일이나 이주일에 한 번 타는 차겠죠. 장기간 세워놔서 실린더벽에 오일은 한방울도 없고 시동걸면 그 순간 엔진마모가 조금씩 일어날테니...
2006.08.30 13:56:37 (*.56.123.55)

연비는 합성유냐 광유냐 보다는 점도에 좌우된다고 봐야죠..10W50 정도의 터보용이 안니면 요즘 일반적인 5W30이나 5W40이면 0W40 같은 묽은 합성유에 비해 거의 차이 없는 듯 합니다.
2006.08.30 14:18:45 (*.22.116.142)
엔진오일을 갈았다고해서 토크의 상승은 바라지도 않지만..그래서 생각한것이 토크밴드의 이동이라 생각합니다..매일 같이 타고있는 차량의 엑셀느낌이나 일정영역대의rpm시 속도변화에 의한 제 의견이구요..
음..amsoil도 선물받은거라..
가격대비 가치로는 순정이 무난하다 생각합니다.
너무 깊이 파고들면 헤어나오질 못합니다.^^;
음..amsoil도 선물받은거라..
가격대비 가치로는 순정이 무난하다 생각합니다.
너무 깊이 파고들면 헤어나오질 못합니다.^^;
2006.08.30 19:32:09 (*.149.56.132)

빡시게 타시지 않는다면
GS PAO 5w50 추천드립니당
1L 3500원 X 4 14000원
공임+필터 해도 순정에 비해 얼마 추가 되지 않을듯 싶네용.. ^^;;
GS PAO 5w50 추천드립니당
1L 3500원 X 4 14000원
공임+필터 해도 순정에 비해 얼마 추가 되지 않을듯 싶네용.. ^^;;
2006.08.31 21:15:17 (*.116.71.135)
저는 1.6DO 해드포팅 써지포팅등 엔진을 만져놓아서... RESPO V티탄을 넣는데요...
V티탄 제품 특징이랄까?? 고회전에서 정말 예술입니다.
일반광유랑은 비교도 안될정도로 아이들링시나 주행시 잡소리가 전혀 없구요...
엑셀링시에도 엔진이 늘 빠르고 부드럽게 반응하는것이 이거다 싶어서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www.respokorea.com/ 이사이트 가보시면
오일에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네요 참고하세요
V티탄 제품 특징이랄까?? 고회전에서 정말 예술입니다.
일반광유랑은 비교도 안될정도로 아이들링시나 주행시 잡소리가 전혀 없구요...
엑셀링시에도 엔진이 늘 빠르고 부드럽게 반응하는것이 이거다 싶어서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www.respokorea.com/ 이사이트 가보시면
오일에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네요 참고하세요
2006.09.16 01:48:16 (*.64.84.113)

일반주행시나 공회전시에 소음, 진동처럼 몸으로 느껴지는 차이는 점도의 차이에서 오는 경우가 많고, 광유냐 합성유냐에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합성유가 광유에 비해 고온에서 안정적이고, 수명이 긴 장점이 있습니다만, 고rpm 또는 고속을 자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비싼 합성유가 굳이 필요할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일본이나 국내나 상당히 고점도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은거 같은데, 연비, 출력, 반응 모두 낮은 점도의 오일이 느껴질 정도로 좋습니다. 다만 자동차 메이커에서 권장하는 최소 점도는 지켜줘야 하겠죠. 터보라고 무조건 높은 점도를 써야 할 필요가 있는 것도 아니구요. 터보의 경우는 엔진오일로 터빈 베어링 쓰는 경우에 점도가 올라가면 터보 반응도 떨어집니다.
토크밴드의 이동일지는 모르지만 200rpm정도 보상되는것같습니다(rpm게이지상)
교환주기나 미미하지만 더 나은 토크가 장점이며 소음이 조금 증가했다는것이 단점입니다.
연비는...오일보다는 운전스타일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