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9
여럿 외국에 자동차 메이커들을 보면
출력에 비해 너무 큰사이즈의 휠타이어를 순정으로 장착하거나..
반대로 출력에 비해 좀 작다싶은 휠타이어를 순정으로 장착하는경우가 종종있더라구요..
차량성격에 맞게..승차감, 주행성 , 회사이익(?)을 고려해서 어느정도 판단하겠지만...
출력에비해 지나치게 크다 싶은 휠타이어사이즈를 장착한 대표적인 차량들...
벤츠C클래스... 143마력짜리 180k나..
204마력짜리.. 230v
163마력짜리 slk 200k 는 모두 전륜225/45/17 후륜 245/40/17이 순정으로 나오네요...
e200k의 경우 163마력으로 동일하지만 205/60/16으로 엄청난 차이를 보입니다..
그외
렉서스 is250 207마력 전륜 225/45/27 후륜 245/45/17
크라이슬러 크로스 파이어 218마력 전륜 225/40/18 후륜 255/35/19
위 차종들 스포츠한 컨셉을 가지고있다고 하여도..
출력에비해 후륜구동으로서 245나 255사이즈
메이커치고는 좀 오바스럽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출력에 비해 너무 작다싶은 휠타이어 사이즈..
캐딜락 DTS 291마력 225/60/16
혼다 어코드 3.0 240마력 205/60/16
렉서스 ls430 293마력 225/55/17
렉서스 es350 272마력 215/55/17
등등...-_-;;
대부분 세단이기는 하지만.. 출력을 감당하기에는..
휠타이어가 너무 부실하다는 생각이듭니다..
왜 벤츠 같은 메이커는 수퍼차저라 하더라도 143~163마력이란
출력에 245라는 큰사이즈를 적용햇는지..
렉서스나 혼다 어코드는 아무리 세단이라지만,..
200마력이 넘는 출력에 205라는.. 알수없는 사이즈를 적용하는지..
그것이 알고 싶습니다..-_-;
쓰라는 레포트는 안쓰고 있고...
요런것만... 레포트 수준으로쓰고있으닌.. -_-;;;흠흠..
위내용들은 모잡지에 나온 제원표기준이라서 정확하지 않을수도있습니다..^^;;
단지궁금해서..^^;; 고수님들 의견이 궁금하네요..
출력에 비해 너무 큰사이즈의 휠타이어를 순정으로 장착하거나..
반대로 출력에 비해 좀 작다싶은 휠타이어를 순정으로 장착하는경우가 종종있더라구요..
차량성격에 맞게..승차감, 주행성 , 회사이익(?)을 고려해서 어느정도 판단하겠지만...
출력에비해 지나치게 크다 싶은 휠타이어사이즈를 장착한 대표적인 차량들...
벤츠C클래스... 143마력짜리 180k나..
204마력짜리.. 230v
163마력짜리 slk 200k 는 모두 전륜225/45/17 후륜 245/40/17이 순정으로 나오네요...
e200k의 경우 163마력으로 동일하지만 205/60/16으로 엄청난 차이를 보입니다..
그외
렉서스 is250 207마력 전륜 225/45/27 후륜 245/45/17
크라이슬러 크로스 파이어 218마력 전륜 225/40/18 후륜 255/35/19
위 차종들 스포츠한 컨셉을 가지고있다고 하여도..
출력에비해 후륜구동으로서 245나 255사이즈
메이커치고는 좀 오바스럽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출력에 비해 너무 작다싶은 휠타이어 사이즈..
캐딜락 DTS 291마력 225/60/16
혼다 어코드 3.0 240마력 205/60/16
렉서스 ls430 293마력 225/55/17
렉서스 es350 272마력 215/55/17
등등...-_-;;
대부분 세단이기는 하지만.. 출력을 감당하기에는..
휠타이어가 너무 부실하다는 생각이듭니다..
왜 벤츠 같은 메이커는 수퍼차저라 하더라도 143~163마력이란
출력에 245라는 큰사이즈를 적용햇는지..
렉서스나 혼다 어코드는 아무리 세단이라지만,..
200마력이 넘는 출력에 205라는.. 알수없는 사이즈를 적용하는지..
그것이 알고 싶습니다..-_-;
쓰라는 레포트는 안쓰고 있고...
요런것만... 레포트 수준으로쓰고있으닌.. -_-;;;흠흠..
위내용들은 모잡지에 나온 제원표기준이라서 정확하지 않을수도있습니다..^^;;
단지궁금해서..^^;; 고수님들 의견이 궁금하네요..
2006.09.06 13:25:22 (*.242.222.1)

질문의 요지에는 조금 다른 얘기일지 모르겠지만 요즘 나오는 신차들의 휠사이즈는 조금 오버스펙인 경우가 많다고 생각합니다....마치 그게 좋은 차의 기준인양 앞다퉈 올리는 느낌이 드네요....유행처럼....
2006.09.06 21:11:44 (*.145.166.159)
엔진출력과는 별개로 차 자체의 무게가늘어나고 부피가 커지고
차대강성(보통 비틀림강성 수치를 얘기)이 올라가고 서스펜션부품의 질과 셋팅력이 올라가면 좀더 광폭화 되는 것 같습니다.. 일례로 EF->NF가 되겠네요..
제가 하고싶은얘기는 단순 엔진출력과의 비례형식으로 타이어셋업이 되는건 아니다..라는 겁니다. 달리기만을 따진다면 아무래도 휠의 직경이 좀 커지고(17~19인치정도) 타이어폭이 넓어지고 편평률이 낮으면 유리한데, 요즘차는 강성도 좋아지고 서스 셋팅력도 좋아서 이런형식으로가더라도 차체와 서스펜션이 충격을 잘 받아주고 안정적으로 운행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같은차라도 타이어의 스펙은 10여가지 다른것을 특정자동차동호회에서 봐왔습니다..정석은 없는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메이커에서 어떤기준으로 타이어를 선택하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차대강성(보통 비틀림강성 수치를 얘기)이 올라가고 서스펜션부품의 질과 셋팅력이 올라가면 좀더 광폭화 되는 것 같습니다.. 일례로 EF->NF가 되겠네요..
제가 하고싶은얘기는 단순 엔진출력과의 비례형식으로 타이어셋업이 되는건 아니다..라는 겁니다. 달리기만을 따진다면 아무래도 휠의 직경이 좀 커지고(17~19인치정도) 타이어폭이 넓어지고 편평률이 낮으면 유리한데, 요즘차는 강성도 좋아지고 서스 셋팅력도 좋아서 이런형식으로가더라도 차체와 서스펜션이 충격을 잘 받아주고 안정적으로 운행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같은차라도 타이어의 스펙은 10여가지 다른것을 특정자동차동호회에서 봐왔습니다..정석은 없는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메이커에서 어떤기준으로 타이어를 선택하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2006.09.06 21:13:34 (*.145.166.159)
그리고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본문에 쓰신 차종의 휠스펙은 일반적으로 운행하는데 모나지않는 적정한 스펙같습니다... 타면서 모자르다고 느끼면 튜닝을 해야겠죠~
2006.09.07 09:34:29 (*.115.56.83)
아래의 토론때문에 늦게 보게 되었습니다... 순정타이어는 사용되는 목적에 맞춰서 선택이 됩니다(같은 엔진스펙이라 할지라도 스포츠성을 강조한 차량과 안락함을 생각해야 하는 승용세단의 경운 다른 사이즈와 성능을 가진 타이어를 쓸수밖에 없습니다) 해당차량의 성능목표에 적당하면(내구성 성능 가격 등등...) 오케이 라고 할수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