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93년식 엘란트라를 가지고 이것저것 만져보고 있습니다.
LED를 달아서 연료분사 되는 걸 보려고 하는데, 인젝터 신호전압의 정확한 수치를 몰라서 헤메고 있네요.
인젝터 신호전압은 크기는 어느 정도 일정하게 나오겠지만 지속시간이 아주 짧아서 거의 펄스 파형인걸로 알고 있는데, 인터넷상에서 제가 찾아본 자료로는 55V~77V정도로 나오더군요.
펄스라 치더라도 좀 높은 것 같아서 말이지요.
4~5V 정도의 전압강하(인젝터 신호전압은 강하하는 타입이더군요.)가 일어난다는 이야기도 있고.............
제가 직접 재어본 바로는 idle시(800~900rpm) 0.5V정도이고 2000rpm에서 0.8V, 4000rpm에서 1.5V 정도입니다. 중간값도 많이 재어봤지만 rpm에 따라서 전압이 변하는 것이 아니고 순간적인 펄스 전압이기 때문에 테스터기가 제대로 잡아내지 못하는 걸로 보입니다.
방금전에 6000rpm까지 올려보니 4~5V까지도 올라가더군요.
LED의 구동전압이 색깔별로 다르지만 1.7V~3.4V 정도로 한정되는데, 펄스파형의 전압이고 50V를 넘어간다면 LED에 무리가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체적인 전압값을 알아야 저항도 달고 할텐데요.................
시중에 판매되는 연료절감기인 vad, 달러 세이버 등이 이 원리를 응용한 것이더군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LED를 달아서 연료분사 되는 걸 보려고 하는데, 인젝터 신호전압의 정확한 수치를 몰라서 헤메고 있네요.
인젝터 신호전압은 크기는 어느 정도 일정하게 나오겠지만 지속시간이 아주 짧아서 거의 펄스 파형인걸로 알고 있는데, 인터넷상에서 제가 찾아본 자료로는 55V~77V정도로 나오더군요.
펄스라 치더라도 좀 높은 것 같아서 말이지요.
4~5V 정도의 전압강하(인젝터 신호전압은 강하하는 타입이더군요.)가 일어난다는 이야기도 있고.............
제가 직접 재어본 바로는 idle시(800~900rpm) 0.5V정도이고 2000rpm에서 0.8V, 4000rpm에서 1.5V 정도입니다. 중간값도 많이 재어봤지만 rpm에 따라서 전압이 변하는 것이 아니고 순간적인 펄스 전압이기 때문에 테스터기가 제대로 잡아내지 못하는 걸로 보입니다.
방금전에 6000rpm까지 올려보니 4~5V까지도 올라가더군요.
LED의 구동전압이 색깔별로 다르지만 1.7V~3.4V 정도로 한정되는데, 펄스파형의 전압이고 50V를 넘어간다면 LED에 무리가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체적인 전압값을 알아야 저항도 달고 할텐데요.................
시중에 판매되는 연료절감기인 vad, 달러 세이버 등이 이 원리를 응용한 것이더군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2006.10.24 13:46:20 (*.12.180.129)

(잘은 모르겠지만) LED로 보시겠다고 하는 것을 보니 인젝터 듀티 사이클을 확인하실 것은 아닌 거 같고, 그렇다면 인젝터의 임피던스에 영향을 끼치지 않기 위해서는 높은 임피던스의 LED 구동회로를 따로 만들어 병렬연결하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됩니다. 피크가 검출되면 LED가 켜지도록 만들어야 할듯 싶네요. 인젝터 임피던스가 수십옴(Ohm) 정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기껏해야 킬로옴 정도 되는 LED+저항이면 아무래도 인젝션 듀티사이클에 영향이 있을 거 같아요. (더 정확한 것은 고수님들게 패스)
2006.10.24 14:11:57 (*.125.82.178)

인젝터의 한쪽 끝은 12 V에 메달려있고 다른 한 끝을 ECU가 grounding을 하게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구동 전압이 12 V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기본적으로 인젝터는 inductor(코일) 이어서 전류를 ECU가 단속을 할 때 역기전력이 발생을 하고 이 전압이 수십 volt가 됩니다. 대략 제가 정비지침서를 본 기억에는 피크 전압이 7~80 Volt 정도 됩니다. 물론 매우 순간적인 접압이긴 하지만요.... 고저항 인젝터의 경우 DC 저항은 대략 15 Ohm 이쪽 저쪽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2006.10.24 14:16:23 (*.125.82.178)

인젝터의 dwell time(통전 시간)은 인젝터 용량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저의 경우 공회전시에 대략 4 msec, 최대 출력시 18 msec 정도 됩니다... 어쨌거나, LED로 뭘 볼 수 있을 지 의문입니다. 공회전 정도 때야 깜빡이는걸 눈으로 확인 할 수 있겠지만.....
2006.10.24 15:30:15 (*.55.130.250)
저도 LED 연결회로가 인젝터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염려가 됩니다.
LED로 보는 것은 깜빡이는 속도입니다. 공회전때보다는 고회전 때 깜빡임이 더 잦을 것이고, 특히 퓨얼컷 되는 시점을 제대로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다만, 공전압시간인가 하는 것이 있어 실제 인젝터의 작동과는 약간 다르다고 하는데 그 정도는 감안해야겠지요.
LED로 보는 것은 깜빡이는 속도입니다. 공회전때보다는 고회전 때 깜빡임이 더 잦을 것이고, 특히 퓨얼컷 되는 시점을 제대로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다만, 공전압시간인가 하는 것이 있어 실제 인젝터의 작동과는 약간 다르다고 하는데 그 정도는 감안해야겠지요.
2006.10.24 15:57:58 (*.55.130.250)
병호님 말씀대로라면, 인젝터 펄스 신호전압을 60볼트로 가정했을 때,
인젝터쪽에 흐르는 전류는 60볼트/15옴=4암페어 이고,
LED쪽 전류는 3킬로옴 저항을 썼을 때 63볼트(LED에 걸리는 전압포함)/3000=0.021암페어가 되겠네요.
순익님 말씀처럼 LED측에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최대한 막아야 하겠지만 LED의 동작 전류값이 보통 20mA라서 더 큰 저항값을 쓸 수가 없네요.
그래도 200배 정도의 차이라면 영향이 미미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고출력의 미세한 엔진이 아니라 14년 묵은 그저 무난한 엔진이니까요.
혹시 다른 주의할 점이나 잘못된 점이 있으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인젝터쪽에 흐르는 전류는 60볼트/15옴=4암페어 이고,
LED쪽 전류는 3킬로옴 저항을 썼을 때 63볼트(LED에 걸리는 전압포함)/3000=0.021암페어가 되겠네요.
순익님 말씀처럼 LED측에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최대한 막아야 하겠지만 LED의 동작 전류값이 보통 20mA라서 더 큰 저항값을 쓸 수가 없네요.
그래도 200배 정도의 차이라면 영향이 미미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고출력의 미세한 엔진이 아니라 14년 묵은 그저 무난한 엔진이니까요.
혹시 다른 주의할 점이나 잘못된 점이 있으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2006.10.24 18:54:34 (*.125.82.178)

인젝터에 흐르는 전류는 12 [V] /15 [Ohm] 을 해야 맞습니다.. 저항에 전류가 흐르면 전압 강하가 일어나죠. 그래서 "전압/저항 = 전류" 가 되지만 제가 말씀 드렸듯이 15옴 이라는 저항은 DC 전압에 대한 저항입니다. 그래서 인젝터에 흐르는 전류는 12/15 가 됩니다.
인젝터는 자체로 저항일 뿐 아니라.. 인덕터 입니다. 그래서 전류의 급격한 단속이 일어나면 자기유도 전압이 발생을 하고 그 전압이 7~80 volt 가 된다는 말입니다. 어쨌든, 매우 짧은 순간 발생되는(인젝터 내부의 코일에 의해서 발생됨) 전압이긴 하지만, 저항을 연결한 LED를 인젝터에 병렬로 연결할 경우 LED에 흐르는 전류는 대략 7~80 [V]/3 [K Ohm]으로 계산하는 것은 맞습니다. 워낙에 짧은 신간 동안 발생하는 전압이어서 생각보다 damage가 적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이런 shock 전압은 ECU 쪽 단자 쪽에 + 값으로 발생합니다.
인젝터는 자체로 저항일 뿐 아니라.. 인덕터 입니다. 그래서 전류의 급격한 단속이 일어나면 자기유도 전압이 발생을 하고 그 전압이 7~80 volt 가 된다는 말입니다. 어쨌든, 매우 짧은 순간 발생되는(인젝터 내부의 코일에 의해서 발생됨) 전압이긴 하지만, 저항을 연결한 LED를 인젝터에 병렬로 연결할 경우 LED에 흐르는 전류는 대략 7~80 [V]/3 [K Ohm]으로 계산하는 것은 맞습니다. 워낙에 짧은 신간 동안 발생하는 전압이어서 생각보다 damage가 적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이런 shock 전압은 ECU 쪽 단자 쪽에 + 값으로 발생합니다.
2006.10.25 10:34:22 (*.115.56.83)
일단 피크전압의 경우는 오실로스코프가 아니면 잡아내기 어렵습니다 박병호님 말씀대로 피크전압은 보통70V정도 이고 현대자동차 대부분이 전압형인젝터를 사용중이므로 LED를 병렬로 LED용정항과 함께 인젝터에 연결시 인젝터에 흐르는 전류값이나 전압이 같으므로(계산상 인젝터저항15(Ohm) LED용저항 3000(Ohm) 일경우 전체 저항값은 14.9253(Ohm)이고 병렬연결 특성상 인젝터코일에는 반드시12V가 걸리므로 전압형 인젝터 동작에는 문제가 없다고 보입니다 전류도 LED가 없는 상태와 같은 0.8A가 걸리는군요=전압형 인젝터는 인젝터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민감하게 분사량이 바뀌므로 전압이 가장중요합니다)
문제는 3키로옴을 쓰면 인젝터를 작동시키는 분사시간동안은 LED에 0.004A가 흐르므로 이기영님 말씀대로라면 최소동작전류인 20mA보다 아래이기때문에 LED를 작동시킬수없습니다 피크전압이 뜰때만 LED를 작동시키실 생각이신것 같은데요 피크전압이란것이 순간적이기 때문에 LED를 얼마나 작동시켜줄지 모르겠습니다 공회전시에라도 1초에 6~7번정도 피크가 발생하고 그만큼 LED를 작동시키겠지만 아마도 Fuel cut이 걸리지 않은 상태라면 LED가 어둡게 들어올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아마도 엔진 rpm이 올라가면 조금 밝아지리라 생각됩니다 완성된 후기를 기다리겠습니다 성공하시길바랍니다 ^^
문제는 3키로옴을 쓰면 인젝터를 작동시키는 분사시간동안은 LED에 0.004A가 흐르므로 이기영님 말씀대로라면 최소동작전류인 20mA보다 아래이기때문에 LED를 작동시킬수없습니다 피크전압이 뜰때만 LED를 작동시키실 생각이신것 같은데요 피크전압이란것이 순간적이기 때문에 LED를 얼마나 작동시켜줄지 모르겠습니다 공회전시에라도 1초에 6~7번정도 피크가 발생하고 그만큼 LED를 작동시키겠지만 아마도 Fuel cut이 걸리지 않은 상태라면 LED가 어둡게 들어올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아마도 엔진 rpm이 올라가면 조금 밝아지리라 생각됩니다 완성된 후기를 기다리겠습니다 성공하시길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