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십니까?
늘 회원 여러분들의 즐거운 모습이 좋습니다.
제가 클릭 디젤엔진과 휘발류엔진 사이에서 고민중입니다.
주로 출퇴근(왕복 80km)용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20년이상은 소유할 계획이구요...
디젤이 초기 비용은 200 만원 정도 비싸지만, 4년 정도 지나면 디젤이 경제적인 것 같구요...
20년이상 유지보수하려면 디젤이 조금 더 어려울 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하신지?
Diesel? Gasoline?
늘 회원 여러분들의 즐거운 모습이 좋습니다.
제가 클릭 디젤엔진과 휘발류엔진 사이에서 고민중입니다.
주로 출퇴근(왕복 80km)용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20년이상은 소유할 계획이구요...
디젤이 초기 비용은 200 만원 정도 비싸지만, 4년 정도 지나면 디젤이 경제적인 것 같구요...
20년이상 유지보수하려면 디젤이 조금 더 어려울 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하신지?
Diesel? Gasoline?
2006.10.27 21:39:06 (*.76.7.220)

장기소유 자동차라면 휘발유가 낳다고 생각 합니다. 오너가 차를 잘 운전하고 정비하여 관리하면 말썽을 부리는 정도가 낮습니다. 디젤보다 비교적 간단한 휘발유가 마스터님처럼 계획정비를 하기에도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비용이 적게들고 관리만 잘하면 10년이든 20년이든 쌩쌩하게 관리할수 있다고 생각이 되어집니다.
그리고 아직까지 국내 승용 디젤의 경우 수입차에 비해서 기술적으로나 내구성도 많이 떨어지는거 같습니다. 초기소음에 비해서 몇년만 지나도 차이가 날정도로 엔진소음이 틀려집니다. 유류비를 제외하고는 전 디젤승용에는 별로 매리트를 못 느끼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직까지 국내 승용 디젤의 경우 수입차에 비해서 기술적으로나 내구성도 많이 떨어지는거 같습니다. 초기소음에 비해서 몇년만 지나도 차이가 날정도로 엔진소음이 틀려집니다. 유류비를 제외하고는 전 디젤승용에는 별로 매리트를 못 느끼고 있습니다.
2006.10.27 22:08:40 (*.223.213.37)

장기 소유를 위해서라면 유지보수가 좀 더 쉬워서라도 휘발유가 낫다고 생각합니다. 클릭의 경우 디젤은 옵션이 너무 빈약해서 장기 소유하기에는 많이 아쉬울 것 같아요.
2006.10.27 23:16:30 (*.140.72.28)

차정민님 말씀대로...디젤은 소음과 진동이 염려 됩니다. 클릭이 강성이 비교적 강하다고는 하지만..만4년된 제 클릭도 차대 소음이 조금씩 나거든요. 해마다 조금씩 커지고 소음 발생하는 곳도 늘어나고....
2006.10.27 23:26:20 (*.133.49.88)
20년 이상이라면 가솔린이 유리하겠네요..커먼레일엔진에서 중요한것은 실린더 블럭이나 피스톤이 아니라 인젝터나 펌프 쪽 입니다. 가솔린 부품이야 세월이흘러 부품생산이 중단되면 어떻게든 비슷한거 집어넣으면 유지는 되겠지만, 디젤 인젝터는 가솔린 인젝터와는 틀려서 비슷한거 넣는다고 될 문제가 아니거든요. 가격도 비싸고요.
참고로 전 클릭 디젤 타고 있습니다. 잡소리 나는거 빼고는 참 좋습니다. 간만에 집에있는
마르샤2.0수동 몰아보니 힘이 너무없게 느껴지더군요. 20만 넘기는 했어도 클릭 타기전에는 잘 못느꼈거든요. 전 출퇴근 70키로정도 됩니다. 2/3는 시내주행이고 1/3은 80KPH로 달리는데 한달 기름값 13만원정도 나옵니다. 클릭 디젤 궁금하시면 쪽지 주세요^^
참고로 전 클릭 디젤 타고 있습니다. 잡소리 나는거 빼고는 참 좋습니다. 간만에 집에있는
마르샤2.0수동 몰아보니 힘이 너무없게 느껴지더군요. 20만 넘기는 했어도 클릭 타기전에는 잘 못느꼈거든요. 전 출퇴근 70키로정도 됩니다. 2/3는 시내주행이고 1/3은 80KPH로 달리는데 한달 기름값 13만원정도 나옵니다. 클릭 디젤 궁금하시면 쪽지 주세요^^
2006.10.28 00:42:16 (*.107.80.149)

참고로 디젤은 오토없습니다!~그리고 옵션 거~~의 없습니다! 대신 엔진하나로 커버하죠!
절대 홍보성 글은 아닙니다만, 클릭에 관한 좀 더 현실적이고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www.clicknme.com
한번방문해 보세요...저도 뉴클릭이라 항시 방문하는 곳인데 좋은 사이트입니다!~
절대 홍보성 글은 아닙니다만, 클릭에 관한 좀 더 현실적이고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www.clicknme.com
한번방문해 보세요...저도 뉴클릭이라 항시 방문하는 곳인데 좋은 사이트입니다!~
2006.10.28 07:14:18 (*.83.144.64)

옵션은 없지만 디젤은 그 가격대의 디젤차가 아예 없다는 메리트는 있죠.
소장하신다는 말씀에 다들 가솔린을 추천하시는 것 같습니다. 클릭은 디젤연비가 좋기도하고, 옵션이 없어서 더 싼차를 사게되니 본전뽑는 기간이 4년도 안걸릴겁니다.
제가 클릭을 다시 사면 (실제로도 계획중이지만 마눌님 반대에...), 순정으로 최대한 버티다가, 1.6으로 스왑해서 다닐 생각이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은, 작은 차는 싼 유지비가 소유의 기쁨을 주는 가장 큰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출퇴근용도에 한합니다.
소장하신다는 말씀에 다들 가솔린을 추천하시는 것 같습니다. 클릭은 디젤연비가 좋기도하고, 옵션이 없어서 더 싼차를 사게되니 본전뽑는 기간이 4년도 안걸릴겁니다.
제가 클릭을 다시 사면 (실제로도 계획중이지만 마눌님 반대에...), 순정으로 최대한 버티다가, 1.6으로 스왑해서 다닐 생각이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은, 작은 차는 싼 유지비가 소유의 기쁨을 주는 가장 큰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출퇴근용도에 한합니다.
2006.10.28 14:23:30 (*.152.36.246)

20년 소유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엔진은 아무런 문제가 안되는 것같습니다. 새 것 사넣으면 되는 것이니까요?
단지 바디가 버티느냐입니다.
썩어서 구멍 숭숭 뚫리는 것이 한국산 차량의 현주소니까요? 그나마 대우차는 그게 덜한데 현대차는 각그랜저 말고는 대부분의 차량이 그러하더군요.
단지 바디가 버티느냐입니다.
썩어서 구멍 숭숭 뚫리는 것이 한국산 차량의 현주소니까요? 그나마 대우차는 그게 덜한데 현대차는 각그랜저 말고는 대부분의 차량이 그러하더군요.
2006.10.28 23:47:12 (*.143.162.245)

차대 강성이나 녹문제가 나와서 말인데, 지면에 광고하는 완X사의 코팅같은것이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신차때 해주면 다만 심리적으로라도 좀 개운하게 타고다닐만은 할것 같던데요.
2006.10.29 22:25:34 (*.145.97.84)

20년정도 소장할만한 내구성이 못따라가줍니다..
여선암님 말씀에 강하게 동감합니다. 그나마 소장하시려면 대우차를 구입하시길.
그리고 아무리 코팅을 해도 한계가 있습니다. 주철의 재질부터 설계, 만듦새까지 모든것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평생소장하실거면 칼로스3도어 개솔린 1.6 수동을 추천드립니다
여선암님 말씀에 강하게 동감합니다. 그나마 소장하시려면 대우차를 구입하시길.
그리고 아무리 코팅을 해도 한계가 있습니다. 주철의 재질부터 설계, 만듦새까지 모든것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평생소장하실거면 칼로스3도어 개솔린 1.6 수동을 추천드립니다
2006.10.30 09:00:15 (*.76.7.220)

제가 울산살아서 공장친구 예기를 빌어서 말씀드라면 내수용과 수출용은 같은부위의 철이라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수출용은 아연 도금 강판을 사용하는 관계로 용접을 하는데 어려워 숙련된 기술자가 동원이 되고 그래서 똑같은 두께의 강판 이라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봤을때 차체의 내구성과 강성에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철판의 빛깔에서도 차이가 나죠^^ 무게차이도 있다고 합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의 말로는 수출용은 선박에 실어서 운송해야 되기 때문에 운송간에 녹이라도 발생되면 안되기 때문에 그렇게 한다고 합니다. 결국 우리나라 사람은 봉인거죠 하루이틀만 지나도 하체에 녹이 슬도록 놔두면서 수출용은 엄청 신경써서 만든다는 소리 입니다. 겉에 조금 녹이슨다고 상관없습니다만 20년 장기소유 한다고 봤을때는 이건 좀 아니다 싶을정도가 아닐까 생각을 해봅니다. 클릭을 20년 장기소유 할 계획이라면 수출용을 역수입해서 타는방법이 가장 좋은방법인거 같습니다.^^ 아니면 다른분들 말씀처럼 자동차 방청작업을 직접 해야죠 -_-;
2006.10.30 09:12:35 (*.76.7.220)

예전에 기사를 본적이 있는데 수입차의 니켈크롬 아연 등등의 방청강판 사용비율이 평균적으로 70%로 상당히 높은수준 이구요 국내차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아연도금 5% 이내에 적용을 한다고 합니다. 국내에서 방청보증을 해주는 없체는 르노삼성 인데 도어, 휀더, 후드 등등의 부위에 20% 정도의 아연도금 강판을 실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2006.10.30 11:30:37 (*.119.3.148)

한국도 삼면이 바다라 바닷바람에 부식이 빠릅니다. 바닷가에 있는 차들이 좀 그렇죠.
곧 현대에서도 수출-내수 아연강판 일원화 체제를 구축한다고 들었습니다. (이번 현대자동차에서 제철소 하나 만들어서 그런가?)
국내의 빈약한 기준도 문제겠지만 외국의 도로사정도 고려해야할 점인것 같습니다. 미국같은 경우엔 워낙에 땅떵어리가 넓어서 그런지 암염을 부숴서 그냥 뿌리더군요. -_-; 소금가루가 펄펄 날리는 날이 많습니다. 이정도 되면 왠만한 철판은 못 견디겠죠. 그래서 미국의 법으로도 방청 기준이 있는걸테구요.
만약 헌법소원을 통해 방청에 강한 기준을 매긴다면 그에따른 비용 및 차값의 증가와 자동차 회사의 압력, 쓸모없다는 사람들(이처럼 북미와 한국은 조건이 틀리다 이런식으로)의 주장에 부딫히면 그리 쉬을것 같진 않군요. ^^
곧 현대에서도 수출-내수 아연강판 일원화 체제를 구축한다고 들었습니다. (이번 현대자동차에서 제철소 하나 만들어서 그런가?)
국내의 빈약한 기준도 문제겠지만 외국의 도로사정도 고려해야할 점인것 같습니다. 미국같은 경우엔 워낙에 땅떵어리가 넓어서 그런지 암염을 부숴서 그냥 뿌리더군요. -_-; 소금가루가 펄펄 날리는 날이 많습니다. 이정도 되면 왠만한 철판은 못 견디겠죠. 그래서 미국의 법으로도 방청 기준이 있는걸테구요.
만약 헌법소원을 통해 방청에 강한 기준을 매긴다면 그에따른 비용 및 차값의 증가와 자동차 회사의 압력, 쓸모없다는 사람들(이처럼 북미와 한국은 조건이 틀리다 이런식으로)의 주장에 부딫히면 그리 쉬을것 같진 않군요. ^^
2006.11.02 06:04:51 (*.58.235.158)

바디는 바닥 새차와 방청만 잘해주면.. 20년 문제 없습니다.
겉은 잘 닦으나 바닥 세차하는 사람은 거의 없죠. ㅎㅎ"
94년식 2.0으로 스왑한 엘란트라를 2년전까지 소유하고 있었으나..
천당가는 그날까지.. 하체만큼은 새차였습니다. 딴곳도 녹하나 없었고요.
겉은 잘 닦으나 바닥 세차하는 사람은 거의 없죠. ㅎㅎ"
94년식 2.0으로 스왑한 엘란트라를 2년전까지 소유하고 있었으나..
천당가는 그날까지.. 하체만큼은 새차였습니다. 딴곳도 녹하나 없었고요.
2006.11.02 06:08:13 (*.58.235.158)

오래 타실꺼면.. 간단한 휘발유에 스틱이 좋지 않을까요.
만 4년째 디젤 소유하고 있지만.. 커먼레일 짜증 이빠이 납니다.
커먼레일 펌프보다 인젝터 교환하면 거의 토나옵니다.
만 4년째 디젤 소유하고 있지만.. 커먼레일 짜증 이빠이 납니다.
커먼레일 펌프보다 인젝터 교환하면 거의 토나옵니다.
2006.11.02 08:49:13 (*.144.184.116)

그렇죠, 인젝터, 가솔린의 4만원대 인젝터만 보다가, 21만원대 커먼레일용 인젝터를 보면 쓰러지죠... 거기에 요즘 나오는 피에조 인젝터는 38만원대...(물론 클릭에는 피에조 인젝터 안들어갑니다.)
써놓고보니, 수리비가 비싸긴 하네요.
평소에 연료비로 수리비 이상 절약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는데, 일상의 주행거리에 따라서 선택하는 과정도 필요할 듯 합니다.
써놓고보니, 수리비가 비싸긴 하네요.
평소에 연료비로 수리비 이상 절약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는데, 일상의 주행거리에 따라서 선택하는 과정도 필요할 듯 합니다.
월~금 출근 88~분당수서 구간이 80%
휘발유값은 월 20만원 정도 들더군요
걍 참고 하시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