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아래 송명호님의 타이어 관련글을 갑자기 궁금증이....
메이커마다 외경차이가 있다는 정도는 어찌어찌 상식이 된것도 같습니다.
그럼 과연 어느 메이커가 외경이 크고 어디는 작은걸까요?
대충만 추려서 미쉐린 / 브리지스톤 / 던롭 / 굳이어 / 피렐리 / 요코하마 / 한국 / 금호
등만 봤을 때 어느 메이커가 외경이 크고 어디는 작은지...
혹은 정확치 않더라도 세세하게 제품별 사이즈별 경험담 있으시면 정보 부탁 드립니다.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ㅡ.ㅡㅋ
메이커마다 외경차이가 있다는 정도는 어찌어찌 상식이 된것도 같습니다.
그럼 과연 어느 메이커가 외경이 크고 어디는 작은걸까요?
대충만 추려서 미쉐린 / 브리지스톤 / 던롭 / 굳이어 / 피렐리 / 요코하마 / 한국 / 금호
등만 봤을 때 어느 메이커가 외경이 크고 어디는 작은지...
혹은 정확치 않더라도 세세하게 제품별 사이즈별 경험담 있으시면 정보 부탁 드립니다.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ㅡ.ㅡㅋ
2006.12.22 03:50:06 (*.4.204.112)

음...근데 공기압에따라서도 외경차이가 나지 않을까요?? 땡떙 하게 주행하는것과 느슨하게 주행하는것에 차이가 더 클것 같기도 합니다...아시는분 알려주세요!
2006.12.22 09:24:03 (*.120.109.81)
나열하신 브랜드 중에서 브리지스톤 / 던롭 / 피렐리 / 요코하마 / 한국 / 금호 이렇게 사용해봤는데요. 메이커별로 차이 혹은 타이어 성능 별로 외경 차이는 확실히 있었습니다.
공기압의 차이 그 수준을 넘어서는 것 같습니다(안생기던 간섭이 생기더군요.).
브랜드별로 차이 보다는 타이어 레벨별로 차이가 더 심한 것 같았습니다.
순서대로 나열 하면서도 큰 사이즈 축에 속한 그룹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그룹으로 구분해보면 전자 그룹은 요코하마 / 금호 / 던롭, 후자 그룹은 한국 / 브리지스톤 / 피렐리 이렇게 구분 할 수 있겠네요.
공기압의 차이 그 수준을 넘어서는 것 같습니다(안생기던 간섭이 생기더군요.).
브랜드별로 차이 보다는 타이어 레벨별로 차이가 더 심한 것 같았습니다.
순서대로 나열 하면서도 큰 사이즈 축에 속한 그룹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그룹으로 구분해보면 전자 그룹은 요코하마 / 금호 / 던롭, 후자 그룹은 한국 / 브리지스톤 / 피렐리 이렇게 구분 할 수 있겠네요.
2006.12.22 09:51:03 (*.37.8.130)

외경도 외경이고 폭도 차이가 크지요. 같은 225 규격의 폭을 가진 타이어라 하더라도 실제 쇼울더의 모양 등등의 설계에 따라 1cm 가까이 노면에 닿는 폭이 차이가 나더군요. 그 정도면 간섭 조건을 변화시키는데에 충분하리라 생각되네요.
친절한 메이커는 외경도 스펙에 표기하는 경우가 있고(홈페이지들을 뒤져보면 나옵니다, 계산상의 수치와 조금씩 다른 경우들이 있더군요) 극도로 친절한 메이커는 실제의 폭까지 써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이드월이 곡면이므로, 땅에 닿는 부위의 폭과 림프로텍터 등을 포함한 전체 폭까지 제시하는 경우가 있더군요. (어디가 어딘지는 기억이...;;)
친절한 메이커는 외경도 스펙에 표기하는 경우가 있고(홈페이지들을 뒤져보면 나옵니다, 계산상의 수치와 조금씩 다른 경우들이 있더군요) 극도로 친절한 메이커는 실제의 폭까지 써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이드월이 곡면이므로, 땅에 닿는 부위의 폭과 림프로텍터 등을 포함한 전체 폭까지 제시하는 경우가 있더군요. (어디가 어딘지는 기억이...;;)
2006.12.22 11:59:45 (*.153.125.161)

얼마전 금호 엑스타 수프라에서 SPT로 교환한후 외경의 차이는 크게 못느꼇지만 폭의 차이는 굳이 길이를 재지 않고 보는 겉만 으로도 차이가 나더군요. 더 좁아졌습니다. 같은 메이커라 하더라도 모델별로 다르니...-_-;
2006.12.22 13:32:19 (*.214.84.253)

음... 이번에 한계 경량화에 성공한 지갑문제로 저렴하면서도 똘똘한 타이어를 물색 중 P7000을 한번 써볼까 했는데....그럼 외경이 제일 작은게 되는걸까요?
음.... 궁금해서 써보고 싶기도 하고 걱정돼서 쓰기 싫기도 하는군요.... ㅎㅎ
음.... 궁금해서 써보고 싶기도 하고 걱정돼서 쓰기 싫기도 하는군요.... ㅎㅎ
2006.12.22 14:40:25 (*.81.221.20)

미쉐린 홈피에서 본 듯 합니다. 같은 싸이즈에 같은 메이커라도 시리즈마다 싸이즈가 다르더군요. 거의 1cm차이 나던데...-0-
2006.12.22 18:39:14 (*.56.123.55)

요코하마 홈페이지에도 보면 실제 외경과 단면폭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고 권장 림폭까지 제시되어있습니다. 일례로 보면 205/55R16은 실제 외경은 계산상 수치와 동일한데 단면폭은 214mm로 표기상 수치보다 1cm 가까이 넓습니다. 반면에 표기상 단면폭이 같은 205/60R16은 실제 단면폭이 206mm 정도더군요.
2006.12.28 10:18:06 (*.55.192.254)

같은 사이즈로 샀는데, 실제 한 사이즈 정도나 차이가 난다면 참 난처하죠.
금호 SPT가 높게 나온다는 건 메이커로부터 들어서 압니다. 그 외에도 메이커별로 또한 모델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것도 상식화 된 듯 합니다. 비교적 미쉐린이 정확한 사이즈거나 좀 작게 나오는듯 하게 느꼈습니다. 역시 모델이 뭐였나에 따라 달라지니 일일이 확인을 해봐야 정확할 듯...
금호 SPT가 높게 나온다는 건 메이커로부터 들어서 압니다. 그 외에도 메이커별로 또한 모델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것도 상식화 된 듯 합니다. 비교적 미쉐린이 정확한 사이즈거나 좀 작게 나오는듯 하게 느꼈습니다. 역시 모델이 뭐였나에 따라 달라지니 일일이 확인을 해봐야 정확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