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이제 고1 돼는 학생입니다.
자동차를 좋아해서 자동차쪽으로 일하고싶은데요. 벌써 고등학교는 배정돼버려서
자동차과로는 못갈것 같구요. 대학을 그쪽으로 가고싶은데요...
어디 대학이 자동차과 하면 알아주나요? 일단 목표는 크게 잡고 시작해보려구요..
가능하다면 현대모비스에서 연구직으로 일하고싶은데요, 현대모비스 들어가려면
많이힘들까요? 공부를 어느정도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주위에는 그쪽 분야에서
일하시는분이 안계셔서요...
휴,.. 물어볼께 많았었는데 글쓸려고 보니 하나도 생각이 안나네요..
꼭좀 답변 부탁드려요... 장래희망도 겨우 정한거에요...ㅠㅠ
자동차를 좋아해서 자동차쪽으로 일하고싶은데요. 벌써 고등학교는 배정돼버려서
자동차과로는 못갈것 같구요. 대학을 그쪽으로 가고싶은데요...
어디 대학이 자동차과 하면 알아주나요? 일단 목표는 크게 잡고 시작해보려구요..
가능하다면 현대모비스에서 연구직으로 일하고싶은데요, 현대모비스 들어가려면
많이힘들까요? 공부를 어느정도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주위에는 그쪽 분야에서
일하시는분이 안계셔서요...
휴,.. 물어볼께 많았었는데 글쓸려고 보니 하나도 생각이 안나네요..
꼭좀 답변 부탁드려요... 장래희망도 겨우 정한거에요...ㅠㅠ
2007.01.26 22:21:52 (*.212.20.166)
고등학교, 대학교 자동차를 전공하고있는 제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다른 직업을 갖으신 분들이 멋진 카 라이프를 즐기시는 모습이 더 보기 좋더라구요^^ 물론 자동차 전공하는게 안좋다는건 아닙니다. 차를 좋아하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빨리 더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는게 큰 메리튼데요, 대학와서 보니까 취업이 만만치 않습니다.. 자동차라는게 여러가지 기술들이 합쳐진 것이잖아요.. (기계,전자,각종 물리 등등)
자동차과 진학하셔도 모비스를 비롯해 자동차 대기업에 들어가기 힘드실거에요... 저도 고딩때 연구소 가고싶어서 이리저리 알아봤지만 "기계를 전공해라, 전기전자를 전공해라" 라는 이야기만 들었네요..... 연구소에서도 파트별로 얻고자 하는 인력이 있을겁니다.. 그게 기계분야든, 전자분야든 말이죠..
우연히 자동차(부품) 회사의 취업 공고 등을 보더라도 '자동차 전공 우대' 이런건 없습니다.. 기계면 기계, 전기전자면 그거.. 다 따로따로 그 전공을 공부한 사람들을 원하는것 같습니다..
4년제 자동차과를 나와도 연구소로 들어가는 수는 아주 소수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전문대 다니고 있는데요.. 몇몇 대학들 보면 "ㅇㅇ 자동차와 산학협력" 이런걸로 뉴스에 나오는걸 보셨을거에요.. 유명한 자동차 회사랑 산학협력을 맺더라도 그 속에서 육성되는 학생들은 "정비관련" 인력이지 "연구관련"인력은 아닙니다.... (수입차 A/S센터 등등)
이곳에 연구소에서 근무하시는 회원님이 계실런지 모르겠지만, 아쉬움이 많이 남는 저로서도 조언을 기다리겠습니다..
자동차과 진학하셔도 모비스를 비롯해 자동차 대기업에 들어가기 힘드실거에요... 저도 고딩때 연구소 가고싶어서 이리저리 알아봤지만 "기계를 전공해라, 전기전자를 전공해라" 라는 이야기만 들었네요..... 연구소에서도 파트별로 얻고자 하는 인력이 있을겁니다.. 그게 기계분야든, 전자분야든 말이죠..
우연히 자동차(부품) 회사의 취업 공고 등을 보더라도 '자동차 전공 우대' 이런건 없습니다.. 기계면 기계, 전기전자면 그거.. 다 따로따로 그 전공을 공부한 사람들을 원하는것 같습니다..
4년제 자동차과를 나와도 연구소로 들어가는 수는 아주 소수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전문대 다니고 있는데요.. 몇몇 대학들 보면 "ㅇㅇ 자동차와 산학협력" 이런걸로 뉴스에 나오는걸 보셨을거에요.. 유명한 자동차 회사랑 산학협력을 맺더라도 그 속에서 육성되는 학생들은 "정비관련" 인력이지 "연구관련"인력은 아닙니다.... (수입차 A/S센터 등등)
이곳에 연구소에서 근무하시는 회원님이 계실런지 모르겠지만, 아쉬움이 많이 남는 저로서도 조언을 기다리겠습니다..
2007.01.26 23:22:13 (*.206.170.41)
그럼 인기학과는 무엇이 있죠?.. 아직 진로에 대해선 생각을 안해봐서요...
가능하다면 공무원이나 약사가 돼고싶은데요... 힘들겠죠..ㅠ?
가능하다면 공무원이나 약사가 돼고싶은데요... 힘들겠죠..ㅠ?
2007.01.26 23:56:46 (*.148.29.103)

보통 자동차회사에는 차가 좋아서 차에 미쳐서 근무하는분들은
굉장히 소수입니다. 저또한 차가 좋아서 제가 만든차가 도로를
달리는걸 보는게 꿈(?)이라서 전공을 하고 근무하고 있습니다만...
어찌보면 꿈을 이룬것이고, 행복(?)하지만...대부분의 동료들은
그냥 기계나 전기등을 전공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일례로 기계전공에 엔지니어가 와이퍼 교체를
어찌하는지도 모르는경우도 있지요.(절대 잘못이라거나 나쁘다는건 아닙니다.)
참고로 입사시엔 전공이 기계냐 자동차냐 보다는 학교,성적,영어가
더 우선시 되지요. 부서또한 공채의 경우 그냥 뺑뺑이라고 보시면
되고 말입니다.그냥 착실하게 말잘듣고 시키는거 잘하는게 좋지요.
님이 고1이라면 대략 10년후쯤에 사회생활을 시작할것 같은데요
그때까지 워낙 변수가 많으니 꼰대같지만 지금은 그냥 공부를
열씨미 하는게 가장 남을듯하네요.
굉장히 소수입니다. 저또한 차가 좋아서 제가 만든차가 도로를
달리는걸 보는게 꿈(?)이라서 전공을 하고 근무하고 있습니다만...
어찌보면 꿈을 이룬것이고, 행복(?)하지만...대부분의 동료들은
그냥 기계나 전기등을 전공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일례로 기계전공에 엔지니어가 와이퍼 교체를
어찌하는지도 모르는경우도 있지요.(절대 잘못이라거나 나쁘다는건 아닙니다.)
참고로 입사시엔 전공이 기계냐 자동차냐 보다는 학교,성적,영어가
더 우선시 되지요. 부서또한 공채의 경우 그냥 뺑뺑이라고 보시면
되고 말입니다.그냥 착실하게 말잘듣고 시키는거 잘하는게 좋지요.
님이 고1이라면 대략 10년후쯤에 사회생활을 시작할것 같은데요
그때까지 워낙 변수가 많으니 꼰대같지만 지금은 그냥 공부를
열씨미 하는게 가장 남을듯하네요.
2007.01.27 08:39:42 (*.102.253.149)
그냥 돈 많이 버는 직업을 택하고 여가생활을 자동차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을것 같습니다. 막상 전공으로 자동차를 택하면 힘들고(한국사회에서 메카닉 사람 취급안하죠) 오히려 자동차에 대해 싫증이 날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약사는 비추 대학진학도 어렵지만 나와도 별로입니다. 약대 공부도 현실과 동떨어진 과목이 많아 별 재미도 없습니다. 이제 제 직업이 뭔지 알 수 있겠죠.
2007.01.27 10:00:40 (*.206.170.41)
저역시 자동차를 좋아할줄만 알았지, 전문적으로 파고들지 못해서, 자동차를 취미생활로 하고싶었는데...
제가 뭘 해야할지를 모르겠습니다. 다들 의사가 돼고싶어하는데, 의사는 별로더군요..
물론 제 능력이 부족하기도 합니다만, 제가 어려서부터 피를 싫어해서요.ㅠㅠ..
어렸을때만 해도, 엄마아빠께서는 공부를 열심히 해놔야 나중에 직업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해서 지금까지 열심히 해왔긴 했습니다만...
에휴.. 힘드네요-ㅅ-;; 고등학교,대학교.. 앞으로 7년을 잘 넘겨야할텐데요..
나이먹어갈수록(?) 머리속이 점점 복잡해지네요...
공부에만 전념하려고 드포프도 서랍에 넣어놓고. 레이싱게임도 다 지웠는데요...ㅠㅠ
휴... 아무튼 말로 표현하기 힘든데요 많이 힘드네요...
제가 뭘 해야할지를 모르겠습니다. 다들 의사가 돼고싶어하는데, 의사는 별로더군요..
물론 제 능력이 부족하기도 합니다만, 제가 어려서부터 피를 싫어해서요.ㅠㅠ..
어렸을때만 해도, 엄마아빠께서는 공부를 열심히 해놔야 나중에 직업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해서 지금까지 열심히 해왔긴 했습니다만...
에휴.. 힘드네요-ㅅ-;; 고등학교,대학교.. 앞으로 7년을 잘 넘겨야할텐데요..
나이먹어갈수록(?) 머리속이 점점 복잡해지네요...
공부에만 전념하려고 드포프도 서랍에 넣어놓고. 레이싱게임도 다 지웠는데요...ㅠㅠ
휴... 아무튼 말로 표현하기 힘든데요 많이 힘드네요...
2007.01.27 10:12:31 (*.6.90.41)

잘은 모르겠지만 지금 인기가 있는 분야가 10년 뒤에도 좋으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지금 한참 유행하는 베트남 펀드처럼 처음 남들 모를때 모험을 걸면 성공할 수 있지만 남들과 같이(많이) 가는 경우는 경쟁만 심해서 힘이 들 수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가 하는 분야를 찾고 그것을 꾸준하게 추구하는 것입니다.
PS. : 의사는 지금 우리나라에서 '공급과잉' 입니다.
PS. : 의사는 지금 우리나라에서 '공급과잉' 입니다.
2007.01.27 12:20:41 (*.99.190.78)

물로 가는 자동차를 만드신다면.. 농담입니다. -,-;; 국내 모 대학 자동차에 관련된 과를 3년째 다니는 친구의 말을 빌리자면.. 3년 배웠지만 2년은 기초적인 과학(역학과 같은) 것에 파묻혔고.. BK사업에서 탈락되자 학교에서 찬밥신세가 되고.. 참 힘들다.. -,-;; 라고 옆에서 이야기하네요.. 으음.. 힘내세요! ^^ 10년후, 20년후의 미래를 예측해보시고 다시한번 고민해 보시길.. ^^
2007.01.27 12:28:16 (*.104.113.148)

고등학교때(95년) 자동차가 좋아서 레이서 시켜달라고 부모님에게 조르기도 했었죠
그러자 저희 어머니 저를 철학관에 데려가 사주를 봤는데 적성에는 잘 맞으나 넘 먹고살기 힘들다고 사주보시는 분이 그러시더군요... 해서 돈을 빨리 버는쪽으로 진로를 변경 지금도 열심히 달리고 있습니다
그러자 저희 어머니 저를 철학관에 데려가 사주를 봤는데 적성에는 잘 맞으나 넘 먹고살기 힘들다고 사주보시는 분이 그러시더군요... 해서 돈을 빨리 버는쪽으로 진로를 변경 지금도 열심히 달리고 있습니다
2007.01.27 15:19:08 (*.142.158.18)

저같은경우도 자동차과를 보고 학교에 들어가 자동차를 배우려다 결국 기계공학을 배우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자동차과는 천대<?>받는다는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인것 같습니다...
같은학교 같은학부이지만 자동차과보다 기계과를 더 학교에서도 밀어주는<?>듯한느낌에
같은학생끼리도 자동차과를 무시<?>하는 성향까지 보일정도입니다... 크게 목표를잡으셧다면 기계나 전자쪽을 확실하게 전공을 하신후 외국에서 자동차를 배워오는것을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저또한 그러려 준비하고있습니다
같은학교 같은학부이지만 자동차과보다 기계과를 더 학교에서도 밀어주는<?>듯한느낌에
같은학생끼리도 자동차과를 무시<?>하는 성향까지 보일정도입니다... 크게 목표를잡으셧다면 기계나 전자쪽을 확실하게 전공을 하신후 외국에서 자동차를 배워오는것을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저또한 그러려 준비하고있습니다
2007.01.27 17:15:13 (*.212.116.73)
자동차 회사에 연구소에 다니면서 자동차를 잘 아는 사람도 많질 않습니다........ 굳이 자동차쪽으로 안가셔도 나중에 다른거 잘 하시면 충분히 가실수 있답니다. 제 주변에 자동차랑은 관련이 없는데 삼성에서 일하다가 현대차 연구소로 옮기신 분도 있거든요... 삼성전자입니다.. 삼성차... 아니구요...
2007.01.27 23:32:44 (*.127.196.79)
자동차과라면... 몇군데 없어서... 보통 기계과나 자동차과나 4년 내내 거의 같은 내용 배웁니다... 4년동안은 별로 재미없으실거예요...^^ 중요한 공업수학과 역학들을 배우게 되죠... ^^ 메카트로닉스과로 가면 콘트롤이론과 기초적인 전자제어실습 등등이 추가됩니다(여기는 사실 기계과보다는 전자공학과에 가까운...) 석박사때 세부적인 전공으로 들어가게됩니다... 4년동안 머리아프게 배운것을 가지고 응용을 하게 되는 단계가 석박사이고요... (매우 빡씬 공부가 기다리고있죠...) 보통 석사과정을한후에 연구소에 지원합니다 자동차도 여러분야가 있다보니 마음에 맞는 전공은 석사과정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학부때부터 맘에드는 실험실에 들어가서 계속 올라가는게 좋구요...
2007.01.27 23:45:43 (*.127.196.79)
의사선생님들은 인정안하시겠지만... 의대에 다니는것과 거의 비스므리합니다... (물론 덜스트레스 받지만... ㅎㅎ) 공부하기 만만치 않다는것은 각오하셔야 될듯합니다
요즘은 옛날과 달라서 컴퓨터때문에 해야할 공부가 5배는 늘어난것같습니다 물론 컴퓨터에 달인이신 요즘 고등학교 학생들에겐 다르게 느껴질지 모르겠지만...
그래서 정효선님 말씀대로... 웬만하면 돈잘버는 직업가지시고 자동차는 취미생활을 하시는것이 정신건강이나 육체적건강에 도움이됩니다... ^^
아님... 황호선님 김성중님 (이종영님도?) 처럼 회사연구소에 계신(여기서 결코 티내지 않고 눈팅만 하시고계신 고수분들...) 분들처럼 멋진 엔지니어가 되실겁니다 ^^
꿈을 버리지 마시고... 이악물고 공부하십시요... ^^ 언젠가 경지에 오르실겁니다... 그때까진 별로 재미없더라도 꾸준히 공부해주시는 쎈쓰~~~
요즘은 옛날과 달라서 컴퓨터때문에 해야할 공부가 5배는 늘어난것같습니다 물론 컴퓨터에 달인이신 요즘 고등학교 학생들에겐 다르게 느껴질지 모르겠지만...
그래서 정효선님 말씀대로... 웬만하면 돈잘버는 직업가지시고 자동차는 취미생활을 하시는것이 정신건강이나 육체적건강에 도움이됩니다... ^^
아님... 황호선님 김성중님 (이종영님도?) 처럼 회사연구소에 계신(여기서 결코 티내지 않고 눈팅만 하시고계신 고수분들...) 분들처럼 멋진 엔지니어가 되실겁니다 ^^
꿈을 버리지 마시고... 이악물고 공부하십시요... ^^ 언젠가 경지에 오르실겁니다... 그때까진 별로 재미없더라도 꾸준히 공부해주시는 쎈쓰~~~
2007.01.29 00:15:28 (*.41.134.174)

헐..자동차에 관심이 있으신분이 그깟 현대에 목표를 두세요? 분명 원하는 일에 계속 정진하다보면 좋은결과가 있을거예요....
2007.01.30 03:28:58 (*.9.14.213)
테드 분들은 어쩜 이리도 차분하시고.... 진지하시고 .... 친절하시고....맘들도 잘 통하실까요 ㅎㅎ 보기 좋아서 한자 적었습니다 인터넷 강국이라고는 하지만 다른 여타 싸이트도 이정도만 돼면 우리나라가 100년은 빨리 갈텐데 말입니다 ㅎㅎ
그냥 인기학과 가세요 펜대잡는 한국에서 엔지니어는 대접 못받죠
특히나 자동차 관련 기술직은 사람 이하로 봅니다 그게 현실입니다
너무 리얼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