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면허 탈때 용달로 수동 운전해본뒤 처음 타보는 수동이라 아직도 익숙 하지 못한데요
시프트업을 할려다가 예를 들자면 3단을 넣으려다가 1단을 넣거나
4단을 넣을려고 하다가 2단을 넣으면 엔진에 정말 안좋은지요?
저는 한 5번 해본거 같거든요-.-;; 그냥 차가 울컥거리면서 RPM 5천대까지 치솟던데..
빨리갈때 그정도 RPM 쓰니 별로 문제 없을거라 생각 했는데요
외국 포럼에서 글을 봤는데 rev limiter가 아무것도 할수 없어서 valve 다 망가 뜨린다네요
-.-;;
아무리 숙련되어도 집중하지 않고 변속하다보면 흔히할수 있는 실수 아닌가요?
참 넣을려는 기어가 지금 달리는 속도보다 너무 낮으면 기어가 못들어가게 한다고 들었는데 제껀 그냥 들어가던데 왜 이런건가요? (325ci)
에구구 차가 울컥거리는것 때문에 변변한 다운시프트 한번 못해보고 아직도 배우는 중입니다^^
시프트업을 할려다가 예를 들자면 3단을 넣으려다가 1단을 넣거나
4단을 넣을려고 하다가 2단을 넣으면 엔진에 정말 안좋은지요?
저는 한 5번 해본거 같거든요-.-;; 그냥 차가 울컥거리면서 RPM 5천대까지 치솟던데..
빨리갈때 그정도 RPM 쓰니 별로 문제 없을거라 생각 했는데요
외국 포럼에서 글을 봤는데 rev limiter가 아무것도 할수 없어서 valve 다 망가 뜨린다네요
-.-;;
아무리 숙련되어도 집중하지 않고 변속하다보면 흔히할수 있는 실수 아닌가요?
참 넣을려는 기어가 지금 달리는 속도보다 너무 낮으면 기어가 못들어가게 한다고 들었는데 제껀 그냥 들어가던데 왜 이런건가요? (325ci)
에구구 차가 울컥거리는것 때문에 변변한 다운시프트 한번 못해보고 아직도 배우는 중입니다^^
2007.01.28 13:18:41 (*.94.1.21)
답변은 권영주님께서 다 해주셔서 답변드릴것은 없을것 같구요..^^
죄송하지만 실명으로 바꾸어 주시면 안될까요?? 지난번에 말씀드리려다가 그냥 있었는데... 보시면 아시겠지만 테드는 실명으로 하는곳이거든요....
죄송하지만 실명으로 바꾸어 주시면 안될까요?? 지난번에 말씀드리려다가 그냥 있었는데... 보시면 아시겠지만 테드는 실명으로 하는곳이거든요....
2007.01.28 14:18:01 (*.23.17.71)
저는 보통 2천 넘어가면 바꿔서 문제가 없을것 같군여
만약 드레그하면서 그랬다면-.-;;
혹시 short shifter 달면 기어변속 하기가 확실히 수월해 지는지요?
만약 드레그하면서 그랬다면-.-;;
혹시 short shifter 달면 기어변속 하기가 확실히 수월해 지는지요?
2007.01.29 00:52:01 (*.109.185.4)

스피드웨이에서 종종 3->4단 넣을시점에 2단을 몇번 실수로 넣어보기도 하고...
5단에서 4단으로 내린다는것을 2단으로 넣어본적도 있고 한데...
순정RPM계기판을 몇번 붙였을뿐 별 큰 이상은 모르겠던데요 -_-;;
다만 느낌은 매우 찝찝하죠..
5단에서 4단으로 내린다는것을 2단으로 넣어본적도 있고 한데...
순정RPM계기판을 몇번 붙였을뿐 별 큰 이상은 모르겠던데요 -_-;;
다만 느낌은 매우 찝찝하죠..
2007.01.29 01:09:09 (*.213.23.36)

대부분 베틀모드일때 유독 그런현상이 생길수 있더라.....하는게 저의 결론이었습니다만.....예전에 3단 레드존에서 4단을 넣는다는게 2단이 들어가버려서 간담이 서늘했던적이있었죠....그런후 한동안 엔진이 부조를 일으키더군요....엔진 사망 하셨나보다...하고 판단했는데.....엔진룸을 제차 열어서 자세히보니...변속충격이 얼마나 컷던지 TPS센서 짹이 빠져버렸더군요....다시 끼우니 멀쩡해지더라는.....^^;
2007.01.29 11:17:15 (*.192.187.141)

일정속도 이상이라면 1단은 안들어갈텐데요... 저도 예전에 4단 가속하면서 5단 넣는다는걸 3단이 들어간적이 있었는데 엔진오일 게이지가 위로 빠져 있더군요 -_-;;; 오일 좀 위로 뿜어져 나오고... 그 외엔 별 문제 없었습니다.
엔진쪽에 특별히 손대지 않은 순정들은 큰 데미지는 없는듯.. 물론 자주하면 안좋겠지만..
엔진쪽에 특별히 손대지 않은 순정들은 큰 데미지는 없는듯.. 물론 자주하면 안좋겠지만..
2007.01.29 14:41:28 (*.253.60.49)

아~ 저도 변속미스는 아니지만 고rpm으로 조금 주행했다 싶으면 여지없이 엔진오일체크게이지(?)가 튀어나오고 엔진룸은 오일범벅..-_-
오일량체크해도 이상이 없고..좀 쏘러 나가야겠다 싶은날엔 테이프로 둘둘 말아 뽑히지않게 조치하고 갑니다..ㅋㅋㅋ
오일량체크해도 이상이 없고..좀 쏘러 나가야겠다 싶은날엔 테이프로 둘둘 말아 뽑히지않게 조치하고 갑니다..ㅋㅋㅋ
2007.01.29 15:04:00 (*.94.1.21)
1단은 10Km 속도가 넘으면 안들어갑니다.... 국산 소형차가 그러니 그 이상은 당연히 다 마찬가지라고 생각되구요...더블로 클러치를 밟아주면 들어는 갑니다. 클러치를 밟았다 떼고 다시 밟고 1단을 넣으면 10Km가 넘는 속도에서도 기어가 들어가구요.. 저는 5단을 넣으려다가 3단을 넣은 적은 몇차례 있답니다...ㅋㅋ 옆에 사람이 타고 있으면 이게 5단을 넣으면 옆사람의 다리를 건들이기에 조심스레 넣으려고 하다보면... 어느틈엔가 3단으로....
클러치를 떼려면 윙~ 하고 RPM이 끌려 올라간다는 느낌이. 느낌과 동시에 바로 클러치 밟아주고선 슬그머니 5단으로...ㅎㅎ
클러치를 떼려면 윙~ 하고 RPM이 끌려 올라간다는 느낌이. 느낌과 동시에 바로 클러치 밟아주고선 슬그머니 5단으로...ㅎㅎ
2007.01.29 15:06:03 (*.94.1.21)
베틀할때나 드레그 할땐... 사실 변속 미스가... 2단에서 3단 혹은 1단에서 2단 변속하다가 마음이 급한 나머지 변속도 되기전에 클러치를 놔버려서 RPM이 솓구치는 경우는 종종 있어서 베틀할때나 드레그할때.. 특히 드레그 할때 신경을 많이 쓰는데.. 그래도... 심심치 않게 일어나버려서.... ㅡㅜ
2007.01.30 21:40:48 (*.249.247.25)

90년대 자동차 리뷰중에 세리카 (ST205 SS)를 3단으로 넣을걸 1단으로 시프트 미스 냈다가 가스켓 파손이 됐다는 이야기가 나온적이 있습니다. 이건 0->400m 측정중의 일이니, 레브리미트를 넘는 이런 극단적인 환경에서는 [일어날수도 있는 일] 이라고만 알아두시면 될듯 합니다.
2007.01.31 01:09:20 (*.114.62.38)

박진욱님 저도 그기사 기억납니다. 기억력이 무지 좋으식네요.^^
변속기마다 차이가 있습니다만 80km/h이상에서도 1단이 들어가는 차들이 있습니다.
물론 더블클러치로 커버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지요.
포인트는 언급했듯이 레드존을 넘는 경우가 문제인데, 미스시프트로 인해 회전수가 극단적으로 올라가는 경우는 엔진제어장치에 포함된 rpm리미터와는 상관없이 차의 물리적인 속도가 엔진을 회전시키는 경우이기 때문에 rpm리미터는 전혀 구실을 못합니다.
피스톤의 속도는 크랭크의 회전에 비례해서 빨라지는데, 밸브는 밸브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복원되는 원리상 극단적인 고회전으로 엔진이 강제로 돌려질 경우 피스톤과 밸브는 부딪치체 되고, 엔진은 큰 손상을 입게 됩니다.
카라이프에 개제된 셀리카의 시승도중 일어난 엔진파손은 밸브의 손상으로 인해 압축이 새는 현상이 발생해 더이상의 주행이 불가능해진 경우로 판단됩니다.
변속기마다 차이가 있습니다만 80km/h이상에서도 1단이 들어가는 차들이 있습니다.
물론 더블클러치로 커버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지요.
포인트는 언급했듯이 레드존을 넘는 경우가 문제인데, 미스시프트로 인해 회전수가 극단적으로 올라가는 경우는 엔진제어장치에 포함된 rpm리미터와는 상관없이 차의 물리적인 속도가 엔진을 회전시키는 경우이기 때문에 rpm리미터는 전혀 구실을 못합니다.
피스톤의 속도는 크랭크의 회전에 비례해서 빨라지는데, 밸브는 밸브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복원되는 원리상 극단적인 고회전으로 엔진이 강제로 돌려질 경우 피스톤과 밸브는 부딪치체 되고, 엔진은 큰 손상을 입게 됩니다.
카라이프에 개제된 셀리카의 시승도중 일어난 엔진파손은 밸브의 손상으로 인해 압축이 새는 현상이 발생해 더이상의 주행이 불가능해진 경우로 판단됩니다.
2007.01.31 01:11:26 (*.114.62.38)

대개 1단으로 들아가는 실수는 흔치 않고, 6속 변속기를 가진 차들이 5단에서 6단으로 넣어야하는 상황에서 4단이 들어가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이 일어납니다.
특히 풀액셀중에 이런 실수를 해서 계산상 엔진이 10000rpm을 넘어가는 상황이 벌어진다면 엔진은 일단 데미지를 받았다고 봐야합니다.
이런 실수가 일어나면 반드시 압축을 제보거나 기타 상태를 정밀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풀액셀중에 이런 실수를 해서 계산상 엔진이 10000rpm을 넘어가는 상황이 벌어진다면 엔진은 일단 데미지를 받았다고 봐야합니다.
이런 실수가 일어나면 반드시 압축을 제보거나 기타 상태를 정밀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만약에 2단 풀가속후 레드존에서 1단이 들어가고 클러치를 완전히 떼는 경우는 회전수가 1만을 넘기 때문에 피스톤이 밸브를 때려 밸브가 작살나고 엔진에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합니다.
만약 변속실수로 클러치를 떼고도 레드존안에 있는 경우는 엔진에 이상이 생길 이유는 별로 없습니다만 반복된 실수는 엔진에 좋지 않습니다.
보통 6단 변속기를 가진 차를 운전하는 오너들이 5단에서 6단으로 넣으려다가 4단이 들어가 레드존을 넘어 헤드를 교체하는 경우를 몇 번 본적이 있습니다.
변속 실수가 잦다는 것은 변속하는 방법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크니 체인지레버를 견고하게 잡고, 원하는 단수에 정확히 변속하는 연습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체인지레버를 강하게 쥐라는 것은 아닙니다. 3단에서 4단 대신 2단으로 들어가는 경우는 체인지레버를 너무 힘주어서 잡아서 그런 경우가 많으니 3단에서 4단으로 변속할 때는 최대한 손에 힘을 빼고 변속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