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평소에 궁금했던 질문 하나 올려볼까 합니다~
솔직히 "시끄럽고 진동을 가중시키는" 튜닝을 이제는 지양할려다보니,
떠오르는 건 경량휠, 브레이크, 전기쪽 튜닝 등등인데요,
이 중에서 브레이크 캘리퍼를 교체하는 경우에,
시중에 나와있는 브렘보, 스탑텍, 엔드리스 등등 이런 제품을 보면
의외로 상당수의 경우에 프론트 브레이크 킷 만을 내놓고있는 걸 볼 수 있더군요-
뒷바퀴 브레이크는 갈고 싶어도 제품이 없어서 매치를 못시키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런 경우 브레이크 밸런스라는 측면에서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써킷 주행에서의 트레일 브레이크 상황 같은 경우라면 당연히 차의 운동 성향에
영향을(아마도 부정적인..?) 줄 것 같은데,
단지 일반적인 주행만을 하는 경우에서도 성능에서의 부정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긴박한 상황의 브레이킹에서 안전에도 문제가 될 수 있지는 않은지가 궁금했습니다.
요즘 한국 자동차 용품 사이트들 가보면 한국에서도 브레이크 튜닝이 상당히 대중화 된 것 같던데.. 혹시 이런 내용에 대한 경험이나, 정보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솔직히 "시끄럽고 진동을 가중시키는" 튜닝을 이제는 지양할려다보니,
떠오르는 건 경량휠, 브레이크, 전기쪽 튜닝 등등인데요,
이 중에서 브레이크 캘리퍼를 교체하는 경우에,
시중에 나와있는 브렘보, 스탑텍, 엔드리스 등등 이런 제품을 보면
의외로 상당수의 경우에 프론트 브레이크 킷 만을 내놓고있는 걸 볼 수 있더군요-
뒷바퀴 브레이크는 갈고 싶어도 제품이 없어서 매치를 못시키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런 경우 브레이크 밸런스라는 측면에서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써킷 주행에서의 트레일 브레이크 상황 같은 경우라면 당연히 차의 운동 성향에
영향을(아마도 부정적인..?) 줄 것 같은데,
단지 일반적인 주행만을 하는 경우에서도 성능에서의 부정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긴박한 상황의 브레이킹에서 안전에도 문제가 될 수 있지는 않은지가 궁금했습니다.
요즘 한국 자동차 용품 사이트들 가보면 한국에서도 브레이크 튜닝이 상당히 대중화 된 것 같던데.. 혹시 이런 내용에 대한 경험이나, 정보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2007.03.14 12:45:08 (*.12.196.86)

그런데 앞으로 치우친다고 해서 안정성 문제는 생기지 않습니다. 전체타이어의 제동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는 있을 수 있죠. 뒤로 치우친다면 차량의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2007.03.14 15:05:53 (*.4.204.35)
최근에 제 친구가 어코드에 터보킷 올리면서 브렘보 BBK를 같이 달았는데,
요거 역시 앞쪽 킷밖에 없어서 앞만 교체를 했습니다.
제가 한번 몰아보니 제동력은 확실히 순정대비 좋아진게 느껴지고,
제동 밸런스는 별차이 없더군요.... 앞쪽만 간다고 해서 문제가 생기는건 아니라고 느겼습니다. 괜찮을듯 한데요 ^^; 생각하신김에 지르시는것도 ^^
요거 역시 앞쪽 킷밖에 없어서 앞만 교체를 했습니다.
제가 한번 몰아보니 제동력은 확실히 순정대비 좋아진게 느껴지고,
제동 밸런스는 별차이 없더군요.... 앞쪽만 간다고 해서 문제가 생기는건 아니라고 느겼습니다. 괜찮을듯 한데요 ^^; 생각하신김에 지르시는것도 ^^
2007.03.14 15:23:05 (*.146.27.237)

Stoptech의 인지도가 상당히 높더군요^^ 브레이크 액 갈아줄 때 Stoptech의 스테인레스 브레이크 라인을 한 번 써볼까 생각중입니다. 일단 일상 주행에서 브레이크 포스가 앞으로 몰리는 건 큰 영향은 없는가보네요- 생각한 김에 지르고 싶지만..^^; 다행히 자금이 딸립니다.ㅋㅋㅋ
2007.03.14 18:00:00 (*.116.110.156)

제 생각은 좀 다릅니다. 프론트만 브레이크 튠이 들어간다면 개인적인 경험으론 제동시 벨런스가 안맞아 노즈 다운이 심해지며 하중이 앞으로 더 쏠리는 경향이 느껴졌었습니다. 직진 브래이킹에서는 좀 덜하지만 하중 이동이 필요한 코너에서는 순정과는 다른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제가 이런 경우를 당해 예전에 좀 당황했던 적이 있네요.
2007.03.14 21:21:51 (*.212.222.118)

앞쪽이 만약 빅 캘리퍼, 디스크, 고성능패드 등이 바뀌었다고 했을때 뒤쪽의 브레이크 성능 강화는 고성능 패드정도만으로 괜찮지 않을까요?
때려밟는 스포츠드라이빙을 별로 즐기지 않는 저같은 보통운전자 로서는 메쉬호스와 패드정도로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얼마전 매각한 전 차에 달려있었던 120만원한다는 2피스 디스크로터와 35만원의 패드는 저같은 평범한 운전자들에겐 개발에 편자인듯..아마도 제돈주고 장착하라면 전 안달았을겁니다..
때려밟는 스포츠드라이빙을 별로 즐기지 않는 저같은 보통운전자 로서는 메쉬호스와 패드정도로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얼마전 매각한 전 차에 달려있었던 120만원한다는 2피스 디스크로터와 35만원의 패드는 저같은 평범한 운전자들에겐 개발에 편자인듯..아마도 제돈주고 장착하라면 전 안달았을겁니다..
2007.03.15 12:44:00 (*.82.125.5)
순정 마스터 실린더에 앞쪽만 대용량으로 키웠을경우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가는 오일압은 더욱 낮아지므로 뒤쪽이 더욱 안듣게 됩니다. 이걸 보완하기 위해 패드를 뒷쪽만 잘듣는것을 사용할경우 마찬가지로 적당한 밸런스를 찾기위한 많은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잘못해서 뒤가 앞보다 먼저 잠기면 더욱 위험할듯하군요. 실제로 D1 패드라는 제품이 있는데 드리프트 전용패드입니다. 뒷쪽이 앞쪽보다 말도안되게 잘듣죠. 결국 차를 쉽게 날리기위한 패드입니다.
2007.03.15 21:17:32 (*.120.138.105)

기냥 지르세요...전 순정에서 2피로 -> 이제 f-40 4피로 업을 했는데...비쥬얼적인 부분이 아무라도 젤 부각되는것 같고, 실제 성능은 고속은 f-40 이 월등인듯, 저속 제동에서 2피도
대체로 만족~ ^^; 아주 갠적인 생각입니다.
대체로 만족~ ^^; 아주 갠적인 생각입니다.
여기 글들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Stoptech에서는 앞캘리퍼의 휠실린더 용량을 차량별 밸런스에 맞게 내놓는다는 얘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