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타이어 교체시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보통 타이어를 선택할때 접지력이나 주행안정성, 승차감,소음 등등을 따져서 선택하게 되는데..
여쭤보고 싶은 것은
타이어 메이커나 성격, 등급에 따라서 차량가속성능이나 최고속의 변화가 있을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한국타이어에는 정숙성과 승차감이 컨셉인 optimoXQ 와 접지력과 핸들링을 우선으로 하는 스포츠타이어인 ventus R-s2 가 있는데 타이어 종류에 따라서(동일싸이즈) 동일차량의 가속성능이나 최고속에 변화가 있을수 있습니까??
혹시 변화가 있지 않더라도 "체감상" 더 가뿐하게 가속되는 느낌이라던지 차량의 움직임이 타이어에 따라 더 가볍고 무겁게 느껴질수도 있을까요??
현재 optimoXQ를 장착하고 있구요..215/50/17
미쉐린 pp2 혹은 한국타이어 ventusV8rs 장착하려 하고 있습니다..
보통 타이어를 선택할때 접지력이나 주행안정성, 승차감,소음 등등을 따져서 선택하게 되는데..
여쭤보고 싶은 것은
타이어 메이커나 성격, 등급에 따라서 차량가속성능이나 최고속의 변화가 있을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한국타이어에는 정숙성과 승차감이 컨셉인 optimoXQ 와 접지력과 핸들링을 우선으로 하는 스포츠타이어인 ventus R-s2 가 있는데 타이어 종류에 따라서(동일싸이즈) 동일차량의 가속성능이나 최고속에 변화가 있을수 있습니까??
혹시 변화가 있지 않더라도 "체감상" 더 가뿐하게 가속되는 느낌이라던지 차량의 움직임이 타이어에 따라 더 가볍고 무겁게 느껴질수도 있을까요??
현재 optimoXQ를 장착하고 있구요..215/50/17
미쉐린 pp2 혹은 한국타이어 ventusV8rs 장착하려 하고 있습니다..
2007.03.27 11:37:00 (*.193.123.102)

순정 요코하마 AD07 225/50/17에서 현재 브릿지스톤 포텐자 RE050A로 갈아신고 약 2만키로 주행했습니다. 우선 한계상황에서 접지력에서 차이가 느껴집니다. 그리고 가속성능은 그리 큰 체감으로 다가오진 않으나, 고속이나 빗길주행시에는 이전보다 좀더 바닥을 움켜지는듯한 안정감이 느껴집니다. 제 생각은, 타이어의 선택에 따른 차이는 가속력보다는 접지력과 소음, 고속안정감에 있는것 같습니다. 또한, 소음도 생각하셔야 될겁니다. V패턴들은 대체로 소음이 크죠.. 좋은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2007.03.27 11:37:03 (*.229.145.41)

다른건 잘 모르겠고, 가속성능이라면 동일차량에 네오바가 장착된 것의 경우 마치 도로를 잡아챈다는 느낌이었습니다. 근데 그게 가속성능 맞나요? @@;; 그리고 PP2 와 V8RS 두개 다 장착해보았는데요, 제 경우 짝당 가격은 2만원 정도 차이가 났었고(PP2 > V8RS) 성능은 정숙성, 접지력 모두 PP2 가 나았습니다. 가격대비 성능은 일단 PP2 가 상당히 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2007.03.27 11:52:06 (*.187.30.2)
지금 PP2 갈아 끼우고 대충 천키로 가까이 주행한듯 합니다. 박지용님 말씀대로 입니다. PP2 가 V8RS보다는 매우 괜찮은 선택일거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 정도 가격에 이 정도 성능은 솔찍히 의외입니다. 남은건 마일리지인데..... 어느정도 마일리지를 가져갈지 의문입니다. ^^
2007.03.27 13:16:48 (*.41.59.185)
하이그립 타이어라면 오히려 가속과 최고속이 조금 떨어집니다. 드래그스타트에서 출발에서는 당연히 하이그립이 훨씬 빠르지만요...
2007.03.27 15:12:21 (*.228.196.29)

한계상황을 즐기는 운전이 아니라면 타이어의 선택기준은 정숙성, 내마모성, 경재성(연비), 승차감이 우선이라고 봅니다. 저는 그런 사항보다 한계 그립이나 주행 안정성을 더 크게 비중을 두는 터라 브리지스턴 re050을 선택했습니다만...
한타의 경우는 내마모성 부분이 그리 좋지 않다고 생각되어 여러모로 생각하신다면 프리세다2가 가격대비 만족도는 1위라고 생각합니다.
한타의 경우는 내마모성 부분이 그리 좋지 않다고 생각되어 여러모로 생각하신다면 프리세다2가 가격대비 만족도는 1위라고 생각합니다.
2007.03.27 16:14:48 (*.79.254.95)

구름저항이라고 하던가요? 실제로 타이어가 연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메이커에서도 많은 투자를 통해 구름저항을 줄이고 있다네요. 물론 구름저항이 적으면 더 잘 나가겠죠? 점도 낮은 엔진오일 넣은거나 비슷한 효과를 본다고 생각합니다.
2007.03.28 02:37:07 (*.252.71.130)

답변들 감사합니다..^^;; pp2가 대세군요.. pp2로 알아봐야겠습니다.. 지금 사용중인 optimoXQ 다른것은 몰라도 50치곤 승차감이나 정숙성은 괜찮았는데.. pp2 딱딱하거나 시끄럽진 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