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아직 차량이 1대인 회원입니다.
만 앞으로 차량을 늘어날 것을 대비해 가끔 쓸데없는 걱정을 하는데 가장 큰 문제가 비용인 듯 싶습니다.
세컨이나 소장용으로 여러대 운용하시는 회원님들께서는 보험이나 기타 비용문제를 어떻게 절약하고 계신지요?
가령 자차를 뺀다거나 담보를 줄인다거나 아니면 운행 하실 때만 보험을 넣는다거나 이런저런 방법이 생각이 납니다.
보험 뿐만 아니라 메인터넌스 비용 문제 등 답변 좀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비용이 1대에서 2대, 3대가 된다고 2배, 3배로 늘지는 않구요, 그보다는 약간 적게 들었습니다. 자동차세는 보유대수와 관계없이 똑같구요, 보험은 각 차량별 주행거리는 아무래도 1대만 탈때보다 적어지니 마일리지특약(일정주행거리 미만시 보험료 할인)으로 절감이 되었습니다. 중고로 매각할 때를 감안한 차량가치는 역시 각각의 주행거리가 적어지니 약간 유리할 것이구요. 총 연료비, 총 정비비용은 1대 일때 보다야 훨씬 크지만, 각각의 주행거리는 적으니까 차량별 연료비, 정비비용도 적게 들구요.

좋은 방법은 , 발품을 팔던지 (전화 ~ , 인터넷) , 혹은 모든 보험을 취급하는곳에 의뢰를 하든지.
하는 방법이겠죠.
저는 , 3대를 (2대 묶음 , 1대 별도) 로 하고 있습니다. 3대를 묶을수도 있고.
일단, 동일 조건으로 모든 보험사에 연락해서, 가장 경쟁력이 있는 곳을 선택하는 방법을 하고 있습니다.
보험사마다, 차종에 대한 가격이 다를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1년갱신 마다 오는 전화를 기꺼이 즐겁게 받고 있습니다. 견적을 내서 알려달라고 하여, 모두 비교해보죠.
동일 증권으로 묶을 경우 , 사고율에 대한 할증이 조금 깍이는 반면에 한번에 큰돈이 나가는 단점이 있겠죠.

차 다섯대 굴리면 각각 세금/보험료하면 일년에......
어후~~~ ㅠㅜ

운전자가 한두사람이면 가장 저렴한 차량 한대에 보험을 자차까지 다 들어두시고, 다른 차량들은 의무보험만 드시고, 처음 가입하신 보험에 특약중에 "운전자보험"특약 비슷한(이름이 딱 저 이름은 아닙니다.)이 있을껍니다.
보험에 가입된 운전자가 다른 차량을 운전할 때 낸 사고에 대해서도 가입된 차량과 동일 조건의 보상을 해주는 보험입니다.

말씀하신 내용이 '다른자동차운전담보특약'이라면, 나와 가족이 소유한 다른 자동차는 보상범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렌트카, 회사차 등도 마찬가지구요. (이 외에도 다른 조항들이 많습니다.) 나와 가족이 소유한 다른 자동차를 cover하지 않는 이유가, 말씀하신 내용처럼 소유한 차 중에 한대만 가입하고 다른 차는 가입안한 상태에서 모든 차에 가입한 것 같은 효과를 내지 못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합니다. 단, 진짜 다른 자동차, '즉 지인의 차를 운전하다가 사고' 등을 위해 가입한다면, 내가 소유한 각각의 차량의 특약사항을 확인하여 중복가입하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하구요. (이 때는 가장 적게 나오는 한 대에만 가입하면 되죠.)
윗분들 보니 저와는 달리 다른날로 하신다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
암튼 차 댓수가 더 많다고 해도, 1대와 비교하여 보홈 측면에서 특히 다른건 없습니다.
조금 편법이지만, 위에 얘기 나온 '다른자동차운전자특약'을 이용 하는데요.
아는 사람과 차량 명의를 바꿔 서로 서로 윈윈 하는 방법을 씁니다.
타차 피해는 별 문제가 안되는데....자차는 차량 가액 만큼 밖에 안되기 때문에
명의를 바꾸는 차량의 차량가액이 비슷해야 서로 손해 보지 않고요.
복잡한 인간 관계에서는 위험부담이 있고, 비싼차 또한 이런 방법은 비추천이고요.
저도 생각만 했지, 실제로 실행해 보진 않았습니다.ㅎㅎ
어짜피 맨날 타는 차가 오래된 차고, 자차 빼고 해서 책임 보험료랑 별차이가 없으니까요.

차량이 3대인데 보험사 직원이 3대를 동일증권으로 묶으라고 하더군요. 추후 사고 할증시 동일증권으로 묶여있어야 보험료 인상이 최소화 된다고하는데 아마 증권당 한번 할증되는 시스템인것 같습니다.
고로 3개의 별도 증권이라면 A 차량 사고로 인해 B,C 차량도 보험할증된다고 설명했던것 같네요.
일단 보험사에서 추천해주는 대로 하긴했는데 이게 맞는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ㅇ-